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일시황

0920 마감시황

ares0098 2023. 9. 20. 19:06
728x90

 

0123
01

- 코스피시장-

9/20 KOSPI 2,559.74(+0.02%) FOMC 관망, 개인/기관 순매수(+), 외국인 순매도(-)

밤사이 뉴욕증시가 FOMC회의 결과 발표를 앞두고 인플레이션 경계감 지속 등에 소폭 하락했고, 유럽 주요국 증시는 주요국 통화정책회의를 앞둔 경계감 속 약보합 마감. 이날 코스피지수는 2,556.55(-2.66P, -0.10%)로 약보합 출발. 장초반 보합권에서 등락을 보이던 지수는 상승폭을 다소 키워 2,566.62(+7.41P, +0.29%)에서 고점을 형성. 오전 중 하락세로 돌아선 지수는 낙폭을 키워 정오 무렵 2,555선 부근에서 움직이는 모습. 오후 들어 낙폭을축소하는 모습을 보이기도 했지만, 재차 낙폭을 확대했고 오후 장중 2,551.12(-8.09P, -0.32%)에서 저점을 형성. 장후반 낙폭을 만회하던 지수는 장막판 반등에 성공하며 결국 2,559.74(+0.53P, +0.02%)로 장을 마감.

美 FOMC 회의 결과를 앞두고 관망 심리가 이어진 가운데, 코스피지수는 사흘만에 반등. 개인과 기관은 동반 순매수하며 지수 반등을 이끌었음. 개인은 3거래일 연속 순매수, 기관은 3거래일만에 순매수. 다만, 외국인이 현/선물시장에서 매도세를 이어가며 상승폭은 제한된 모습. 아울러 21일 영국 영란은행(BOE) 통화정책회의, 22일 일본은행(BOJ) 통화정책회의 등 주요국 통화정책회의에 대한 관망세도 짙어지는 모습. 현대차(+2.58%), 기아(+2.52%), 현대모비스(+2.32%) 등 자동차 대표주들이 강세를 보인 반면, 삼성전자(-0.29%), SK하이닉스(-1.01%) 등 반도체 대표주는 하락.

밤사이 이틀간의 일정으로 9월 FOMC 회의가 개최된 가운데, 회의 결과에 대한 관망 심리가 이어지는 모습. 이번 회의에서 연방준비제도(Fed)가 기준금리를 동결할 것이란 전망이 기정 사실화되고 있지만, 최근 유가 상승 등으로 인플레이션 압력이 커지면서 연내 추가 금리 인상 여부, 내년 금리 인하 여부에 대한 관심 집중되고 있음. Fed는 이번 회의에서 위원들의 금리 전망치를 담은 점도표를 내놓을 예정이며, 파월 의장의 기자회견도 예정되어 있음. 시장에서는 점도표와 기자회견을 통해 연내 추가 금리 인상 가능성과 내년 금리 인하 등을 가늠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되고 있음. FOMC 회의결과는 20일 오후 2시(한국시간 21일 새벽)에 발표될 예정.

밤사이 국제유가가 차익실현 매물 출회 등에 하락 마감했지만, 장중 연중최고치를 재차 경신하는 등 인플레이션 우려는 지속되고 있음. 밤사이 뉴욕상업거래소(NYMEX)에서 서부 텍사스산 원유(WTI) 10월 인도분 가격은 전거래일 대비 0.28달러(-0.31%) 하락한 91.20달러에 거래 마감. 다만, 장중 한때 WTI 가격은 93.74달러까지 상승하는 모습을 나타냈고,브렌트유 가격도 95.95달러까지 치솟는 모습을 보이는 등 인플레이션 경계감은 지속됐음.

한편, 中 인민은행은 시장 예상대로 사실상기준금리 역할을 하는 대출우대금리(LPR)를 동결했음. 인민은행은 이날 홈페이지를 통해 1년물 LPR은 연 3.45%, 5년물 LPR은 연 4.20%로 종전과 같이 유지한다고 밝힘. 위안화 가치 방어를 위해 미국과의 금리 차이 확대를 경계하는 것으로 분석되고 있음.

일본, 중국, 대만,홍콩 등 아시아 주요국 증시는 하락.

이날 원/달러 환율은 전거래일 대비 1.6원 상승한 1,330.1원을 기록.

수급별로는 개인과 기관이 각각 879억, 510억 순매수, 외국인은 1,677억 순매도. 선물시장에서도 개인과 기관이 각각 1,098계약, 3,068계약 순매수, 외국인은 4,259계약 순매도.

국고채 3년물 금리는 전거래일 대비 0.3bp 상승한 3.890%, 10년물은 전거래일 대비 1.1bp 상승한 3.963%를 기록.

3년 국채선물은 전거래일 대비 3틱 오른 103.06으로 마감. 금융투자가 12,751계약 순매수, 은행, 외국인은 6,236계약, 5,901계약 순매도. 10년 국채선물은 전거래일과 동일한 108.50으로 마감. 금융투자, 은행이 4,750계약, 1,082계약 순매수, 외국인은 5,502계약 순매도.

