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일시황

0919 마감시황

ares0098 2023. 9. 19. 18:32
728x90

 

0123
01

 

- 코스피시장-

 

9/19 KOSPI 2,559.21(-0.60%) FOMC 경계감 속 기관/외국인 동반 순매도(-)

 

밤사이 뉴욕증시가 FOMC 관망세속 강보합 마감했고, 유럽 주요국 증시는 주요국 통화정책회의를 앞둔 경계감 속 하락 마감. 이날 코스피지수는 2,579.36(+4.64P, +0.18%)으로 강보합 출발. 장초반 보합권까지 밀려나기도 했지만, 재차 상승폭을 확대해 2,583.25(+8.53P, +0.33%)에서 고점을 형성. 오전 중 하락세로 돌아선 지수는 점차 낙폭을 키워 정오 무렵 2,565선 부근에서 움직이는 모습. 오후 들어 낙폭을 더욱 확대한 지수는 장 후반 2,555.46(-19.26P, -0.75%)에 서 장중 저점을 형성한 뒤 2,559.21(-15.51P, -0.60%)로 장을 마감.

 

美 FOMC를 앞두고 경계 심리가 지속된 가운데, 코스피지수는 이틀째 하락. 외국인과 기관은 동반 순매도하며 지수 하락을 이끌었음. 특히, 금융투자를 중심으로 한 기관이 3,800억원 넘게 순매도. 외국인은 선물시장에서도 10,000계약 넘게 순매도하며 투자 심리를 위축시키는 모습. 영국 영란은행(BOE) 통화정책회의, 일본은행(BOJ) 통화정책회의 등 주요국 통화정책회의에 대한 관망세도 짙어지는 모습.

 

현지시간으로 오는 19~20일 9월 FOMC 회의가 개최될 예정. 이번 회의에서 연방준비제도(Fed)가 기준금리를 동결할 것이란 전망이 기정 사실화되고 있지만, 최근 유가 상승 등으로 인플레이션 압력이 커지면서 연내 추가 금리 인상 여부에 대한 관심 집중되고 있음. 밤사이 시카고상품거래소(CME) 페드워치에 따르면, 연방기금(FF) 금리 선물 시장에서 뉴욕증시 마감 시점 Fed가 9월 회의에서 금리를 동결할 가능성은 99.0%를 나타냈음. 11월 회의까지 금리를 동결할 가능성은 69.1%를, 0.25%포인트 인상할 가능성은 30.6%를 기록.

한편, 21일에는 영란은행(BOE) 통화정책회의, 22일에는 일본은행(BOJ) 통화정책회의가 개최될예정.

 

국제유가 상승세 지속 속 인플레이션 우려가 이어지고 있는 점도 부담으로 작용. 밤사이 뉴욕상업거래소(NYMEX)에서 서부 텍사스산 원유(WTI) 10월 인도분 가 격은 전거래일 대비 0.71달러(+0.78%) 상승한 91.48달러에 거래 마감. 이는 지난해 11월 이후 최고치임. 브렌트유 가격도 94달러선을 돌파하며 지난해 11월 이후 최고치를 기록. 시장에서는 연말까지 원유 공급 부족 우려가 이어지면서 유가가 100달러에 근접할 수 있다는 전망이 나오고 있음.

 

일본, 중국, 대만 등 아시아 주요국 증시도 대부분 하락.

 

이날 원/달러 환율은 전거래일 대비 4.1원 상승한 1,328.5원을 기록.

 

수급별로는 외국인과 기관이 각각 16억, 3,850억 순매도, 개인은 3,606억 순매수. 선물시장에서는 외국인이 10,346계약 순매도, 개인과 기관은 각각 4,289계약, 5,732계약 순매수.

 

국고채 3년물 금리는 전거래일 대비 0.4bp 하락한 3.887%, 10년물은 전거래일 대비 3.0bp 하락한 3.952%를 기록.

 

3년 국채선물은 전거래일 대비 8틱 오른 103.08로 마감. 금융투자, 외국인이 1,522계약, 1,266계약 순매수, 은행, 투신은 1,569계약, 1,168계약 순매도. 10년 국채선물은 전거래일 대비 42틱 오른 108.65로 마감. 외국인이 1,995계약 순매수, 보험은 1,320계약 순매도.

