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일시황

0913 마감시황

ares0098 2023. 9. 13. 18:55
728x90

 

0123
01

 

- 코스피시장-

 

9/13 KOSPI 2,534.70(-0.07%) 美 CPI 발표 경계감 및 美 증시 하락(-), 개인 순매도(-), 외국인·기관 순매수(+)

 

지난밤 뉴욕증시가 美 CPI 경계감 속 기술주 부진 등에 하락, 유럽 주요국 증시는 혼조 마감. 이날 코스피지수는 2,536.22(-0.36P, -0.01%)로 약보합 출발. 장 초반 상승 전환했고, 2,549.38(+12.80P, +0.50%)에서 장중 고점을 형성. 오전중 상승폭을 줄여 혼조세를 보이다 하락, 2,528.18(-8.40P, -0.33%)에서 장중 저점을 기록. 이후 부진한 흐름을 이어갔고, 오후 한때 상승 전환하기도 했으나 장 후반 재차 하락한 끝에 2,534.70(-1.88P, -0.07%)에서 거래를 마감.

 

美 8월 CPI 발표를 앞둔 경계감 속에 코스피지수는 약보합, 이틀 연속 하락. 개인이순매도한 가운데, 외국인과 기관은 동반 순매수. 금융투자 중심의 기관은 4거래일 연속 순매수를 기록.

 

국제유가 상승에 따른 인플레이션 우려가 커지고 있는 가운데, 현지시간으로 19~20일 열리는 FOMC를 앞두고 CPI 발표에 시장의 관심이 집중되고 있음. 현지시간으로 13일美 8월 소비자물가지수(CPI)가 발표될 예정. WSJ 집계에 따르면, 8월 CPI가 전월대비 0.6% 상승(전년대비 3.6% 상승)해 지난 7월의 0.2% 상승(전년대비 3.2%)을 상회할 것으로 예상. 변동성이 큰 에너지와 식료품 가격을 제외한 근원 CPI는 전월대비 0.2%, 전년동월대비 4.3% 올라직전월 0.2%, 4.7% 상승과 비교해 완화될 것으로 예상되고 있음.

 

 

아시아 주요국 증시는 일본, 중국이 하락, 대만은 강보합 마감.

 

수급별로는 개인이 1,857억 순매도, 외국인과 기관은 각각 1,123억, 543억 순매수. 선물시장에서는 외국인이 5,213계약 순매수, 개인과 기관은 각각 3,398계약, 1,648계약 순매도.

 

원/달러 환율은 전거래일 대비 2.2원 상승한 1,330.0원을 기록.

 

국고채 3년물 금리는 전일 대비 1.0bp 하락한 3.853%, 10년물은 전일 대비 1.6bp 하락한 3.949%를 기록.

 

3년 국채선물은 전일대비 4틱 오른 103.13 마감. 금융투자, 투신, 은행이 각각 2,866계약, 1,066계약, 1,381계약 순매수, 외국인은 5,781계약 순매도. 10년 국채선물은 전일대비 28틱 오른 108.58 마감. 은행과 외국인이 각각 1,151계약, 204계약 순매수, 금융투자는 1,329계약 순매도.

 

 

마감 지수 : KOSPI 2,534.70P(-1.88P/-0.07%)

 

 

- 코스닥시장-

 

9/13 KOSDAQ 882.72(-1.71%) 美 CPI 발표 경계감 및 美 증시 하락(-), 외국인 순매도(-), 개인·기관 순매수(+)

 

지난밤 뉴욕증시가 美 CPI 경계감 속 기술주 부진 등에 하락한 가운데, 이날 코스닥지수는 895.94(-2.10P, -0.23%)로 소폭 하락 출발. 장 초반 상승 전환했고, 899.80(+1.76P, +0.20%)에서 장중 고점을 형성. 이후 하락 전환했고, 오전중 낙폭을 확대해 884선까지 낙폭을 키웠음. 오후 들어 889선까지 낙폭을 줄이기도 했으나 장 후반 재차 하락해 882.27(-15.77P, -1.76%)에서 장중 저점을 기록한 끝에 결국 882.72(-15.32P, -1.71%) 에서 거래를 마감.

