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일시황

1010 마감시황

ares0098 2023. 10. 10. 18:36
728x90

 

0123
01

- 코스피시장-

 

10/10 KOSPI 2,402.58(-0.26%) 중동 지정학적 리스크(-), 외국인·개인 순매도(-), 일부 Fed 위원 비둘기파적 발언(+)

 

지난밤 뉴욕증시가 중동 지정학적 리스크에도 Fed 위원 비둘기파적 발언 등에 상승, 유럽 주요국 증시는 하락. 이날 코스피지수는2,436.58(+27.85P, +1.16%)로 상승 출발. 장 초반 2,448.24(+39.51P, +1.64%)에서 장중 고점을 형성한 후 시간이 갈수록 상승폭을 반납. 오후 들어서도 상승폭을 줄여나갔고, 장 후반 2,402.44(-6.29P, -0.26%)에서 장중 저점을 기록. 장 막판 보합권을 중심으로 등락을 거듭하다 결국 2,402.58(-6.15P, -0.26%)에서 거래를 마감.

 

이스라엘-팔레스타인을 둘러싼 중동 지정학적 리스크가 부각된 가운데, 외국인 순매도등에 코스피지수는 하루만에 재차 하락. 댈러스 연은 총재의 비둘기파적 발언 등으로 지난밤 뉴욕 증시가 상승으로 마감하면서 코스피지수도장 초반 상승세를 보이기도 했으나 시간이 갈수록 상승폭을 반납, 하락 전환한 후 거래를 마감. 외국인은 12거래일 연속 순매도를 기록. 개인은 12거래일만에 순매도 전환. 기관은 이틀 연속 순매수.

 

이스라엘과 팔레스타인 무장정파 하마스 간 전쟁이 본격화되면서 중동 지정학적 리스크에 따른 금융시장 불확실성이 크게 부각. 현지시간으로 7일 하마스가 이스라엘을 기습 공격한 뒤 사흘째 전쟁이 지속되고 있음.하마스의 기습 공격에 대해 美 바이든 대통령은 민간인까지 아우른 폭력적 테러라고 규정짓고 이스라엘 편에 서겠다고 강조.

 

한편,지난밤 로리 로건 댈러스 연은 총재는 기간 프리미엄으로 인해 장기 금리가 높은 수준을 유지한다면, 연방기금금리를 높여야 할 필요성이 떨어진다고 언급하는 등 장기 금리의 급등으로 Fed의 금리 인상이 덜 필요할 수 있다는 점을 시사. 필립 제퍼슨 Fed 부의장은 "연준은 추가 정책 강화의 정도를 평가하는 데 신중하게 나아가는 위치에 있다"고 언급.

 

 

LG전자(+7.03%)는 3분기 어닝서프라이즈 등에 강세. 셀트리온(+2.34%)은 합병 성공 가능성 부각 등에 상승. 3분기 양호한 실적 전망 및 방어주 매력 부각 등에 KB금융(+1.43%), 우리금융지주(+0.89%) 등 은행주도 상승.

 

수급별로는 외국인과 개인은 각각 2,077억, 3,781억 순매도, 기관은 5,893억 순매수. 선물시장에서는 외국인과 개인이 각각 4,366계약, 344계약 순매수, 기관은 3,829계약 순매도.

 

원/달러 환율은 전거래일 대비 0.4원 하락한 1,349.5원을 기록.

 

국고채 3년물 금리는 전일 대비 1.8bp 하락한 3.997%, 10년물은 전일 대비 2.1bp 하락한 4.219%를 기록.

 

3년 국채선물은 전일대비 2틱 오른 102.64 마감. 은행이 6,059계약 순매수, 금융투자와 외국인은 각각 4,321계약, 189계약 순매도. 10년 국채선물은 전일대비 19틱 오른 106.15 마감. 외국인이 3,457계약 순 매수, 금융투자는 3,354계약 순매도.

