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코스피시장-
9/25 KOSPI 2,495.76(-0.49%) 외국인 순매도(-), 2차전지주 하락(-), 中 헝다 회생 계획 차질(-), Fed 긴축 우려 및 셧다운 우려 지속(-)
지난 주말 뉴욕증시가 Fed 긴축 장기화 우려 지속 및 셧다운 우려 등에 하락, 유럽 주요국 증시는 혼조 마감. 이날 코스피지수는 2,504.10(-4.03P, -0.16%)으로 약보합 출발. 장 초반 상승 전환했고, 2,509.38(+1.25P, +0.05%)에서 장중 고점을 형성한후 재차 하락 전환했고, 오전중 낙폭을 확대. 오전 한때 2,486.44(-21.69P, -0.86%)에서 장중 저점을 기록한 후 시간이 갈수록 낙폭을 줄였고, 오후 들어 2,502선을 회복하기도 했으나 장 막판 다시 하락한 끝에 결국 2,495.76(-12.37P, -0.49%)에서 거래를 마감.
외국인 순매도 등에 코스피지수는 사흘 연속 하락. 5월 중순 이후 4개월여 만에 종가기준 2,500선 아래서 거래를 마감. 외국인은 6거래일 연속 순매도하면서 지수 하락을 이끌었음. 개인은 6거래일 연속 순매수, 기관은 사흘만에 순매수 전환. 지난 주말 뉴욕증시가 Fed 긴축 장기화 우려 지속및 셧다운 우려 등에 하락하면서 투자심리가 위축됐고, 2차전지 관련주들이 큰 폭으로 하락하면서 지수 하락을 이끌었음. 아울러, 中 대형 부동산 개발업체 헝다의 신규 채권 발행 금지 소식이 전해지면서 헝다의 회생 계획이 차질을 빚을 것이라는 전망도 증시에 부담으로 작용.
수잔 콜린스 보스턴 연은총재, 메리 데일리 샌프란시스코 연은 총재 등 지난 주말 Fed 주요 인사들의 매파적 발언이 이어지면서 Fed 긴축 장기화에 대한 우려가 지속. 美 연방정부의 셧다운 우려도 시장에 부담으로 작용. 셧다운을 피하려면 2024년 회계연도가 시작되는 10월1일전에 예산안을 처리해야 하지만, 공화당 내 강경파들이 대폭 삭감을 주장하면서 여야 합의가 불투명한 상황.
금일 국내 2차전지 대표 종목들은 동반 하락. LG에너지솔루션(-3.05%), 삼성SDI(-2.25%), SK이노베이션(-1.83%), 포스코퓨처엠(-6.82%), POSCO홀딩스(-5.27%) 등이하락. 지난 주말 뉴욕증시에서 테슬라(-4.23%)가 중국 악재가 불거지면서 약세를 기록했고, 리비안(-4.37%) 루시드 그룹(-1.16%) 등 여타 전기차 업체 주가도 하락하면서 투자심리가 위축. 아울러, 리튬 가격 급락세 및 글로벌 전기차 보조금 축소 영향 지속, 양극재 수출 가격 급락등이 악재로 작용.
아시아 주요국 증시는 일본, 대만이 상승했고, 중국, 홍콩은 하락.
수급별로는 외국인이 1,332억 순매도, 개인과 기관은 각각 469억, 711억 순매수. 선물시장에서는 외국인과 기관이 각각 4,020계약, 265계약 순매수, 개인은 2,883계약 순매도.
원/달러 환율은 전거래일 대비 0.3원 하락한 1,336.5원을기록.
국고채 3년물 금리는 전일 종가와 같은 3.876%, 10년물은 전일 대비 1.1bp 상승한 4.012%를 기록.
3년 국채선물은 전일대비 3틱 내린 103.05 마감. 금융투자와 은행이 각각 5,733계약, 3,916계약 순매도, 외국인은 9,902계약 순매수. 10년 국채선물은 전일대비 16틱 내린 107.96 마감. 보험과 은행이 각각 1,630계약, 774계약 순매도, 외국인은 2,006계약 순매수.
마감 지수 : KOSPI 2,495.76P(-12.37P/-0.49%)
- 코스닥시장-
9/25 KOSDAQ 839.17(-2.12%) 외국인 순매도(-), 2차전지주 하락(-), Fed 긴축 우려 및 셧다운 우려 지속(-)
지난 주말 뉴욕증시가 Fed 긴축 장기화 우려 지속 및 셧다운 우려 등에 하락한 가운데, 이날 코스닥지수는 856.79(-0.56P, -0.07%)로 약보합출발. 장 초반 859.04(+1.69P, +0.20%)에서 장중 고점을 형성한 후 시간이 갈수록 낙폭을 확대. 오후 들어 낙폭을 다소 줄이기도 했으나 재차 낙폭을 확대했고, 결국 장중 저점인 839.17(-18.18P, -2.12%)에서 거래를 마감.
