금일시황

0922 마감시황

ares0098 2023. 9. 22. 18:40
728x90

 

0123
01

 

- 코스피시장-

9/22 KOSPI 2,508.13(-0.27%) Fed 긴축 장기화 우려 속 美 국채금리 급등(-), 외국인/기관 순매도(-), 개인 순매수(+)

밤사이 뉴욕증시가 Fed 긴축 장기화 우려 속 국채금리 급등 등에 큰 폭으로 하락했고, 유럽 주요국 증시는 주요국 금리 결정 소화속 하락. 이날 코스피지수는 2,500선이 붕괴되며 2,491.45(-23.52P, -0.94%)로 하락 출발. 장초반 낙폭을 키워 2,486.14(-28.83P, -1.15%)에서 장중 저점을 형성한 지수는 점차 낙폭을 만회하는 모습. 오전 중 2,500선을 회복한 뒤 2,505선 부근에서 등락을 보이던 지수는 오후 들어낙폭을 더욱 축소해 2,513.26(-1.71P, -0.07%)에서 고점을 형성. 이후 2,510선 부근에서 소폭 하락세를 이어가다 결국 2,508.13(-6.84P, -0.27%)으로 장을 마감.

연방준비제도(Fed)의 긴축 장기화 우려가 지속된 가운데, 美 국채금리가 급등세를 이어간 점이 증시에 악재로 작용. 외국인과 기관은 동반 순매도하며 지수 하락을 이끌었음. 외국인은 5거래일 연속 순매도, 기관은 2거래일 연속 순매도. 특히, 외국인은선물시장에서도 매도세를 이어가며 투자심리를 위축시키는 모습. 다만, 개인이 5거래일 연속 순매수한 가운데, 최근 지수 급락에 따른 반발매수세가 유입된 데다 중국 등 중화권 증시가 강세를 보이면서 지수 낙폭은 제한된 모습.

지난 20일(현지시간) Fed가 9월 FOMC 회의에서 시장 예상대로 기준금리를 현 5.25~5.50%로 동결했지만, 추가 금리 인상 가능성을 열어두면서 긴축 장기화 우려가 이어지고 있음. Fed 위원들은 금리 전망치를 담은 점도표에서 올해 말 기준금리가 5.6%를 기록할 것으로 예상했으며, 내년 금리 전망치 중간값은 5.1%로 지난 6월의 4.6%에서 0.5%포인트 높아졌음. 파월 의장은 FOMC 회의 후 기자회견을 통해 “적절하다면 금리를 추가로 인상할 준비가 돼 있으며, 인플레이션이 목표치를 향해 지속적으로 내려가고 있다고 자신할 때까지 제약적 수준에서 금리를 유지할 계획이다”라고 언급. 아울러 밤사이 발표된美 고용지표도 여전히 양호한 수준을 보이면서 긴축 우려를 키우는 모습.

시장에서는 5%를 웃도는 고금리 환경이 오랫동안 지속될 수있다는 우려가 지속됐고, 美 국채금리는 연일 역사적 수준을 경신. 밤사이 美 10년물 국채금리는 2007년 이후 최고치를 재차 경신했고, 금리정책에 민감한 2년물 금리도 2006년 이후 최고치를 또다시 경신. 이에 밸류에이션 부담이 큰 기술주들이 부진한 모습을 이어가면서 증시 하락을 이끌었음.

올해 국내 IPO 최대어로 꼽히는 두산로보틱스 공모주 청약이 마감된 가운데, 일반투자자 대상 공모청약에서 총 33조원이 넘는 증거금이 모인 것으로 전해짐.

아시아 주요국 증시는 일본이 하락한 반면, 중국, 대만, 홍콩 등은 상승. 한편, 일본은행(BOJ)은 이날 금융정책결정회의에서 단기금리를 마이너스(-) 0.1%로 동결하고, 장기금리 지표인 10년물 국채 금리를 0% 수준으로 유도하는 금융완화정책을 지속하기로 발표.

이날 원/달러 환율은 전거래일 대비 2.9원 하락한 1,336.8원을 기록.

수급별로는 외국인과 기관이 각각 1,291억, 979억 순매도, 개인은 2,067억 순매수. 선물시장에서는 외국인과 개인이 각각 1,505계약, 1,689계약 순매도, 기관은 3,511계약 순매수.

국고채 3년물 금리는 전거래일 대비 5.4bp 하락한 3.876%, 10년물은 전거래일 대비 3.0bp 하락한 4.001%를 기록.

3년 국채선물은 전거래일 대비 18틱 오른 103.08로 마감. 은행이 2,960계약 순매수, 금융투자, 투신은 1,953계약, 1,527계약 순매도. 10년 국채선물은 전거래일 대비 34틱 오른 108.12로 마감. 금융투자가 3,992계약 순매수, 보험, 외국인은 2,139계약, 1,557계약 순매도.

