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코스피시장-
9/15 KOSPI 2,601.28(+1.10%) ECB 금리인상 중단 시사(+), 中 경제지표 호조(+), 기관 대규모 순매수(+)
지난밤 뉴욕증시가 ECB 금리 인상 중단 시사, ARM 상장 첫날 급등 등에 상승, 유럽 주요국 증시도 상승 마감. 이날 코스피지수는 2,574.98(+2.09P, +0.08%)로 강보합 출발. 장 초반 2,572.37(-0.52P, -0.02%)에서 장중 저점을 기록한 후 시간이 갈수록 상승폭을 확대. 오후 한때 2,611.00(+38.11P, +1.48%)에서 장중 고점을 형성한 후 장 후반 상승폭을 다소 반납한 끝에 결국 2,601.28(+28.39P, +1.10%)에서 거래를 마감. 코스피지수는 한달 여 만에 2,600선을 회복.
지난밤 ECB가 금리 인상 중단을 시사한 가운데, 中 8월 소매판매, 산업생산 지표 호조 속 금융투자 중심의 기관과 외국인 동반 순매수 등에 코스피지수는 이틀 연속 상승. ARM이 뉴욕증시 상장 첫날 급등하면서 기술주 투자심리가 개선된 점도 긍정적으로 작용. 기관이 이틀째 1조원 넘는 대규모 순매수를 지속하면서 코스피지수 상승을 이끌었음. 외국인은 선물시장에서 2만계약 가까운 대규모 순매수, 선물지수는 1% 넘게 강세 마감.
美 소비자물가지수, 생산자물가지수 발표를 소화한 가운데, 금일 시장은 중국 경제지표 발표에 관심이 집중되는 모습. 금일 중국 국가통계국은 8월 소매판매가 전년동기대비 4.6% 증가했다고 발표. 이는 시장전망치와 7월의 증가폭(2.5%)을 모두 상회하는 수준. 8월 산업생산 역시 전년동기대비 4.5% 증가하면서 시장전망치와 전월(3.7%) 수치를 모두 상회. 이에 대해 시장에서는 중국 당국의 다양한 내수 진작과 소비 촉진책 등으로 소비심리가 되살아나고 있다는 평가를 내놓고 있음.
지난밤 ECB가 기준금리를 인상했지만, 금리 인상이 마지막일 가능성을 시사. ECB는 성명을 통해 "주요 금리가 충분히 오랫동안 유지되면, 인플레이션을 목표치로 적시에 돌아오게 하는 데 상당히 기여할 수 있는 수준에 도달했다"고 언급. 이에 글로벌 중앙은행들의 긴축이 막바지에 다다랐다는 인식이 강화됐고, Fed의 11월 금리 인상 가능성도 약화되는 모습.
지난밤 발표된 미국의 8월 생산자물가지수(PPI)는 계절조정기준 전월대비 0.7% 상승. 이는 22년6월(0.9%) 이후 가장 큰 상승폭으로 시장 예상치(0.4% 상승)도 상회. 에너지 가격 10.5% 급등이 PPI 상승 요인으로 작용. 서부 텍사스산 원유(WTI) 10월 인도분 가격이 지난밤 전일 대비 1.85% 상승하면서 90달러를 돌파, 인플레이션 우려가 지속되는 모습.
수급별로는 기관과 외국인이 각각 1조679 억, 478억 순매수. 개인은 1조1,277억 순매도. 선물시장에서는 외국인이 18,196계약 순매수, 개인과 기관은 각각 7,845계약, 6,405계약순매도.
원/달러 환율은 전거래일 대비 0.2원 상승한 1,325.9원을 기록.
국고채 3년물 금리는 전일 대비 1.4bp 상승한 3.850%, 10년물은 전일 대비 1.1bp 상승한 3.928%를 기록.
3년 국채선물은 전일대비 3틱 내린 103.15 마감. 외국인이 2,016계약 순매도, 은행은 1,580계약 순매수. 10년 국채선물은 전일대비 11틱 내린 108.70 마감. 외국인과 은행이 각각 1,677계약, 579계약 순매수, 금융투자는 1,777계약 순매도.
마감 지수 : KOSPI 2,601.28P(+28.39P/+1.10%)
- 코스닥시장-
9/15 KOSDAQ 899.03(-0.05%) 외국인·기관 동반 순매도(-), 中 지표 호조(+)
지난밤 뉴욕증시가 ECB 금리 인상 중단 시사, ARM 상장 첫날 급등 등으로 상승한 가운데, 이날 코스닥지수는 900.62(+1.15P, +0.13%)로 강보합 출발. 장 초반부터 보합권을중심으로 등락을 보였고, 오전 내내 혼조세를 지속. 오후 들어 902.40(+2.93P, +0.33%)에서 장중 고점을 형성했으나 재차 혼조세를 보였고,장 후반 하락해 897.11(-2.36P, -0.26%)에서 장중 저점을 기록한 후 낙폭을 다소 줄여 결국 899.03(-0.44P, -0.05%)에서 거래를 마감.
