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일시황

0907 마감시황

ares0098 2023. 9. 7. 18:30
728x90

 

0123
01

 

- 코스피시장-

 

9/7 KOSPI 2,548.26(-0.59%) 국제유가 상승에 따른 인플레 우려 및 Fed 긴축 장기화 우려 지속(-), 기관·외국인 동반순매도(-)

 

지난밤 뉴욕증시가 국제유가 상승에 따른 인플레이션 우려 지속 및 Fed 긴축 장기화 우려 등에 하락, 유럽 주요국 증시도 하락. 이날 코스피지수는 2,554.87(-8.47P, -0.33%)로 하락 출발. 장 초반 2,562.42(-0.92P, -0.04%)에서 장중 고점을 형성한 후 시간이갈수록 낙폭을 확대. 오전중 2,540선까지 하락한 후 오후 들어 2,550선까지 낙폭을 줄이기도 했으나 재차 하락폭을 확대. 장 후반 2,539.24(-24.10P, -0.94%)에서 장중 저점을 기록한 후 장 막판 낙폭을 재차 줄인 끝에 결국 2,548.26(-15.08P, -0.59%)에서 거래를 마감.

 

국제유가 상승 지속에 따른 인플레이션 우려가 커진 가운데, 기관과 외국인이 동반 순매도하면서 코스피지수는 3거래일 연속 하락. 기관은 5거래일 연속 순매도, 외국인은 이틀 연속 순매도. 개인은 이틀 연속 순매수.

 

러시아와 사우디아라비아의 감산 연장 결정 등으로 서부텍사스산원유(WTI) 가격이 9거래일 연속 상승하면서 인플레이션 우려에 글로벌 중앙은행의 금리 인상 사이클이 장기화될 수 있다는 우려가 시장전반에 부담으로 작용. 지난밤 뉴욕상업거래소(NYMEX)에서 서부 텍사스산원유(WTI) 10월 인도분 가격은 전거래일보다 0.85달러(+0.98%) 상승한 87.54달러에 거래 마감.

 

KDI(한국개발연구원)은 금일 9월 경제동향 보고서를 통해 최근 우리 경제는 수출 부진이 다소 완화되고 있으나 부동산 개발업체로부터 촉발된 중국 경제 불안과 국제유가 상승 등 최근 대내외 경기 불확실성이 높아졌다고 평가. KDI는 최근 유가 상승과 올해 하반기 재고 감소 전망 등이 반영돼 주요 기관의 유가 전망치가 상향 조정되는 추세라며, 국제유가가 상승하면서 소비자물가 상승세가 확대되고, 이에 경기 부진 완화 흐름이 일부 제약될 가능성도 존재한다고 평가.

 

HD한국조선해양, 암모니아 운반선 4척 6,000억수주 소식이 전해졌으나 한화오션(-1.40%), HD한국조선해양(-0.58%), HD현대중공업(-0.87%) 등 조선 테마 하락. 이 외에 LG에너지솔루션(-1.90%), 삼성SDI(-1.33%), SK이노베이션(-1.03%) 등 2차전지, POSCO홀딩스(-2.07%), 포스코인터내셔널(-1.51%), 포스코퓨처엠(-5.82%) 등 POSCO 그룹주, 삼성바이오로직스(-0.55%), 셀트리온(-0.34%) 등 제약/바이오 관련주도 하락. 반면, 삼성전자(+0.57%), SK하이닉스(+0.25%) 등 반도체 대표주는 소폭 상승.

 

수급별로는 기관과 외국인은 2,756억, 57억 순매도, 개인은 2,474억 순매수. 선물시장에서는 기관이 385계약 순매도, 개인과 외국인은 31계약, 73계약 순매수.

 

원/달러 환율은 전거래일 대비 4.9원 상승한 1,335.4원을 기록.

 

국고채 3년물 금리는 전일 대비 8.2bp 상승한 3.847%, 10년물은전일 대비 7.6bp 상승한 3.969%를 기록.

 

3년 국채선물은 전일대비 19틱 내린 103.16 마감. 외국인이 18,229계약 순매도, 금융투자와은행은 각각 5,995계약, 5,835계약 순매수. 10년 국채선물은 전일대비 50틱 내린 108.35 마감. 외국인이 6,840계약 순매도, 금융투자는 5,263계약 순매수.

