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코스피시장-
9/21 KOSPI 2,514.97(-1.75%) 美 긴축 장기화 우려(-), 외국인/기관 순매도(-)
밤사이 뉴욕증시가 Fed 매파적 금리 동결 속 연내 추가 금리 인상 우려 등에 하락했고, 유럽 주요국 증시는 유럽 주요국 인플레이션 우려 완화 속 상승 마감. 이날 코스피지수는 2,544.81(-14.93P, -0.58%)로 하락 출발. 장초반 2,549.63(-10.11P, -0.39%)에서 장중 고점을 형성한 지수는 시간이 지날수록 재차낙폭을 키우는 모습. 오후 장중 2,520선 부근에서 등락을 보이던 지수는 장 막판 낙폭을 더욱 키워 2,514.96(-44.78P, -1.75%)에서 저점을 형성한 뒤 2,514.97(-44.77P, -1.75%)로 장을 마감.
밤사이 연방준비제도(Fed)가 시장 예상대로 기준금리를 동결했지만, 매파적 입장을보이면서 긴축 장기화 우려가 커진 점이 증시에 악재로 작용. 외국인과 기관은 동반 순매도하며 지수 하락을 이끌었음. 특히, 금융투자를 중심으로 한 기관이 하루만에 매도세로 돌아서며 7,200억원 넘게 순매도, 외국인은 4거래일 연속 순매도. 외국인은 선물시장에서도 13,000계약넘게 순매도하며 투자심리를 위축시켰음. 특히, 밸류에이션 부담이 큰 기술주들의 약세가 두드러짐.
Fed가 9월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회의에서 시장 예상대로 기준금리를 현 5.25~5.50%로 동결했지만, 추가 금리 인상 가능성을 열어두면서 매파적 입장을 강화했음. Fed 위원들은 금리 전망치를 담은 점도표에서 올해 말 기준금리가 5.6%를 기록할 것으로 예상. 이는 금리 전망치로는 5.50%~5.75%로 지금보다 0.25%포인트 추가 금리 인상을 예상한 것임. 아울러 내년 금리 전망치 중간값은 5.1%로 지난 6월의 4.6%에서 0.5%포인트 높아졌음. 시장에서는 5% 를 웃도는 고금리 환경이 오랫동안 지속될 수 있다는 의미로 해석되면서 긴축 장기화 우려가 커지는 모습.
아울러 제롬 파월 Fed 의장도 매파적 입장을 이어갔음. 파월 의장은 기자회견을 통해 적절하다면 금리를 추가로 인상할 준비가 돼 있으며, 인플레이션이 목표치를 향해 지속적으로 내려가고 있다고 자신할 때까지 제약적 수준에서 금리를 유지할 계획이라고 언급.
한편, 이날 관세청에 따르면, 9월1 ∼20일 수출액(통관 기준 잠정치)은 359억5,600만달러로 전년동기대비 9.8% 증가했음. 다만, 조업일수를 고려한 일평균 수출액은 7.9% 감소. 같은 기간 무역수지는 4억8,900만달러 적자를 기록해 지난달 같은 기간보다 적자 규모가 감소했음.
이날 원/달러 환율은 전거래일 대비 9.6원 상승한 1,339.7원을 기록.
수급별로는 외국인과 기관이 각각 688억, 7,220억 순매도, 개인은 7,681억 순매수. 선물시장에서는 외국인이 13,648계약 순매도, 개인과 기관은 각각 4,741계약, 8,580계약 순매수.
국고채 3년물 금리는 전거래일 대비 4.0bp 상승한 3.930%, 10년물은 전거래일 대비 6.8bp 상승한 4.031%를 기록.
3년 국채선물은 전거래일 대비 16틱 내린 102.90으로 마감. 외국인이 9,884계약 순매도, 은행, 금융투자는 5,115계약, 3,560계약 순매수. 10년 국채선물은 전거래일 대비 72틱 내린 107.78로 마감. 외국인, 보험이 3,493계약, 2,715계약 순매도, 금융투자는 4,867계약 순매수.
