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일시황

0918 마감시황

ares0098 2023. 9. 18. 18:36
728x90

 

0123
01

 

- 코스피시장-

 

9/18 KOSPI 2,574.72(-1.02%) FOMC 경계감 속 외국인/기관 동반 순매도(-), 반도체株 약세(-)

 

지난 주말 뉴욕증시가 FOMC 대기 속 인플레이션 우려 지속, 반도체株 약세 등에 하락했고, 유럽 주요국 증시는 ECB 긴축 종결 기대감, 中 경기 회복 기대감 등에 상승. 이날 코스피지수는 2,588.69(-12.59P, -0.48%)로 하락 출발. 장초반 낙폭을 줄여 2.596.55(-4.73P, -0.18%)에서 장중 고점을형성한 지수는 재차 낙폭을 확대. 정오 무렵 2,580선 아래로 밀려나기도 했던 지수는 오후 장중 2,580선 부근에서 약세 흐름을 이어가는 모습. 장 후반 낙폭 을 더욱 키운 지수는 장 막판 2,573.26(-28.02P, -1.08%)에서 장중 저점을 형성한 뒤 2,574.72(-26.56P, -1.02%)로 장을 마감.

 

유가 상승세 지속 속 인플레이션 우려가 지속되고 있는 가운데, 반도체 업황 우려가 커지면서 증시에 악재로 작용. 외국인과 기관은 동반 순매도하며 지수 하락을 이끌었음. 외국인은 하루만에 재차 순매도, 기관은 7거래일만에 순매도 전환. 선물시장에서도 동반 순매도를기록. 이번주 美 FOMC 회의를 앞둔 경계감도 투자 심리를 위축시키는 모습.

 

글로벌 파운드리(반도체 위탁생산) 1위 업체 TSMC가 주요협력사에 첨단 반도체 제조장비의 공급 시기를 미뤄줄 것을 요청했다는 소식이 전해지며 반도체 업황 우려가 커지는 모습. 지난 15일(현지시간) 주요 외신에 따르면, TSMC가 수요 둔화 우려를 우려해 주요 협력사에 첨단 반도체 제조장비의 공급 시기를 미뤄줄 것을 요청했다는 소식이 전해짐. TSMC의 요청은 비용을 통제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으며 회사가 수요 전망에 대해 보다 신중해지고 있다는 점을 반영한 것으로 분석되고 있음. 이에 지난 주말 필라델피아 반도체지수가 3% 넘게 급락했고, 이날 국내증시에서도 삼성전자(-2.50%), SK하이닉스(-2.78%) 등 반도체 관련주들이 약세를 보이면서 증시에 부담으로 작용.

 

현지시간으로 오는 19~20일로 예정된 9월 FOMC 회의를 앞두고 경계 심리가 커지고 있음. 최근 발표된 미국의 8월 소비자물가지수(CPI)와 생산자물가지수(PPI) 등 주요 경제지표가 유가 상승 등으로 대체로 시장 예상치를 웃도는 강세를 보이면서 인플레이션 우려가 지속되고 있음. 시장에서는 9월 FOMC에서 Fed가 기준금리를 동결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는 가운데, 향후 회의와 관련해 어떤 힌트를 내놓을지 관심이 집중되고 있음. 지난 주말 시카고상품거래소(CME) 페드워치에 따르면, 연방기금(FF) 금리 선물 시장에서 Fed가 9월 회의에서 금리를 동결할 가능성은 99.0%를 나타냈으며, 11월 회의까지 금리를 동결할 가능성은 73.1%, 0.25%포인트 인상 가능성 26.7%를 기록.

 

아시아 주요국 증시는 일본이 휴장한 가운데, 중국이 상승한 반면, 대만, 홍콩 등은 하락.

 

이날 원/달러 환율은 전거래일 대비 1.5원 하락한 1,324.4원을 기록.

 

수급별로는 외국인과 기관이 각각 3,658억, 250억 순매도, 개인은 3,935억 순매수. 선물시장에서도 외국인과 기관이 각각 10,960계약, 5,109계약 순매도, 개인은 11,077계약 순매수.

 

국고채 3년물 금리는 전거래일 대비 4.1bp 상승한 3.891%, 10년물은 전거래일 대비 5.4bp 상승한 3.982%를 기록.

 

3년 국채선물은 전거래일대비 15틱 내린 103.00으로 마감. 은행이 5,740계약 순매도, 금융투자, 투신, 외국인은 2,393계약, 1,827계약, 831계약 순매수. 10년 국채선물은 전거래일 대비 47틱 내린 108.23으로 마감. 금융투자, 보험이 953계약, 785계약 순매도, 외국인은 912계약 순매수.