 

 

 

마감 지수 : KOSPI 2,548.26P(-15.08P/-0.59%)

 

 

- 코스닥시장-

 

9/7 KOSDAQ 906.36(-1.26%) 국제유가 상승에 따른 인플레 우려 및 Fed 긴축 장기화 우려 지속(-), 외국인·기관 동반 순매도(-)

 

지난밤 뉴욕증시가 국제유가 상승에 따른 인플레이션 우려 지속 및 Fed 긴축 장기화 우려 등에 하락한 가운데, 이날 코스닥지수는 914.63(-3.32P, -0.36%)으로 하락 출발. 장 초반 상승 전환해 921.79(+3.84P, +0.42%)에서 장중 고점을 형성한 후 재차 하락 전환했고, 시간이 갈수록 낙폭을 확대. 오후 들어 낙폭이 둔화되기도 했으나 장 후반 재차 낙폭을 키웠고, 장 후반 902.95(-15.00P, -1.63%)에서 장중 저점을 기록한 후 낙폭을 다소 줄인 끝에 906.36(-11.59P, -1.26%)에서 거래를 마감.

 

국제유가 상승에 따른 인플레 우려 속에 글로벌 주요은행 긴축 장기화 우려가 부각됐고, 외국인과 기관이 동반 순매도하면서 코스닥지수는 이틀 연속 하락. 외국인은 이틀 연속 순매도, 기관은 6거래일 연속 순매도. 개인은 5거래일 연속 순매수.

 

에코프로비엠(-3.99%), 에코프로(-4.19%), 엘앤에프(-3.98%), 나노신소재(-3.03%), 천보(-1.62%), 대주전자재료(-3.43%) 등 2차전지 관련주가 하락. 반면, 레인보우로보틱스(+8.26%), 유진로봇(+25.22%), 휴림로봇(+14.23%) 등 로봇 테마가 상승했고, 루닛(+5.54%) 등 의료 AI 관련주도 상승. 파두(+5.29%), HPSP(+0.88%), 리노공업(+1.08%), 하나마이크론(+3.68%) 등 반도체 관련주도 상승.

 

수급별로는 외국인과 기관이 각각 1,368억, 509억 순매도, 개인은 2,162억 순매수.

 

 

 

마감 지수 : KOSDAQ 906.36P(-11.59P/-1.26%)

 

 

특징테마
이 슈 요 약
테마시황
▷대기업 로봇 사업 협업 및두산로보틱스 상장 기대감, 정부 로봇 육성 정책 기대감 지속 등에 로봇(산업용/협동로봇 등) 테마 상승.
▷삼성전자, 네이버 하이퍼클로바X 도입 소식 등에 지능형로봇/인공지능(AI) 테마 상승.
▷사우디·러시아 감산 연장 영향 지속에 국제유가 9거래일 연속 상승등에 LPG(액화 석유가스) 테마 상승.
▷퀄컴-AWS, 자율주행·소프트웨어 정의 자동차 부문 협력 소식 등에 일부 자율주행차 테마 상승
▷이 외에 3D 프린터, 스마트팩토리(스마트공장), 반도체 장비, 도시가스, 시스템반도체, 전자파, 셰일가스, 건설기계, 생명보험, 손해보험, 비만치료제, 통신 등 일부 테마만이 상승.
▷中 공무원 아이폰 사용 금지 소식 및 아이폰15 판매량 부진 전망 제기 등에 아이폰 테마 하락.
▷中 배터리 공급 과잉 우려 등에 2차전지와 리튬 테마 하락. 테슬라 등 美 전기차 업체 주가 약세 등에 전기차 테마도 하락.
▷내년 신재생에너지 지원 예산 감축 소식 등에 태양광에너지/ 풍력에너지 테마 하락.
▷고금리 환경 지속에 따른 업황 회복 지연 우려 등에 증권 테마 하락.
▷야시르 오스만 알 루마이얀 아람코 회장 겸 사우디아라비아 국부펀드(PIF) 총재 방한 속 차익실현 매물 등에 네옴시티 테마 하락.
▷中 경제 불안 지속 속 여행, 항공/저가 항공사(LCC), 면세점, 카지노, 화장품 등 중국 소비관련주 하락.
▷이 외에 밥솥, 그래핀, NI(네트워크통합), MLCC, 페라이트, 유전자 치료제/분석, 온실가스(탄소배출권), 모듈러주택, 양자암호, 비료, 비철금속, 초전도체, 음원/음반, 우크라이나 재건, 전력저장장치(ESS), 미용기기, 희귀금속(희토류 등), 철강 주요종목, 영상콘텐츠, 사료, 5G, 카메라모듈/부품 등의 테마가 하락률 상위를 기록.
728x90

'금일시황' 카테고리의 다른 글

0911 마감시황  (0) 2023.09.11
0908 마감시황  (0) 2023.09.08
0906 이슈요약  (2) 2023.09.07
0906 마감시황  (0) 2023.09.06
0906 이슈요약  (0) 2023.09.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