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일시황

0908 마감시황

ares0098 2023. 9. 8. 18:29
728x90

 

0123
01

 

- 코스피시장-

 

9/8 KOSPI 2,547.68(-0.02%) 美/中 갈등 속 외국인 순매도(-), SK하이닉스 등 반도체株 하락(-), 기관/개인 순매수(+)

 

밤사이 뉴욕증시가 Fed 긴축 우려 지속, 애플 급락 속 혼조세를 나타냈고, 유럽 주요국 증시도 혼조 마감. 이날 코스피지수는 2,546.07(-2.19P, -0.09%)로 약보합 출발. 장초반 낙폭을 키우기도 했던 지수는 이내 반등에 성공하며 2,550.96(+2.70P, +0.11%)에서 장중 고점을 형성. 재차 하락세로 돌아선 지수는 점차 낙폭을 확대했고, 오후 장중 2,530.05(-18.21P, -0.71%)까지 밀려나며 저점을 형성. 이후 장 마감까지 낙폭을 축소한 지수는 낙폭 대부분을 만회하며 결국 2,547.68(-0.58P, -0.02%)로 장을 마감.

 

美/中 갈등 우려 부각 속 외국인이 순매도하며 코스피지수는 나흘째 하락. 외국인은 3,500억원 넘게 순매도하는 등 사흘 연속 순매도하며 지수 하락을 이끌었음. 특히, 화웨이스마트폰 신제품에 SK하이닉스의 메모리 반도체가 사용됐다는 소식에 美 정부의 제재 우려가 부각되면서 SK하이닉스(-4.05%)가 큰 폭으로 하락했고, 삼성전자(-0.14%) 등 여타 반도체 관련주들의 약세가 두드러짐. 중국 당국의 아이폰 금지령 확대 우려 속 LG이노텍(-3.17%) 등 아이폰 관련주들도 연일 하락.

 

다만, 기관과 개인이 동반 순매수한 가운데, 장후반 선물시장에서 외국인 순매도 규모가 축소되면서 지수낙폭은 제한된 모습. 은행, 보험 등 금융주들이 상승했고, 美/EU, 중국 철강 과잉생산 겨냥한 새 관세 검토 소식 속 반사수혜 기대감 등에 철강주들도 강세.

 

정보통신 분야에서 미국과 중국의 전략적 경쟁이 심화되는 등 美/中 갈등이 지속되고 있음. 화웨이가 미국의 제재에도 첨단 반도체 칩이 탑재된 스마트폰을 출시한 가운데, 미국은 화웨이가 제재를 위반했는지 조사해 문제가 드러날 경우 추가 제재를 가하겠다고 밝힘. 한편, 화웨이의 '메이트 60 프로'를 해체해 분석한 결과, 부품에 SK하이닉스의 스마트폰용 D램인 LPDDR5와 낸드플래시가 포함된 것으로 전해짐. 이 같은 소식에 美 정부의 제재 우려가 부각되는 모습.

아울러 중국 정부는 최근 애플 아이폰을 비롯해 외국산 기기를 정부기관에서 사용하지 않도록 금지령을 내린 바 있으며, 제시카 로즌워슬 미국 연방통신위원회(FCC) 위원장은 중국 업체 ?텔(Quectel)과 파이보컴(Fibocom) 등 2곳을 ‘국가안보에 위협이 되는 기업 명단’에 올리는 방안을 추진 중이라고 밝힌 것으로 전해짐.

 

한편, 이날 한국은행이 발표한 ‘2023년 7월 국제수지(잠정)’에 따르면, 7월 경상수지는 35억8,000만달러 흑자를 기록. 5월 이후 3개월 연속 흑자지만, 6월보다 흑자폭이 감소했으며, 수출대비 수입이 더 감소해 나타난 ‘불황형 흑자’를 이어감.

 

 

이날 원/달러 환율은 전거래일 대비 2.0원 하락한 1,333.4원을 기록.

 

수급별로는 외국인이 3,552억 순매도, 개인과 기관은 각각 2,163억, 1,085억 순매수. 선물시장에서는 외국인과 개인이 각각 281계약, 894계약순매도, 기관은 1,326계약 순매수.

 

국고채 3년물 금리는 전거래일 대비 5.2bp 하락한 3.795%, 10년물은 전거래일 대비 7.4bp 하락한 3.895%를 기록.

 

3년 국채선물은 전거래일 대비 13틱 오른 103.29로 마감. 외국인이 8,474계약 순매수, 은행, 금융투자는 4,966계약, 3,522계약 순매도. 10년 국채선물은 전거래일 대비 68틱 오른 109.03으로 마감. 외국인이 4,734계약 순매수, 금융투자, 은행은 2,961계약, 1,020계약 순매도.