 

 

 

마감 지수 : KOSPI 2,574.72P(-26.56P/-1.02%)

 

 

 

- 코스닥시장-

 

9/18 KOSDAQ 891.29(-0.86%) FOMC 경계감 속 외국인/기관 동반 순매도(-), 반도체株 약세(-)

 

지난 주말 뉴욕증시가 FOMC 대기 속 인플레이션 우려, 반도체株 약세 등에 하락한 가운데, 이날 코스닥지수는 892.18(-6.85P, -0.76%)로 하락 출발. 오전 중 낙폭을 줄여 896.37(-2.66P, -0.30%)에서 장중 고점을 형성한 지수는 장중 894선을 중심으로 하락세를 이어가는 모습. 오후 장중 재차 낙폭을 키운 지수는 장후반 889.99(-9.04P, -1.01%)에서 저점을 형성한 뒤 891.29(-7.74P, -0.86%)로 장을 마감.

 

FOMC 경계감 속 외국인과 기관이 동반 순매도한 가운데, 반도체 수요 둔화 우려 등에 따른 반도체 관련주들이 큰 폭으로 하락하며 지수 하락을 이끌었음. 외국인과 기관은 이틀 연속 동반 순매도를 기록. 더코디(-30.00%), 넥스틴(-11.53%), 티에스이(-11.03%), 피에스케이홀딩스(-10.00%) 등 반도체 장비株가 급락세를 나타냈고, AI 기반 3D 의료 영상 분석 솔루션 전문업체 코어라인소프트(-25.05%)는 스팩소멸합병 첫날 급락.

 

수급별로는 외국인과 기관이 각각 154억, 1,334억 순매도, 개인은 1,779억 순매수.

 

 

 

마감 지수 : KOSDAQ 891.29P(-7.74P/-0.86%)

 

 

특징테마
이 슈 요 약
테마시황
▷中 국경절 연휴 소비 회복기대감 등에 여행/카지노/면세점/화장품, 밥솥 등의 中 소비 관련 테마 상승.
▷국제유가 상승 지속 등에 정유/ LPG(액화석유가스) 테마 상승.
▷오세훈 서울시장 호감도 1위 소식 등에 정치/인맥(오세훈) 등 테마 상승. 과거 서울시 재개발·재건축 규제 완화 기대감등으로 시장 에서 부각된 바 있는 건설 중소형 테마 상승.
▷국내 기업 우크라이나 재건 사업 본격화 소식 등에 건설기계/ 우크라이나 재건/ 원자력발전/ 전력설비 등 테마 상승.
▷우주개발 성장성 가속화 기대감 등에 우주항공산업 테마 상승.
▷교육부, '에듀테크' 산업 육성 및 수출 활성화 계획 소식 등에 교육/온라인 교육 테마 상승.
▷사이버보안 산업 시장 확대 수혜 기대감 등에 일부 보안주(정보) 테마 상승.
▷美中 갈등 속 중국 내 아이폰15 예약판매 시작 단 1분만에 완판 소식 등에 일부 아이폰 테마 소폭 상승.
▷롯데손해보험(+29.75%)이 매각 추진 소식 등에 상한가, 흥국화재(+4.31%), 코리안리(+1.09%) 등 일부 종목이 상승한 가운데, 일부손해보험 테마 상승.
▷이 외에 비료, 자원개발, 철강 주요종목, 해저터널(지하화/지하도로 등), 보톡스, 바이오시밀러, 시멘트/레미콘, 건강기능식품, 출산장려장책, 클라우드 컴퓨팅 등의 테마가 상승률 상위를 기록.
▷반면, TSMC, 수요 둔화 우려에 따른 장비 납품 연기 요청 소식 및 필라델피아 반도체지수 급락 등에 반도체 대표주(생산), 반도체 재료/부품/장비, 3D 낸드 등의 반도체 관련 테마 하락. PCB(FPCB 등) 테마도 하락.
▷국제유가 상승 지속 등에 항공/저가 항공사, 해운 테마 하락.
▷美 인플레이션 경계감 속 지난 주말 美 대형 기술주 하락 속 인터넷 대표주, IT 대표주 하락.
▷이번주 후반 두산로보틱스 공모청약을 앞둔 가운데, 로봇(산업용/협동로봇 등) 테마는 하락.
▷이 외에 종합상사, 면역항암제, 자율주행차, 유전자 치료제/분석, 니켈, 전자결제(전자화폐), 갤럭시부품주, 종합 물류, 음원/음반, 게임,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OLED, 의료기기, 양자암호, 농업, 스마트폰, 자동차 대표주, 페라이트, 전기차( 충전소/충전기), 2차전지 등이 하락률 상위를 기록하는 등 대부분의 테마가 하락.
728x90

'금일시황' 카테고리의 다른 글

0919 마감시황  (0) 2023.09.19
0919 이슈요약  (0) 2023.09.19
0918 종목 정리  (0) 2023.09.18
0915 마감시황  (0) 2023.09.15
0915 이슈요약  (0) 2023.09.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