 

 

마감 지수 : KOSPI 2,402.58P(-6.15P/-0.26%)

 

 

- 코스닥시장-

 

10/10 KOSDAQ 795.00(-2.62%) 중동 지정학적 리스크(-), 개인 순매도(-), 2차전지·엔터주 하락(-)

 

지난밤뉴욕증시가 중동 지정학적 리스크에도 Fed 위원 비둘기파적 발언 등에 상승한 가운데, 이날 코스닥지수는 821.22(+4.83P, +0.59%)로 상승 출발. 장 초반 보합권을 중심으로 혼조세를 보이다 오전 중 상승폭을 확대해 823.27(+6.88P, +0.84%)에서 장중 고점을 형성. 이후 상승폭을 반납했고, 보합권에서 재차 혼조세를 보이다 오후 들어 시간이 갈수록 낙폭을 급격히 확대. 장 후반 792.91(-23.48P, -2.88%)에서 장중 저점을기록한 후 결국 795.00(-21.39P, -2.62%)에서 거래를 마감.

 

이스라엘-팔레스타인 무장정파 하마스 간 무력충돌에 따른 불확실성 등에 코스닥지수는 급락 마감. 개인이 3거래일 연속 순매도한 반면, 외국인과 기관은 3거래일 연속 순매수를 기록.

 

 

수급별로는 개인이 659억 순매도, 외국인과 기관은 각각 568억, 188억 순매수.

 

 

마감 지수 : KOSDAQ 795.00P(-21.39P/-2.62%)

 

 

특징테마
이 슈 요 약
테마시황
▷이스라엘-팔레스타인 무장정파 하마스 무력 충돌 소식 등에 정유/ LPG/ 도시가스/ 방위산업/전쟁 및 테러/사료 / 일부 음식료업종/ 일부 조선 테마 등 상승.
▷3분기 양호한 실적 전망 및 방어주 매력 부각 등에 은행 테마 상승.
▷양자 산업 육성법, 국회 본회의 통과 소식 등에 일부 양자암호테마 상승. 통신 테마도 상승.
▷LG전자가 3분기 호실적 발표 등에 큰 폭으로 상승한 가운데, IT 대표주 상승.
▷이 외 자전거, 윤활유, 아스콘, 겨울, 드론, 자원개발, 항공기부품, 조림사업, UAM(도심항공모빌리티), 우주항공산업, 편의점, 공작기계 등 일부 테마가 상승.
▷반면, 이스라엘-팔레스타인 무장 정파 하마스 무력 충돌 소식 속 항공/저가 항공사/ 여행/ 면세점/ 카지노 테마 등 하락.
▷빈 살만 사우디 왕세자, 팔레스타인 지지 선언 등에 네옴시티 테마 하락.
▷테슬라, 9월 中 생산 차량 판매 두 자릿수 감소 소식 등에 2차전지/전기차 테마 하락. 리튬, 니켈, 폐배터리 등의 테마도 하락.
▷EU 탄소국경세 및 美 상계관세 우려 등에 철강 주요종목/ 철강 중소형 테마 하락.
▷두산로보틱스 상장 재료 소멸 속 로봇(산업용/협동로봇 등)/ 지능형로봇/인공지능(AI) 테마 하락.
▷중국 부동산 1위업체 비구이위안, 디폴트 위기 고조 속 中 경제 둔화 우려 지속 등에 국내 상장 중국기업, 화장품 등 중국 소비 관련주하락.
▷글로벌 해운 운임 하락세 지속 속 해운 시장 침체 우려 지속 등에 해운 테마 하락.
▷공정위, 주류 도매업계 조사 착수 소식 속 주류업(주정, 에탄올 등) 테마 하락.
▷최근 비만치료제 기대감 지속, 셀트리온 합병 순항 소식 등에 강세를 보였던 비만치료제, 줄기세포, 제대혈, 제약업체, 탈모 치료, 유전자 치료제/분석 등 제약/바이오 관련 테마 하락.
▷이 외 키오스크, 모듈러주택, 의료기기, 종합 물류, U-Healthcare(원격진료), 제4이동통신, 화학섬유, 미용기기, 코로나19, 핵융합에너지, 캐릭터상품, 터치패널, 광고, 모바일솔루션, 치아 치료(임플란트 등), 페인트, 희귀금속(희토류 등), 종합상사, 스마트폰, 음원/음반, 웹툰, 맥신(MXene), 자율주행차,마리화나(대마) 등의 테마가 하락률 상위를 기록하는 등 증시 하락 속 대부분 테마가 하락.
728x90

'금일시황' 카테고리의 다른 글

1011 마감시황  (1) 2023.10.11
1011 이슈요약  (1) 2023.10.11
1010 이슈요약  (0) 2023.10.10
1006 마감시황  (1) 2023.10.06
1006 이슈요약  (0) 2023.10.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