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일시황

1020 마감시황

ares0098 2023. 10. 20. 18:43
728x90

 

0123
01

- 코스피시장-

10/20 KOSPI 2,375.00(-1.69%) 美 10년물 국채금리 5% 돌파 속 긴축 장기화 우려(-), 중동 지정학적 리스크 고조(-), 기관 순매도(-)

밤사이 뉴욕증시가 파월 Fed 의장 인플레이션 우려 발언 속 장기 국채금리 상승세 지속, 중동 지정학적 리스크 고조 등에 하락했고, 유럽 주요국 증시도 일제히 하락 마감. 이날 코스피지수는 2,391.54(-24.26P, -1.00%)로 갭하락 출발. 장초반 2,394.67(-21.13P, -0.87%)에서 장중 고점을 형성한 지수는 이내 낙폭을 확대했고, 오전 중 2,364.01(-51.79P, -2.14%)까지 밀려나며 저점을 형성. 이후 점차 낙폭을 만회해 오후 장중 2,390선 위로 올라서기도 했지만, 재차 낙폭을 키워 결국 2,375.00(-40.80P, -1.69%)으로 장을 마감. 코스피지수가 종가 기준 2,400선을 하회한 것은 지난 3월21일 이후 약 7개월 여만임.

파월 Fed 의장이 인플레이션 우려 발언을 내놓은 가운데,美 10년물 국채금리가 5%를 넘어서는 등 급등세가 이어간 점이 증시에 악재로 작용. 중동 지정학적 리스크 지속 등도 부담으로 작용. 기관은4거래일 연속 순매도하며 지수 하락을 이끌었음. 외국인이 현물시장에서 매수세를 나타냈지만, 선물시장에서 1,900계약 넘게 순매도한 점도투자심리를 위축시키는 모습.

밤사이 파월 Fed 의장은 금리 결정을 신중하게 진행하겠다는 입장을 유지했지만, 여전히 인플레이션이지나치게 높다고 경고했음. 이어 현재의 통화정책이 제약적이지만 너무 긴축적이지는 않다고 언급. 이 같은 파월 의장 발언 속 고금리 기조가 이어질 것이라는 전망이 강화됐고, 美 장기 국채금리는 상승세를 이어갔음. 특히, 글로벌 채권 금리의 벤치마크 역할을 하는 美 10년물 금리는 이날 연 5.001%로, 5%선을 돌파했음. 美 10년물 국채금리가 5% 선위로 올라선 것은 글로벌 금융위기 직전인 2007년 7월 이후 16년 만에 처음임.

이스라엘과 하마스 간 전쟁이 지속되면서 중동 지정학적 리스크도 더욱 고조되는 모습. 이스라엘이 팔레스타인 무장 정파 하마스 제거를 위해 가자지구 공습을 이어가는 가운데, 또 다른 팔레스타인 자치 구역인 요르단강 서안지구에서도 폭력 사태가 빈번해지고 있는것으로 전해짐. 이스라엘은 북쪽 레바논 국경 지역에선 이란이 지원하는 레바논 무장 정파 헤즈볼라와 점점 더 빈번하게 충돌하고 있으며, 이스라엘 국방부는 북부 레바논 접경지역 도시 키르야트 시모나 주민들에게 대피령을 발령한 것으로 전해짐.

한편, 中 인민은행은 이날 사실상 기준금리인 1년 만기 대출우대금리(LPR)를 연 3.45%로 동결했음. 5년 만기는 LPR도 연 4.20%로 이전 수준을 유지했음. 인민은행이 두 달 연속 금리를 동결한 것은 중국 경제가 느린 회복세를 보이고 있는 만큼 통화 완화 정책 숨고르기에 돌입한 것으로 분석되고 있음.

이날 원/달러 환율은 전거래일 대비 5.0원 하락한 1,352.4원을 기록.

수급별로는 기관이 1,744억 순매도, 개인과 외국인은 각각 1,120억, 652억 순매수. 선물시장에서는 외국인이 1,923계약 순매도, 개인과 기관은 각각 550계약, 1,103계약 순매수.

국고채 3년물 금리는 전거래일 대비 3.7bp 하락한 4.033%, 10년물은 전거래일 대비 3.5bp 하락한 4.327%를 기록.

3년 국채선물은 전거래일 대비 17틱 오른 102.56으로 마감. 외국인, 금융투자가 6,804계약, 6,137계약 순매수, 개인, 투신은 9,770계약, 1,493계약 순매도. 10년 국채선물은 전거래일 대비 42틱 오른 105.30으로 마감. 금융투자가 6,626계약 순매수, 외국인은 5,901계약 순매도.

