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일시황

1006 마감시황

ares0098 2023. 10. 6. 18:36
728x90

 

0123
01

- 코스피시장-

 

10/6 KOSPI 2,408.73(+0.21%) 美 고용동향보고서 주시, 반발 매수세 유입(+), 개인/기관 순매수(+), 외국인 순매도(-)

 

밤사이 뉴욕증시가 국채금리 진정에도 고용동향보고서 경계감 속 하락했고, 유럽 주요국 증시는 혼조 마감. 이날 코스피지수는 2,408.81(+5.21P, +0.22%)로 상승 출발. 장초반 2,415선 부근에서 등락을 보이던 지수는 2,421.18(+17.58P, +0.73%)에서 장중 고점을 형성. 이후 상승폭을 축소해 오전 장 후반 2,403.92(+0.32P, +0.01%)까지 밀려나며 저점을 형성. 재차 상승폭을 키운 지수는 오후 장중 2,410선 부근에서 소폭 상승 세를 이어가다 결국 2,408.73(+5.13P, +0.21%)으로 장을 마감.

 

美 고용동향보고서 발표를 앞두고 관망 심리가 짙어진 가운데, 美 국채금리가 안정된 모습을 나타냈고 최근 지수 하락에 따른 반발 매수세가 유입되며 코스피지수는 사흘만에 반등. 주말과 한글날 연휴를 앞둔 점도 관망 심리를 키우는 모습. 개인과 기관은 동반 순매수하며 지수 반등을 이끌었음. 개인은 11거래일 연속 순매수, 기관은 5거래일만에 순매수 전환. 다만, 외국인이 11거래일 연속 순매도하며 상승폭은 제한된 모습.

 

오늘 밤 美 9월 고용동향보고서가 발표될 예정. 월스트리트저널(WSJ)에 따르면, 9월 비농업 고용은 17만명 증가해 전월의 18만7,000명 증가에서 둔화될 것으로 예상되고 있으며, 실업률은 3.7%로 전월의 3.8%에서 소폭 하락했을 것으로 예상되고 있음. 최근 발표된 ADP의 민간 고용 지표가 시장 예상치를 크게 밑돌면서 비농업고용에 대한 눈높이가 낮아지고 있음.

한편, 밤사이 발표된 美 주간 실업 지표는 전월대비 증가했지만, 시장 예상치를 밑돌아 고용 시장이 예상보다 견조함을 시사. 美 노동부에 따르면, 지난주 주간 신규 실업수당 청구건 수는 전주대비 2,000명 증가한 20만7,000명으로 집계됐음. 이는 월스트리트저널(WSJ)이 집계한 시장 예상치 21만명보다 적은 수준임.

 

고용동향보고서 발표를 앞두고 美 국채금리는 진정된모습을 이어갔음. 최근 급등세를 보이다 전일 하락했던 美 국채금리는 밤사이 혼조세를 보임. 최근 4.8%를 넘어서며 2007년 이후 최고치를 경신했던 美 10년물 국채금리는 이틀째 하락세를 이어가며 4.7% 초반까지 떨어졌고, 통화정책에 민감한 2년물 국채금리도 이틀째 하락했음. 다만, 30년물 국채금리는 소폭 상승.

 

이날 원/달러 환율은 전거래일 대비 0.6원 하락한 1,349.9원을 기록.

 

수급별로는 개인과 기관이 각각 1,416억, 1,772억순매수, 외국인은 3,264억 순매도. 선물시장에서는 외국인과 기관이 각각 775계약, 1,711계약 순매수, 개인은 2,558계약 순매도.

 

국고채 3년물 금리는 전거래일 대비 6.6bp 하락한 4.015%, 10년물은 전거래일 대비 8.2bp 하락한 4.240%를 기록.

 

3년 국채선물은 전거래일 대비 19틱 오른 102.62로 마감. 금융투자, 은행이 5,616계약, 4,136계약 순매수, 외국인은 8,908계약 순매도. 10년 국채선물은 전거래일 대비 63틱 오른 105.96으로 마감. 외국인이 7,970계약 순매수, 금융투자, 투신은 6,656계약, 1,176계약 순매도.

 

 

 

마감 지수 : KOSPI 2,408.73P(+5.13P/+0.21%)

 

 

- 코스닥시장-

 

10/6 KOSDAQ 816.39(+1.92%) 반발 매수세 유입(+), 외국인/기관 순매수(+)

 

밤사이 뉴욕증시가 고용동향보고서 발표를 앞두고 소폭 하락한 가운데, 이날 코스닥지수는 803.88(+2.86P, +0.36%)로 상승 출발. 장중 저점에서 출발한 지수는 점차 상승폭을 확대해 오후 장중 818.37(+17.35P, +2.17%)에서 고점을 형성. 장후반 815선 아래로 상승폭을 줄이기도 했지만, 장막판 재차 상승폭을 확대해 결국 816.39(+15.37P, +1.92%)로 장을 마감.