마감 지수 : KOSPI 2,508.13P(-6.84P/-0.27%)

- 코스닥시장-

9/22 KOSDAQ 857.35(-0.39%) Fed 긴축 장기화 우려 속 美 국채금리 급등(-), 외국인/개인 순매도(-), 기관 순매수(+)

밤사이 뉴욕증시가 Fed 긴축 장기화 우려 속 국채금리 급등 등에 큰 폭으로 하락한 가운데, 이날 코스닥지수는 851.93(-8.75P, -1.02%)으로 갭하락 출발. 장초반 일부 낙폭을 만회하는 모습을 보이기도 했던 지수는 재차 낙폭을 키워 오전 중 847.56(-13.12P, -1.52%)에서 저점을 형성. 이후 빠르게 낙폭을 만회해 오전 장 후반 860.68(0.00P, 0.00%)에서 고점을 형성하기도 했지만, 이내 낙폭을 확대. 오후 들어 857선 부근에서 등락을 거듭하던 지수는 결국 857.35(-3.33P, -0.39%)로 장을 마감. 6거래일 연속 하락하며 종가 기준 지난 5월31일 이후 최저치를 기록.

Fed 긴축 장기화 우려가 지속되면서 美 국채금리가 급등세를 이어간 점이 증시에 부담으로 작용. 외국인과 개인이 동반 순매도하며 지수 하락을 이끌었음. 외국인은 6거래일 연속 순매도, 개인은 6거래일만에 순매도 전환. 다만, 기관은 6거래일만에 매수세로 돌아선가운데, 최근 지수 급락에 따른 반발 매수세가 유입되며 낙폭은 제한된 모습.

최근 증시 부진에도 양호한 흐름을 보였던 핵융합에너지, 초전도체, 양자암호, 5G, 통신장비 등의 테마의 하락세가 두드러짐. 반면, 두산로보틱스 공모 흥행 속 로봇 테마는 강세를 보임.

수급별로는 외국인과 개인이 각각 109억, 285억 순매도, 기관은 579억 순매수.

마감 지수 : KOSDAQ 857.35P(-3.33P/-0.39%)

특징테마
이 슈 요 약
테마시황
▷두산로보틱스 공모청약 흥행 소식 등에 로봇(산업용/협동로봇 등) 테마 상승.
▷JP모건, 추가감산 등으로 국제유가 120달러까지 상승 전망 등에 LPG(액화석유가스) 테마 상승.
▷전일 국회에서 이재명 대표 체포동의안 가결 소식 등에 정치/인맥(이낙연), 정치/인맥(김동연) 테마가 상승.
▷美 기술주 부진 등에 장 초반 하락하기도 했던 IT 대표주는 LG디스플레이(+3.09%), 삼성에스디에스(+2.09%) 등이 양호한 흐름을 보이며상승. LG디스플레이는 4분기 흑자 전환 전망 등이 상승 요인으로 작용.
▷Fed 긴축 장기화 전망 속 은행, 손해보험, 생명보험 등 금융 테마 상승. 손해보험 테마는 車보험 손해율 유지 등으로 대형 손보사 호실적 기대감 등도 긍정적으로 작용.
▷中 철강 감산 계획소식 등에 철강 주요종목, 일부 철강 중소형 테마 상승.
▷이 외에 터치패널, 미용기기, 비철금속, 탈모 치료, 보안주(물리), 공작기계, 건설기계, 전선 등이 상승률 상위를 기록하는 등 일부 테마만이 상승.
▷반면, Fed 긴축 장기화 우려속 美 국채금리 급등 영향등에 2차전지/일부 반도체/인터넷 대표주 등 테마 하락.
▷국내증시 부진 등에 증권 테마 하락.
▷전일 국회에서 이재명 대표체포동의안 가결 소식이 전해진 가운데, 금일 정치/인맥(이재명) 테마 하락.
▷mRNA(메신저 리보핵산), 비만치료제, 바이오시밀러,제약업체 등 제약/바이오 관련 테마 하락.
▷9월25일 수술실 CCTV 설치 의무화를 앞둔 가운데, CCTV&DVR 테마 하락.
▷이 외에 핵융합에너지, 해운, 우주항공산업, 초전도체, 양자암호, 마이크로 LED, 모바일게임, 게임, 페라이트, 니켈, 소매유통, 조선, 웹툰, 드론, 영화, 사물인터넷, 온실가스( 탄소배출권), 보안주(정보), 증강현실, 건설 중소형, 스마트그리드, 요소수, 건설 대표주, 방위산업/전쟁 및테러, 비료, 리튬, NFT(대체불가토큰), 항공기부품, MLCC, 교육/온라인 교육, 조선기자재, 통신장비, 전력설비 등이 하락률 상위를 기록하는등 대부분의 테마가 하락 마감.
728x90

'금일시황' 카테고리의 다른 글

0925 마감시황  (1) 2023.09.25
0925 이슈요약  (0) 2023.09.25
0922 이슈요약  (0) 2023.09.22
0921 마감시황  (0) 2023.09.21
0920 마감시황  (0) 2023.09.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