마감 지수 : KOSPI 2,375.00P(-40.80P/-1.69%)

- 코스닥시장-

10/20 KOSDAQ 769.25(-1.89%) 美 10년물 국채금리 5% 돌파 속 긴축 장기화 우려(-), 중동 지정학적 리스크 고조(-), 외국인/개인 순매도(-)

밤사이 뉴욕증시가 파월 Fed 의장 인플레이션 우려 발언, 장기 국채금리 상승세 지속 등에 하락한 가운데,이날 코스닥지수는 775.81(-8.23P, -1.05%)로 갭하락 출발. 빠르게 낙폭을 확대하던 지수는 정오 무렵 759.40(-24.64P, -3.14%)까지 밀려나며 장중 저점을 형성. 이후 낙폭을 만회해 779.92(-4.12P, -0.53%)에서 고점을 형성하기도 했지만, 재차 낙폭을 키워 결국 769.25(-14.79P, -1.89%)로 장을 마감.

美 10년물 국채금리가 5%를 넘어서는 등 급등세가 이어가며 긴축 장기화 우려가 커진 점이 악재로 작용. 중동 지정학적 리스크 고조 등도 연일 부담으로 작용. 외국인과 개인이 동반 순매도하며 지수 하락을 이끌었음. 외국인은 3거래일 연속 순매도, 개인은 3거래일만에 순매도 전환. 특히, 美 긴축 장기화 우려 및 테슬라 실적 쇼크 여파 지속 등에 에코프로(-5.89%), 에코프로비엠(-2.51%), 엘앤에프(-4.98%) 등 2차전지 관련주들의 약세가 두드러짐.

수급별로는 외국인과 개인이 각각 537억, 608억 순매도, 기관은 1,320억 순매수.

마감 지수 : KOSDAQ 769.25P(-14.79P/-1.89%)

특징테마
이 슈 요 약
테마시황
▷중동 지정학적 리스크 지속 등에 일부 도시가스/ 방위산업/전쟁 및 테러 테마 상승.
▷中, 흑연 수출 규제 품목 지정 소식 속 일부 그래핀 테마 상승.
▷美 BMS, 피하주사제형 ‘옵디보’ 신장암 임상 3상 성공 소식 속 일부 면역항암제 테마 상승.
▷아이폰15 판매 부진 우려는 기우 분석 등에 일부 아이폰 테마 상승.
▷이재명 대표 23일 당무 복귀 소식 속 일부 정치/인맥(이재명) 테마 상승.
▷현대건설, 3분기 실적 호조 속 건설 대표주/ 건설 중소형 테마 상승.
▷반면, 테슬라 실적 쇼크에 따른 주가 급락 등에 2차전지/ 전기차 등 테마 하락.
▷美 10년물 국채금리 5% 돌파 소식 등에 반도체/ 인터넷/ IT 대표주 등 테마 하락.
▷美 10년물 국채금리 5% 돌파 및 중동지정학적 리스크 고조 지속 등에 따른 증시 약세 속 증권 테마 하락.
▷중국 경제 우려 지속 속 여행, 면세점, 카지노, 화장품 등 중국 소비 관련주 하락.
▷중동 분쟁으로 인한 고유가 지속 우려 등에 항공/저가 항공사(LCC) 테마 하락.
▷높은 금리에 따른 수요 둔화 분석 등에 태양광에너지/ 풍력에너지 테마 하락.
▷컴투스, 업황 부진에 웹툰 자회사 정글스튜디오 폐업 소식 속 웹툰 테마하락.
▷美 해운사 ZIM, 해운 업황 둔화에 따른 실적 악화에 상장 후 최저가 기록 소식 속 해운 테마 하락.
▷이 외 희귀금속(희토류 등), 드론(Drone), 종합상사, 초전도체, 니켈, 핵융합에너지, 스마트팩토리(스마트공장), 지능형로봇/인공지능(AI), 비철금속, PCB(FPCB 등), 화폐/금융자동화기기(디지털화폐 등), MLCC(적층세라믹콘덴서), 페라이트, 공작기계, 로봇(산업용/협동로봇 등), OLED(유기 발광 다이오드), 재택근무/스마트워 크, UAM(도심항공모빌리티), 모바일솔루션(스마트폰) 테마 등이 하락률 상위를 기록하는 등 국내 증시 부진 속대부분 테마가 하락.
728x90

'금일시황' 카테고리의 다른 글

1023 마감시황  (1) 2023.10.23
1020 이슈요약  (0) 2023.10.20
1019 마감시황  (1) 2023.10.19
1019 이슈요약  (0) 2023.10.19
1018 마감시황  (1) 2023.10.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