 

美 고용동향보고서 발표, 한글날 연휴 등을 앞두고 관망 심리가 커졌지만, 최근 지수 급락에 따른 반 발 매수세가 유입되며 코스닥지수는 2% 가까이 급등. 美 국채금리가 안정된 모습을 이어간 점도 긍정적으로 작용. 외국인과 기관은 동반 순매수하며 지수 상승을 이끌었음.

 

특히, 셀트리온 합병 순항 소식 및 비만치료제 기대감 지속 등에 셀트리온헬스케어(+3.90%), 셀트리온제약(+2.53%), 펩트론(+10.66%), 대화제약(+7.14%) 등 제약/바이오 관련주가 강세를 나타냈고, 한국 주도 새로운 양자 플랫폼제시, 전자스핀 복수 큐비트(양자비트) 시스템 구현 소식 등에 엑스게이트(+29.93%), 우리로(+29.78%) 등 양자암호 관련주가 급등. 파워로직스(+24.38%) 등 초전도체 관련주, 휴맥스홀딩스(+30.00%) 등 전기차(충전소/충전기) 관련주도 급등.

 

수급별로는 외국인과 기관이각각 1,837억, 589억 순매수, 개인은 2,363억 순매도.

 

 

 

마감 지수 : KOSDAQ 816.39P(+15.37P/+1.92%)

 

 

특징테마
이 슈 요 약
테마시황
▷한국 주도 새로운 양자 플랫폼 제시, 전자스핀 복수 큐비트(양자비트) 시스템 구현 소식 등에 양자암호/ 보안주(정보) 테마 상승.
▷美 에너지부, 초전도체 개발 프로젝트에 1,000만 달러 지원 소식에 초전도체 테마 상승. 초전도체 관련 핵융합에너지 테마도 상승.
▷셀트리온 합병 순항 소식 및 일라이릴리 2025년 경구용 비만치료제 개발 목표 등에 제약/바이오, 비만치료제 등 테마 상승.
▷현대차그룹 북미 법인, 美 판매전기차에 테슬라 충전 표준 도입 소식 등에 전기차(충전소/충전기) 테마 상승.
▷삼성전자, 인간형 반도체 개발 계획 발표 및 오픈 AI, 자체 AI 반도체 생산 모색 소식 등에 반도체 관련주/ 지능형로봇/인공지능(AI)/ AI 챗봇(챗GPT 등) 테마 상승.
▷원희룡 장관, 우크라이나 의원단과 재건 사업 논의 소식 등에 우크라이나 재건/ 건설기계 테마 상승.
▷현대차 美 자율주행 합작법인 모셔널, 완전 무인 자율주행차량 상용화 최종 테스트 마무리 소식 등에 자율주행차 테마 상승.
▷삼성전자, SDC2023에서 스마트싱스 등 미래 비전 공개소식 등에 스마트홈(홈네트워크)/ 게임/ VR/ AR 등 테마 상승.
▷부부 육아휴직 시 최대 3,900만원 지급 소식 등에 출산장려정책/ 엔젤산업 테마 상승.
▷견고한 이익 체력 부각 및 외국인 수급 기대감 등에 은행 테마 상승.
▷올 가을 대관령서 첫 서리·얼음관측, 일교차 극심 속 겨울/ 도시가스 테마 상승.
▷최근 증시 불안 속 고배당 경기방어주 성격의 손해보험/생명보험 테마 상승.
▷한국은행·금융위·금감원, CBDC 활용성 테스트 공동 추진 모멘텀 지속 등에 화폐/금융자동화기기(디지털화폐 등) 테마 상승.
▷이 외에 광고, 해운, 밥솥, 폐배터리, NI(네트워크통합), 카메라모듈/부품, 모듈러주택, 드론, 미용기기, 페라이트, 의료기기, 2차전지, 전기차, MLCC, 태양광에너지, 클라우드 컴퓨팅, 사료, 마이크로 LED, 인터넷 대표주 등의 테마가 상승률 상위를 기록하는 등 국내 증시 반등 속 대부분의 테마가 상승.
▷반면, 3분기 실적 부진 전망 등에 LG디스플레이(-6.08%) 하락 속 IT 대표주가 하락.
▷면세점 이용객 2배 증가 소식에도 더딘 매출 회복 등에 면세점 테마 하락.
▷이 외에 조선, 2차전지(생산), 백화점 등 일부 테마만이 하락.
728x90

'금일시황' 카테고리의 다른 글

1010 마감시황  (1) 2023.10.10
1010 이슈요약  (0) 2023.10.10
1006 이슈요약  (0) 2023.10.06
1005 마감시황  (1) 2023.10.05
1005 이슈요약  (1) 2023.10.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