외국인 순매도 및 2차전지주 약세 등에 코스닥지수는 7거래일 연속 하락. 코스닥지수는 지난 5월 중순 이후 4개월여 만에 종가기준 840선을 하회. 외국인은 7거래일 연속 순매도. 기관은 이틀연속 순매수, 개인은 1,200억 넘게 순매수하며 하루만에 재차 순매수 전환.
에코프로그룹주는 에코프로머티리얼즈 상장 예비 심사 통과 소식 속 재료 소멸 등으로 약세. 유진투자증권이 에코프로비엠(-8.89%)에 대해 리튬 가격 하락에 따른 양극재 판가 하락으로 3분기 영업이익이 전년동기대비 역성장할 것으로 전망한 점도 투자심리를 위축시켰음.
금일 신규 상장한 인스웨이브시스템즈(+114.58%)는 급등 마감. 시진핑 中 국가주석 방한 검토 소식 및 중국 연휴를 앞두고 중국인 관광객 방한 기대감 등에 마녀공장(+7.14%), 클리오(+4.95%) 등 화장품 테마가 상승했고, JYP Ent.(+7.30%), 에스엠(+1.30%) 등 엔터테인먼트 테마도 상승.
수급별로는 외국인이 1,351억 순매도, 개인과 기관은 각각 1,269억, 129억 순매수.
마감 지수 : KOSDAQ 839.17P(-18.18P/-2.12%)
특징테마
|
이 슈 요 약
|
테마시황
|
▷시진핑 中 국가주석 방한검토 소식 및 中 국경절 속 유커 소비 기대감 등에 화장품/ 면세점/ 카지노/ 국내 상장 중국기업 등 일부 中 소비 관련 테마 상승. 여행, 밥솥 테마도 상승.
▷자동차 업종 매수 적기 분석 등에 자동차 대표주 테마 상승.
▷주요 아티스트 컴백 기대감 등에 일부 엔터테인먼트/ 음원/음반 테마 상승.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 구속영장 실질심사 하루 앞두고 정치/인맥(이낙연, 김동연, 이재명 등) 테마 상승.
▷이 외 공작기계, 모더나(MODERNA), 구충제(펜벤다졸, 이버멕틴 등), 카카오뱅크, 홈쇼핑, 재택근무/스마트워크, 반도체대표주(생산) 등 일부 테마만 상승.
▷반면, 테슬라 등 美 전기차 업체 주가 약세, 양극재 수출 가격 급락 등에 2차전지/ 전기차 테마 하락. 폐배터리, 리튬, 니켈 테마 등도 하락.
▷美 니콜라 주가 약세 속 수소차 테마 하락.
▷두산로보틱스 상장 기대감 등에 최근 부각됐던 로봇(산업용/협동로봇 등) 테마 하락. 지능형로봇/인공지능(AI) 테마도 하락.
▷초전도체 진위 논란 지속 속 초전도체 테마 하락.
▷6G Ready 조기 투자 및 美 5G 인프라 투자 본격화 기대감 등에 최근 상승했던 5G/ 통신장비 테마 하락.
▷CJ CGV, 유상증자 신주 상장 앞두고 권리매도 첫날 25% 넘게 급락한 가운데 영화 테마 하락.
▷증시 약세 속 증권 테마 하락.
▷줄기세포, 탈모 치료, 비만치료제, 엠폭스(원숭이두창), 치매, 유전자 치료제/분석, 제대혈 등 제약/바이오 관련 테마 하락. 코로나19(진단키트), 코로나19(치료제/백신 개발 등) 등 코로나19 테마도 하락.
▷이 외 철강 주요종목, 해운, 전선, 전력설비, 제습기, U-Healthcare( 원격진료), 종합 물류, 건설기계, 웹툰, 강관업체, 야놀자, 우주항공산업, 전력저장장치(ESS), 창투사, 스마트그리드, 맥신(MXene), 전기자전거, 풍력에너지, 폐기물처리, 스마트팩토리(스마트공장), 바이오인식(생체인식), 공기청정기, 모듈러주택 등의 테마가 하락률 상위를 기록하는 등 대부분 테마가 하락.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