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코스피시장-
9/11 KOSPI 2,556.88(+0.36%) 외국인·기관 순매수(+), 美 증시 소폭 상승(+), Fed 긴축 장기화 우려 및 美 주요 경제지표 경계감(-)
지난 주말 뉴욕증시가 Fed 긴축 장기화 우려 지속된 가운데, 반발 매수세 유입 등으로 소폭 상승, 유럽 주요국 증시도 상승. 이날 코스피지수는 2,549.88(+2.20P, +0.09%)로 강보합 출발. 장 초반 하락 전환한 후 2,540.44(-7.24P, -0.28%)에서 장중 저점을기록. 오전중 보합권을 중심으로 등락을 거듭하다 오전 한때 2,556선까지 상승하기도 했음. 오후 들어 재차 보합권에서 혼조세를 보였고, 장후반 다시 상 승폭을 키워 장 막판 2,556.89(+9.21P, +0.36%)에서 장중 고점을 형성한 끝에 2,556.88(+9.20P, +0.36%)에서 거래를 마감.
이번주 발표될 美 주요 물가지표 및 실물지표 발표를 앞두고 경계감이 커진 가운데, 외국인과 기관의 동반 순매수 등으로 코스피지수는 5거래일만에 반등. 외국인은 4거래일만에 순매수, 기관은 이틀 연속 순매수를 기록. 반면, 개인은 4거래일만에 순매도.
현지시간으로13일 발표될 美 8월 소비자물가지수에 시장의 관심이 집중되는 모습. WSJ 집계에 따르면, 美 8월 소비자물가지수(CPI)는 전월대비 0.6% 상승해 지난 7월 0.2% 상승을 상회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음. 전년대비로는 3.6% 상승해 역시 7월의 3.2% 상승을 상회할 전망. 국제유가가 7월부터 빠르게 상승하면서 물가가 반등세로 돌아설 것이라는 전망이 우세함. 변동성이 큰 에너지와 식료품 가격을 제외한 근원 CPI는 전월대비 0.2% 상승, 전년대비 4.3% 상승으로 예상되고 있음. 지난 7월의 전월대비 0.2% 상승 및 전년대비 4.7% 상승 대비 수치가 다소 둔화한 수준을 기록할 것으로 전망.
한편, 소비자물가지수 발표에 이어 현지시간 14일에는 美 8월 생산자물가지수 및 美 8월 소매판매, 15일에는 美 8월 산업생산 등이 발표될 예정. 아울러, 다음주 19~20일(현지시간)에는 FOMC 회의가 개최될 예정.
수급별로는 외국인과 기관은 각각 239억, 335억 순매수, 개인은 747억 순매도. 선물시장에서는 외국인이 1,134계약 순매수, 개인과 기관은 각각 182계약, 975계약 순매도.
원/달러 환율은 전거래일 대비 2.3원 하락한 1,331.1원을 기록.
국고채 3 년물 금리는 전일 대비 7.0bp 상승한 3.865%, 10년물은 전일 대비 6.6bp 상승한 3.961%를 기록.
3년 국채선물은 전일대비 20틱 내린 103.09 마감. 외국인과 투신이 각각 7,381계약, 1,325계약 순매도, 금융투자는 8,164계약 순매수. 10년 국채선물은 전일대비 53틱 내린 108.50 마감. 금융투자가 8,267계약 순매도, 외국인은 5,575계약 순매수.
마감 지수 : KOSPI 2,556.88P(+9.20P/+0.36%)
- 코스닥시장-
9/11 KOSDAQ 912.55(-0.18%) 외국인·기관 순매도(-), Fed 긴축 장기화 및 美 주요 경제지표 발표 경계감(-)
지난 주말 뉴욕증시가 Fed 긴축 장기화 우려 지속 속 반발 매수세 유입 등으로 소폭 상승한 가운데, 이날 코스닥지수는 918.43(+4.25P, +0.46%)으로 상승 출발. 시가를 고점으로 장 초반 하락 전환했고, 907.90(-6.28P, -0.69%)에서 장중 저점을 기록. 오전중 낙폭을 줄였고, 상승 전환하기도 했으나 재차 하락. 오후 한때 다시 상승해 916선까지 상승했으나 장 후반 하락 전환, 부진한 흐름을 보인 끝에 912.55(-1.63P, -0.18%)에서 거래를 마감.