 

 

 

마감 지수 : KOSPI 2,547.68P(-0.58P/-0.02%)

 

 

 

- 코스닥시장-

 

9/8 KOSDAQ 914.18(+0.86%) 기관 순매수(+), 제약/바이오株 강세(+), 美/中 갈등 속 외국인/개인 순매도(-)

 

밤사이 뉴욕증시가 Fed 긴축 우려 지속, 애플 급락 속 혼조 마감한 가운데, 이날 코스닥지수는 908.08(+1.72P, +0.19%)로 소폭 상승 출발. 장초반 상승폭을 키워 913선 위로 올라서기도 했지만, 이내 하락세로 돌아서며 902.77(-3.59P, -0.40%)에서 장중 저점을 형성. 이후 보합권에서 등락을 거듭하던 지수는 장후반 상승으로 방향은 잡은 뒤 빠르게 상승폭을 키워 결국 장중 고점인 914.18(+7.82P, +0.86%)로 장을 마감.

 

美/中 갈등 속 외국인/개인 순매도 등에 장중 하락세를 이어가기도 했지만, 기관 순매수 확대, 장후반 외국인 매도세 축소 등에 상승세로 돌아서며 코스닥지수는 3거래일만에 반등. 기관은 7거래일만에 순매수 전환. 특히, 비만 치료제 시장 기대감이 지속되고 있는 가운데, 비만치료제 관련주들을 중심으로 제약/바이오 관련주들의 상승세가 두드러짐. 아울러 최근 부진한 모습을 나타냈던 시총 상위 2차전지 관련주들이 반등에 성공하는 모습.

 

수급별로는 기관이 1,126억 순매수, 외국인과 개인은 각각 495억, 403억 순매도.

 

 

 

마감 지수 : KOSDAQ 914.18P(+7.82P/+0.86%)

 

 

특징테마
이 슈 요 약
테마시황
▷中 정부, 비료업체에 요소수출 중단 지시 소식에 비료/ 농업/ 요소수/ 사료 테마 상승.
▷美·EU, 중국 철강 과잉생산 겨냥한 새 관세 검토 소식 속 반사수혜기대감 등에 철강 주요종목/ 철강 중소형 테마 상승.
▷비만치료제 시장 확대 기대감 지속 등에 비만치료제 테마 상승.
▷메디톡스, 휴젤, 대웅제약 등 국내 보툴리눔 톡신 3사, 치료용 시장 진출을 위한 적응증 확대 소식 등에 보톡스(보툴리눔톡신) 테마 상승.
▷글로벌 치매 시장 확대 기대감 등에 치매 테마 상승.
▷日 오염수 방류 인근 삼중수소 하한치 초과 검출 소식에 수산/ 육계/ 음식료업종 테마 상승.
▷中 단체관광 재개에 따른 실적 개선 기대감 지속에 카지노 테마 상승.
▷국제 여객 수요 호조 지속 전망등에 항공/저가 항공사(LCC) 테마 상승.
▷증시 불확실성 확대 및 시중금리 상승 가능성 등에 손해보험/ 생명보험 테마 상승.
▷美/中 갈등 우려 등에 희귀금속(희토류 등) 테마 상승.
▷이재명 당대표, 차기 대통령 선호도 1위 소식에 정치/인맥(이재명) 테마상승.
▷이 외에 유전자 치료제/분석, 면역항암제, 치매, mRNA(메신저 리보핵산), 제약업체, 바이오시밀러 등 제약/바이오 관련주와미용기기, 수자원(양적/질적 개선), 도시가스, 모듈러주택, 마이크로바이옴, 시멘트/레미콘, 탈모 치료, 자원개발, 홈쇼핑, 온실가스(탄소배출권), 전선, 화장품 등의 테마가 상승률 상위를 기록.
▷반면, 필라델피아 반도체지수 하락 및 화웨이 스마트폰에 SK하이닉스 칩 포함 논란 속 반도체 대표주(생산), 시스템반도체, 반도체 재료/부품, 반도체 장비 등 반도체 관련주 하락.
▷중국 당국의 아이폰 등 외산폰 금지령 확대 우려 속 애플 주가 연일 하락 등에 아이폰 테마 하락. 금지 외산폰에 갤럭시 포함 소식에 갤럭시 부품주/ 스마트폰 테마 등도 하락.
▷이 외에 국내 상장 중국기업, 전자파, LED장비, IT 대표주, 2차전지(전고체), 2차전지(생산), AI 챗봇(챗GPT 등), 카메라모듈/부품, OLED, 인터넷 대표주, 맥신(MXene), 웹툰, 미디어(방송/신문), 전기차(충전소/충전기), 日 수출 규제(국산화 등), 무선충전기술, 음성인식, 렌터카, 화폐/금융자동화기기(디지털화폐 등), 2차전지(장비), PCB(FPCB 등), 초전도체, 비철금속 등의 테마가 하락률 상위를 기록.
728x90

'금일시황' 카테고리의 다른 글

0912 이슈요약  (0) 2023.09.12
0911 마감시황  (0) 2023.09.11
0907 마감시황  (0) 2023.09.07
0906 이슈요약  (2) 2023.09.07
0906 마감시황  (0) 2023.09.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