마감 지수 : KOSPI 2,514.97P(-44.77P/-1.75%)
- 코스닥시장-
9/21 KOSDAQ 860.68(-2.50%) 美 긴축 장기화 우려(-), 외국인/기관 순매도(-)
밤사이 뉴욕증시가 Fed 매파적 금리 동결 속 연내 추가 금리 인상 우려 부각 등에 하락한 가운데, 이날 코스닥지수는 875.52(-7.20P, -0.82%)로 하락 출발. 장초반 일부 낙폭을 만회해 879.82(-2.90P, -0.33%)에서 장중 고점을 형성한 지수는 시간이 지날수록 재차 낙폭을 확대. 장 후반 859.51(-23.21P, -2.63%)에서 장중 저점을 형성한 뒤 860.68(-22.04P, -2.50%)로 장을 마감.
Fed 매파적 입장 강화 속 긴축 장기화 우려가 커진 가운데, 외국인과 기관이 동 반 순매도하며 5거래일 연속 하락. 종가 기준 지난 7월10일 이후 최저치를 기록. 외국인과 기관은 5거래일 연속 동반 순매도.두산로보틱스 공모청약이 시작된 가운데, 로봇(산업용/협동로봇 등) 테마가 큰 폭으로 하락했고, 와이지엔터테인먼트(-13.28%)가 블랙핑크 다수 멤버의 재계약 불발 소식에 급락하는 등 엔터테인먼트 테마의 약세가 두드러짐. 반도체, 2차전지, 제약/바이오 등 대표적 기술/성장 관련테마들도 큰 폭 하락.
수급별로는 외국인과 기관이 각각 1,154억, 2,544억 순매도, 개인은 3,777억 순매수.
마감 지수 : KOSDAQ 860.68P(-22.04P/-2.50%)
특징테마
|
이 슈 요 약
|
테마시황
|
▷국내 첫 중입자치료 환자, 암 제거 확인 모멘텀 지속에 핵융합에너지 테마 상승.
▷尹 대통령, UN 연설서 '원전 포함 CF연합' 결성 제안 소식 등에 일부 원자력발전 테마 상승.
▷경희대 연구팀, 맥신 이용 수계 아연 금속 전지 상용화 전략 제시 소식에 일부 맥신(MXene) 테마 상승.
▷이 외에 초전도체, 생명보험, 일부 모바일게임 등 일부 테마만이 상승.
▷반면, 英 전기차 전환 연기 및 美 전기차 업체 주가 약세등에 2차전지/ 전기차 테마 하락. 리튬 공급 과잉 우려 지속 등에 리튬 테마 하락.
▷필라델피아 반도체지수 약세 등에 반도체 대표주(생산), 반도체 재료/부품/장비, 시스템반도체, 3D 낸드 등 반도체 관련 테마 하락. PCB(FPCB 등) 테마도 하락.
▷美 증시 하락,외국인/기관 동반 순매도 등에 국내 증시 약세 속 증권 테마 하락.
▷Fed 매파적 금리 동결 속 연내 추가 금리 인상 우려 등에 美 나스닥 지수가 하락했고, 인터넷 대표주, 게임, IT 대표주 테마 등도 하락.
▷오늘부터 이틀간의 일정으로 두산로보틱스 공모청약이 진행되는 가운데, 로봇(산업용/협동로봇 등) 테마 하락.
▷면역항암제, 보톡스, 줄기세포, 바이오시밀러, 제약업체, mRNA(메신저 리보핵산) 등 제약/바이오 관련 테마 하락.
▷뉴욕상업거래소(NYMEX)에서 서부 텍사스산 원유(WTI) 가격이 이틀째 하락한 가운데, 정유, LPG(액화석유가스), 셰일가스 등 에너지 관련 테마 하락.
▷이 외에 종합상사, LED장비, 음원/음반, 희귀금속(희토류 등), 밥솥, 3D 프린터, 화폐/금융자동화기기(디지털화폐 등), 자율주행차, 통신장비, 폴더블폰, 가상화폐(비트코인 등), 니켈, NI(네트워크통합), 플렉서블디스플레이, 우크라이나 재건, 5G, 치아 치료(임플란트 등), 페라이트, 아이폰, 네옴시티, 모듈러주택, 갤럭시 부품주, 철강 주요종목 등의테마가 하락률 상위를 기록하는 등 증시 부진 속 대부분의 테마가 하락.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