 

美 8월 CPI 발표를 앞둔 경계감 속 외국인 순매도 등에 코스닥지수는 3거래일 연속 하락. 외국인은 6거래일 연속 순매도하며 지수 하락을 이끌었음. 개인과 기관은 각각 3거래일, 2거래일 연속 순매수.

 

 

반면, 머큐리(+29.97%), 에이스테크(+29.75%), 케이엠더블유(+14.14%) 등 美 5G 인프라 투자 본격화 기대감 등에 5G/통신장비 테마가 상승.

 

수급별로는 외국인이 1,289억 순매도, 개인과 기관은 각각 653억, 698억 순매수.

 

 

 

마감 지수 : KOSDAQ 882.72P(-15.32P/-1.71%)

 

 

특징테마
이 슈 요 약
테마시황
▷규제 리스크 축소 구간 진입 분석 등에 손해보험/ 생명보험 테마 상승.
▷현대차 노사, 임단협 교섭 잠정 합의 소식 속 파업 리스크 해소, 현대차 테슬라식 '하이퍼캐스팅' 도입 모멘텀 지속 등에 자동차 대표주/ 자동차부품 테마 상승.
▷美 5G 인프라 투자 본격화 기대감, 애플 아이폰15에 '와이파이6E' 탑 재 소식 등에 5G(5세대 이동통신)/ 통신장비 테마 상승.
▷요소수 대란 우려 지속 등에 비료/ 사료/ 농업/ 요소수 테마상승.
▷국제유가 강세 영향 등에 정유/ LPG(액화석유가스) 테마 상승.
▷원희룡 장관 및 10대 그룹 총수단, 네옴시티 수주를위한 사우디 국빈 방문 추진 소식 등에 일부 네옴시티 테마 상승.
▷반도체 업황 회복 기대감 등에 일부 반도체 테마 상승. IT 대표주도 상승.
▷정부, 우크라이나 재건 지원 기대감 지속 속 우크라이나 재건, 모듈러주택 테마 등 상승.
▷설탕 가격 급등 속 일부 음식료업종 테마 상승.
▷이 외 코로나19(음압병실/음압구급차), 제지, 온실가스(탄소배출권), 남북경협, 페인트, 통신, 태풍 및장마, 건설 대표주, 모더나, 제대혈, 제4이동통신 등의 테마가 상승률 상위를 기록하는 등 일부 테마가 상승.
▷반면, 中 저가 공세우려 및 차익실현 매물 출회 등에 로봇(산업용/협동로봇 등)/ 지능형로봇/인공지능(AI) 테마 하락. 스마트팩토리(스마트공장) 테마도 하락.
▷아이폰15 시리즈 가격 동결 속 애플 주가 하락 영향 등에 아이폰 테마 하락. 애플페이 테마도 하락.
▷리튬 가격 급락, 글로벌 전기차 보조금 축소 영향, 2차전지 고점론, 국내 첫 이차전지 인버스 ETF 상장 여파 지속 속 2차전지 테마 하락. 리튬, 폐배터리, 니켈 등의 테마도 하락.
▷美, 中 초대형 LNG기술 인정 속 국내 조선업 위협 우려 등에 조선, 조선기자재 테마 하락.
▷북러 정상회담을 앞두고 北 미사일 도발 소식 속 북한 광물자원개발, 철도, 전력설비 등 대북 관련 테마 하락.
▷최근 양호한 모습을 나타냈던 면역항암제, 비만치료제, 유전자 치료제/분석, 치매, 제약업체, 줄기세포 등 제약/바이오 관련 테마 하락.
▷이 외 증시 하락세 지속 속마리화나(대마), 자전거, 카메라모듈/부품, 전기자전거, 전선, 보안주(정보), 폴더블폰, 치아 치료(임플란트 등), 미용기기, 日 수출 규제(국산화 등), 음성인식, 그래핀, AI 챗봇(챗GPT 등), 스마트그리드(지능형전력망), 전자파, CCTV & DVR, 재택근무/스마트워크 등의 테마가 하락률 상위를 기록하는 등 대부분 테마가 하락.
728x90

'금일시황' 카테고리의 다른 글

0914 마감시황  (0) 2023.09.14
0914 이슈요약  (0) 2023.09.14
0913 이슈요약  (0) 2023.09.13
0912 마감시황  (0) 2023.09.12
0912 이슈요약  (0) 2023.09.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