마감 지수 : KOSPI 2,559.74P(+0.53P/+0.02%)

- 코스닥시장-

9/20 KOSDAQ 882.72(-0.13%) FOMC 경계감 속 외국인/기관 동반 순매도(-), 개인 순매수(+)

밤사이 뉴욕증시가 FOMC 회의 결과를 앞두고 인플레이션 우려 지속 등에 소폭 하락한 가운데, 이날 코스닥지수는 883.74(-0.15P, -0.02%)로 약보합 출발. 장초반 반등에 성공한 지수는 886.65(+2.76P, +0.31%)에서 장중 고점을 형성한 뒤 재차 하락 전환. 점차 낙폭을 키운 지수는 오전 장 후반 874.92(-8.97P, -1.01%)까지 밀려나며 저점을 형성. 오후 들어 낙폭 대부분을 만회한 지수는 결국 882.72(-1.17P, -0.13%)로 장을 마감.

FOMC 경계감이 지속된 가운데, 외국인과 기관이 동반 순매도하며 코스닥지수는 나흘 연속 하락. 외국인과 기관은 4거래일 연속 순매도. HLB(-2.52%), 알테오젠(-4.15%) 등 제약/바이오 관련주들의 약세가 두드러진 가운데, 피에스케이홀딩스(-8.79%), 엘오티베큠(-7.95%) 등 반도체,루닛(-12.11%) 등 의료기기 테마 등이 하락. 다만, 에코프로비엠(+4.50%), 에코프로(+7.08%) 등 시총 상위 일부 2차전지 종목들이 강세를 보이면서 지수 낙폭은 제한된 모습.

수급별로는 외국인과 기관이 각각 1,104억, 328억 순매도, 개인은 1,691억 순매수.

마감 지수 : KOSDAQ 882.72P(-1.17P/-0.13%)

특징테마
이 슈 요 약
테마시황
▷발틱운임지수(BDI) 반등 소식 등에 해운 테마 상승.
▷특허청, 양자 분야 유망기술 발굴 소식 등에 양자암호 테마 상승.
▷배출권 거래시장 활성화 방안발표, 온실가스 배출권 ETF·ETN 출시 허용 등에 온실가스(탄소배출권) 테마 상승.
▷中 철강 감산 정책에 따른 반사이익 기대감 지속 등에 철강 주요종목/ 철강 중소형 테마 상승.
▷8월 자동차 수출액 역대 8월 최고 실적 기록 및 美 자동차 노조 파업 반사 수혜 기대감 등에 자동차 대표주/부품 테마 상승.
▷독일 정부, 화웨이 등 中 부품 5G망서 단계적 퇴출 소식 등에 일부 5G(5세대 이동통신)/ 통신장비 테마 상승.
▷노르웨이중앙은행·싱가포르투자청·블랙록 등 글로벌 큰손, 두산로보틱스에 7조 베팅 소식 등에 일부 로봇(산업용/협동로봇 등) 테마 상승.
▷국내 첫 중입자치료 환자, 암 제거 확인 소식 등에 전일에 이어 핵융합에너지 테마 상승.
▷이 외에 초전도체, 페라이트, 종합 물류, 니켈, 화폐/금융자동화기기(디지털화폐 등), 영화, 자율주행차, 자원개발, 우주항공산업, 통신, 밥솥 등의 테마가 상승률 상위를 기록.
▷반면, 2분기 국내 스마트폰 출하량 감소 소식 등에 일부 스마트폰/ 갤럭시 부품주/ 폴더블폰/ 휴대폰부품 테마 하락.
▷美 웨스팅하우스, 한수원 대상 제기 소송 항소 예정 등에 원자력발전 테마 하락.
▷국제유가 하락영향 등에 정유/ LPG(액화석유가스) 테마 하락.
▷아이폰15 中 판매 부진 우려 등에 아이폰 테마 하락.
▷비만치료제, 면역항암제, 바이오시밀러, 치매, 유전자 치료제/분석, 백신/진단시약/방역, 마이크로바이옴, 코로나19(진단/치료제/백신), mRNA(메신저 리보핵산), 제약업체 등 제약/바이오 관 련 테마 하락.
▷이 외에 자전거, 테마파크, 모듈러주택, 건설기계, 음원/음반, 의료기기, 우크라이나재건, 마이크로 LED, 화장품, 드론, NFT(대체불가토큰), 네옴시티, 인터넷 대표주, 게임/모바일게임, 가상현실, 3D 낸드, 가상화폐(비트코인등), 조선기자재, 항공기부품, 풍력에너지 여행 등이 하락률 상위를 기록하는 등 대부분의 테마가 하락.

 

728x90

'금일시황' 카테고리의 다른 글

0922 이슈요약  (0) 2023.09.22
0921 마감시황  (0) 2023.09.21
0920 이슈요약  (0) 2023.09.20
0919 마감시황  (0) 2023.09.19
0919 이슈요약  (0) 2023.09.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