개인 순매수 속 외국인과 기관의 동반 순매도 등에 코스닥지수는 하락 마감. 외국인은 4거래일 연속 순매도,기관은 지난 금요일 7거래일만에 순매수했으나 하루만에 재차 순매도 전환. 美 주요 물가지표 및 실물지표 발표를 앞둔 경계감 속에 시총 상위 2차전지 관련주 하락 등이 코스닥지수 하락 요인으로 작용.
수급별로는 외국인과 기관이 각각 628억, 325억 순매도, 개인은 1,126억 순매수.
마감 지수 : KOSDAQ 912.55P(-1.63P/-0.18%)
특징테마
|
이 슈 요 약
|
테마시황
|
▷두산로보틱스 기업공개(IPO) 기대감 등에 로봇(산업용/협동로봇 등) 테마 상승. 스마트팩토리(스마트공장) 테마 등도 상승.
▷메타, 초거대 AI '라마3' 개발 기대감 및 삼성, MS와 사내 생성형 AI 개발 소식 등에 AI 챗봇(챗GPT 등)/ 지능형로봇/인공지능(AI) 테마 상승.
▷尹 대통령, 대규모 우크라이나 공적 개발 원조(ODA) 프로그램 발표 소식에 우크라이나 재건/ 건설기계/ 모듈러주택 테마 상승.
▷상반기 자동차보험 흑자기조 지속 및 손해율 선방 등에 손해보험 테마 상승.
▷세계 폐암 학회 기대감 및 의료 AI 산업 성장 기대감 지속, 비만치료제 및 유전자치료제 시장 확대 기대감 지속 등에 제약/바이오 테마 상승.
▷신조선가 상승세 지속 및 카타르 LNG 운반선 2차 발주 기대감 등에조선/ 조선기자재 테마 상승.
▷시진핑 中 국가주석 방한 기대감 등에 화장품/ 면세점 테마 상승.
▷尹, 인도 총리와 방산·공급망 협력 확대 논의 소식 등에 방위산업/전쟁 및 테러 테마 상승.
▷B2C 건자재 업체 실적 개선 기대감 등에 일부 리모델링/인테리어 테마 상승.
▷이 외 공작기계, 야놀자(Yanolja), U-Healthcare(원격진료), 강관업체, 스마트그리드(지능형전력망), 고령화 사회(노인복지), 미용기기, 3D 프린터, 웹툰, 항공기부품, 재택근무/스마트워크, 애플페이, 백화점, 코로나19(진단/치료제/백신 개발 등), 전력설비,게임 등의 테마가 상승률 상위를 기록.
▷반면, 리튬 가격 급락세 및 글로벌 전기차 보조금 축소 영향 등에 2차전지, 리튬, 전기차 등 테마 하락.
▷日 오염수 방류 1차 종료 속 육계, 수산, 음식료업종 등 테마 하락.
▷초전도체 진위 논란 지속 속 초전도체 테마 하락.
▷中 정부, 비료업체에 요소 수출 중단 지시 소식 등에 부각됐던 비료, 농업, 요소수 등 테마 하락.
▷KT가 배당 및 경영 정책 변화 속 단기 주가 하락 우려 등에 하락한 가운데 통신 테마 하락.
▷이 외 터치패널, LED장비, MLCC,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렌터카, DMZ 평화공원, OLED, 전기자전거, 태풍 및 장마, 반도체 재료/부품, 도시가스, PCB(FPCB 등), 페라이트, 그래핀, 여름, 日 수출규제(국산화), LPG, 맥신(MXene) 등의 테마가 하락률 상위를 기록.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