외국인과 기관 순매도 등에 코스닥지수는 약보합. 전일 사흘만에 반등했던 코스닥지수는 하루만에 재차 하락. 전일 7거래일만에 순매수했던 외국인은 하루만에 다시 순매도로 돌아섰고, 기관은 4거래일만에 순매도. 지난밤 뉴욕증시에 상장한 ARM이 급등세를 보이는 등 기술주 투자심리 개선 등도 코스닥지수에는 힘이 되지 못하는 모습.
에코프로비엠(-1.75%), 에코프로(-1.55%) 등 시총 1, 2위 에코프로 그룹주가 하락, 에스엠(-2.87%), JYP Ent.(-1.34%), 와이지엔터테인먼트(-2.94%) 등 엔터주도 하락. 두산로보틱스 IPO 관련 기관투자자 대상 수요예측이 진행된 가운데, 레인보우로보틱스(-8.46%), 스맥(-9.73%), 티로보틱스(-5.17%), 에스피지(-5.09%) 등 로봇 테마도 하락. 반면, HPSP(+3.06%), 원익IPS(+1.17%), 에스에프에이(+2.13%), 유진테크(+3.66%) 등 일부 반도체 관련주가 상승. 미코바이오메드(+29.99%)는 사우디로부터 대규모 투자 유치 소식이 전해진 가운데 상한가.
수급별로는 외국인과 기관은 각각 1,542억, 139억 순매도, 개인은 1,817억 순매수.
마감 지수 : KOSDAQ 899.03P(-0.44P/-0.05%)
특징테마
|
이 슈 요 약
|
테마시황
|
▷中 인민은행, 지급준비율인하 소식 등에 해운/철강/석유화학 및 여행/화장품/면세점/카지노 등의 中 소비 관련 테마 상승.
▷재건협력대표단 우크라이나 방문, 6대 재건 프로젝트 발표 등에 건설기계/ 우크라이나 재건 테마 상승.
▷美 상무부 부장관, 사이버보안 무역 사절단과 방한 소식 속보안주(정보) 테마 상승.
▷니콜라 수소트럭 출시 기대감 등에 수소차(연료전지/부품/충전소 등) 테마 상승.
▷美 5G 인프라투자 본격화 기대감 지속 속 삼성전자, 인도 5G 장비 생산공장 추진설 등에 5G(5세대 이동통신)/ 통신장비 테마 상승. 통신 테마도 상승.
▷EU, 中 전기차 보조금 조사 속 반사이익 기대감 등에 2차전지 테마 상승. 리튬, 니켈, 폐배터리, 전기차 테마 등도 상승.
▷국내 10대 그룹 총수 네옴시티 수주 총력전 소식 등에 네옴시티 테마 상승.
▷국제유가 90달러 돌파, 지난해 11월 이후 최고치 기록 등에 정유, LPG, LNG, 셰일가스 등 에너지 관련 테마 상승. 조선 테마도 상승.
▷연말 美 해상풍력 프로젝트 정상화 기대감 등에 풍력에너지 테마 상승.
▷고배당 기대감 지속 속 손해보험, 생명보험, 은행 등 금융 테마 상승.
▷한덕수 총리, 체코·폴란드 원전협력 논의 속 원자력발전 테마 상승.
▷이 외 농업, 전선, 항공기부품, 코로나19(음압병실/음압구급차), 양자암호, 밥솥, 선박평형수처리장치, MLCC, 자원개발, 야놀자, 카카오뱅크, 편의점, STO(증권형 토큰 발행), 남-북-러 가스관사업, 태양광에너지, 탄소나노튜브(CNT),음원/음반, 엠폭스(원숭이두창), 북한 광물자원개발, 블록체인, 사물인터넷 등의 테마가 상승률 상위를 기록하는 등 대부분 테마가 하락.
▷반면, 국제유가 상승에 따른 연료유 가격 상승 우려 속 항공/저가 항공사(LCC) 테마 하락.
▷비만치료제 시장 확대 기대감 등에 최근 부각됐던 비만치료제 테마 하락. mRNA, 보톡스, 유전자 치료제/분석, 치매, 제대혈 등 여타 제약/바이오 관련 테마도 하락.
▷美 빅테크 기업, AI 규제 필요성 공감 소식 속 지능형로봇/인공지능(AI), AI 챗봇(챗GPT 등) 테마 하락.
▷이 외 3D 프린터, 마리화나(대마), 코로나19(스푸트니크V), 미용기기, 출산장려정책, LED장비, 스마트팩토리(스마트공장), 日 수출 규제(국산화), 초전도체, 시스템반도체 등의 테마가 하락률 상위를 기록하는 등 일부 테마가 하락.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