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일시황

0901 마감시황

ares0098 2023. 9. 1. 19:05
728x90

 

0123
01

 

 

- 코스닥시장-

 

9/1 KOSDAQ 919.74(-0.93%) 외국인·기관 동반 순매도(-), 2차전지/전기차株 하락(-), 반도체株 상승(+)

 

지난밤 뉴욕증시가 고용동향보고서 관망 및 PCE 물가지표 소화 속 혼조 마감한 가운데, 이날 코스닥지수는 926.37(-2.03P, -0.22%)로 소폭 하락 출발. 장 초반 928.00(-0.40P, -0.04%)에서 장중 고점을 형성한 후 시간이 갈수록 낙폭을 확대. 오후 들어서도 장 후반으로 갈수록 낙폭을키웠고, 결국 장중 저점인 919.74(-8.66P, -0.93%)에서 거래를 마감.

 

개인 순매수 속 외국인과 기관의 동반 순매도 등에 코스닥지수는 5거래일만에 하락. 외국인은 7거래일만에 순매도, 기관은 이틀 연속 순매도. 개인은 5거래일만에 순매수 전환.

 

전기차 판매량 증가세 둔화 등으로 에코프로(-6.21%), 에코프로비엠(-4.93%), 엘앤에프(-2.79%), 더블유씨피(-5.61%), 나노신소재(-4.94%) 등 2차전지/전기차테마가 하락. 스맥(+16.21%), 레인보우로보틱스(+7.46%) 등 로봇 테마, HPSP(+5.66%), 이오테크닉스(+6.85%), 원익IPS(+4.38%), 솔브레인(+6.15%) 등 반도체 관련주들은 상승. 크라우드웍스(+29.80%)는 스팩합병 상장 후 이틀 연속 상한가.

 

수급별로는 외국인과 기관이 각각 2,241억, 775억 순매도, 개인은 3,090억 순매수.

 

 

 

마감 지수 : KOSDAQ 919.74P(-8.66P/-0.93%)

 

 

특징테마
이 슈 요 약
테마시황
▷삼성전자, 엔비디아 'HBM3' 공급 소식 및 반도체 수출 개선 지속 등에 반도체 대표주(생산), 반도체 장비, 반도체 재료/부품, 시스템반도체 등 반도체 테마 상승. PCB(FPCB 등), 3D 낸드 등의 테마도 상승.
▷사우디 국부펀드 총재 내주 방한 속 국내 대기업과 회동 소식 등에 네옴시티 테마 상승.
▷정부, 우크라이나 등 전략 시장 지원 강화 소식 등에 우크라이나 재건 테마 상승. 모듈러주택, 일부 건설기계 등의 테마도 상승.
▷삼성디스플레이, 美 이매진 인수 관련 이매진 주총 통과 소식 속 XR시장 선점 기대감 등에 가상현실(VR)/ 증강현실(AR)/ 메타버스(Metaverse) 테마 상승.
▷갤럭시Z플립5·Z폴드5 유럽서 초기 판매 신기록 소식에 갤럭시 부품주/ 폴더블폰/ 휴대폰부품/ 스마트폰/ 플렉서블디스플레이 테마 등 상승.
▷애플, 9월 행사서 아이폰15 공개 모멘텀 지속 속 아이폰 테마 상승.
▷현대차, '레벨3' 자율주행차 상용화 추진 모멘텀 지속 등에 일부 자율주행차 테마 상승.
▷네이버웹툰 내년 美 상장 기대감 및 웹툰 시장 성장 기대감 지속 속일부 웹툰 테마 상승.
▷수술실 CCTV 25일부터 의무화 소식 속 일부 CCTV & DVR/ 보안주(물리) 테마 상승.
▷국제유가 급등 속 일부 정유/ LPG 테마 상승.
▷이 외 LED장비, 마이크로 LED, 남북경협, 코로나19(음압병실/음압구급차), 리모델링/인테리어, 캐릭터상품, 밥솥, OLED, 테마파크, 건설 중소형, 인터넷 대표주, 드론, 골프, 태양광에너지 등의 테마가 상승률 상위를 기록.
▷반면, 전기차 시장 둔화 소식 등에 2차전지/ 전기차 테마 하락. 폐배터리, 리튬 등의 테마도 하락.
▷LK-99 검증위, 국내 4곳 재현실험서 초전도성 사례 없었다는 소식에 초 전도체 테마 연일 하락. 양자암호, 핵융합에너지, 그래핀, 비철금속 테마 등도 하락.
▷日 후쿠시마 오염수 방류 개시 속 반사이익 기대감에 최근 부각됐던 수산, 육계, 음식료업종, 日제품 불매운동(수혜) 테마 연일 하락.
▷中 크루즈 관광객, 6년5개월 만에 제주 입항 소식에도 면세점, 화장품, 카지노, 여행, 항공/저가 항공사 등 中 소비 관련 테마 하락. 국내 상장 중국기업테마도 하락.
▷탈모 치료, 면역항암제, 바이오시밀러, 제대혈, 치매, 줄기세포, 제약업체 등 제약/바이오 관련 테마 하락.
▷이 외 전선, 조선, 비료, 전력설비, 맥신(MXene), 요소수, U-Healthcare(원격진료), 탄소나노튜브(CNT), 석유화학, 미용기기, 고령화 사회,희귀금속(희토류 등), 클라우드 컴퓨팅, 전기자전거, 조선기자재, 원자력발전소 해체, LNG, 타이어 등의 테마가 하락률 상위를 기록.
728x90

'금일시황' 카테고리의 다른 글

0904 마감시황  (1) 2023.09.04
0904 이슈요약  (0) 2023.09.04
0901 이슈요약  (0) 2023.09.01
0831 마감시황  (0) 2023.08.31
0831 이슈요약  (0) 2023.08.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