 

 

 

마감 지수 : KOSPI 2,559.21P(-15.51P/-0.60%)

 

 

- 코스닥시장-

 

9/19 KOSDAQ 883.89(-0.83%) FOMC 경계감 속 외국인/기관 동반 순매도(-)

 

밤사이 뉴욕증시가 FOMC 관망세 속 강보합 마감한 가운데, 이날 코스닥지수는 891.57(+0.28P, +0.03%)로 강보합 출발. 장초반 보합권에서 등락을 보이던 지수는 상승폭을 다소키워 894.26(+2.97P, +0.33%)에서 고점을 형성. 오전 중 하락세로 돌아선 지수는 점차 낙폭을 키워 장 후반 882.42(-8.87P, -1.00%)에서 장중 저점을 형성한 뒤 883.89(-7.40P, -0.83%)로 장을 마감.

 

FOMC 경계감이 지속된 가운데, 외국인과 기관이 동반 순매도하며 코스닥지수는 사흘 연속 하락. 외국인과 기관은 3거래일 연속 순매도. 테슬라 등 美 전기차 업체 주가 약세 속 2차전지 테마가 하락했고, 반도체 수요감소 우려 지속 속 반도체 테마도 연일 하락. 반면, 6G Ready 조기 투자 및 美 5G 인프라 투자 본격화 기대감 지속 등에 통신장비, 5G 테마는 강세를 기록.

 

수급별로는 외국인과 기관이 각각 865억, 598억 순매도, 개인은 1,497억 순매수.

 

 

 

마감 지수 : KOSDAQ 883.89P(-7.40P/-0.83%)

 

 

 

 

특징테마
이 슈 요 약
테마시황
▷6G Ready 조기 투자 및 美5G 인프라 투자 본격화 기대감 등에 5G(5세대 이동통신)/ 통신장비 테마 상승.
▷국내 첫 중입자치료 환자, 암 제거 확인 소식에 핵융합에너지 테마 상승.
▷한수원, 美 웨스팅하우스 제기 소송 승소 소식 등에 원자력발전 테마 상승.
▷국제유가 연중 최고치 재경신 등에 일부 LPG(액화석유가스) 테마 상승.
▷中 국경절·중추절 연휴 기대감 속 화장품 글로벌 지표 호조 등에 일부 화장품 테마상승.
▷매각 본격화 기대감 지속 등에 롯데손해보험(+29.92%)이 이틀째 상한가를 기록했고, 보험사 배당가능이익 증가 기대감 지속등에 손해보험 테마 상승. 생명보험 테마도 소폭 상승.
▷8월 자동차 수출액 52.92억 달러(전년동월대비 +28.7%) 기록 속 일부 자동차 대표주 및 자동차 부품 테마 상승.
▷韓 10대 그룹 총수 내달 '네옴시티' 수주 목적 사우디아라비아 방문 기대감 지속 등에 네옴시티 테마 상승.
▷국내 기업 우크라이나 재건 사업 본격화 모멘텀 지속 등에 일부 우크라이나 재건/ 건설기계/ 모듈러주택/ 전력설비테마 상승.
▷이 외에 CCTV&DVR, 철도, 양자암호, 비만치료제, 철강 주요종목, 밥솥, 초전도체, 건설 대표주, 풍력에너지, 태양광에너지, 리츠(REITs) 등의 테마가 상승률 상위를 기록.
▷반면, 테슬라(-3.32%), 루시드 그룹(-4.73%) 등 美 전기차 업체 주가 약세 등에 2차전지/ 전기차, 리튬, 리비안(RIVIAN) 등 테마 하락.
▷최근 TSMC 장비 공급업체에 납품 연기 요청 등 반도체 업황 침체 장기화우려 등에 반도체 대표주(생산), 반도체 재료/부품/장비, 시스템반도체, 3D 낸드 등 반도체 관련 테마 하락.
▷이번주 두산로보틱스공모청약을 앞둔 가운데, 로 봇(산업용/협동로봇 등) 테마 하락.
▷이 외에 비료, LED장비, MLCC(적층세라믹콘덴서), AI 챗봇(챗GPT 등), 페라이트, 농업, 온실가스(탄소배출권), 증강현실(AR), 스마트팩토리, 해운, NFT(대체불가토큰), 영상콘텐츠, 유전자 치료제/분석, 메타버스, 가상현실(VR), SI, 국내 상장 중국기업, 사료, 마리화나(대마), 맥신(MXene), 니켈, 그래핀, OLED 등이 하락률 상위를 기록하는 등 대부분의 테마가 하락.
728x90

'금일시황' 카테고리의 다른 글

0920 마감시황  (0) 2023.09.20
0920 이슈요약  (0) 2023.09.20
0919 이슈요약  (0) 2023.09.19
0918 마감시황  (0) 2023.09.18
0918 종목 정리  (0) 2023.09.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