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코스피시장-
9/4 KOSPI 2,584.55(+0.81%) 외국인 순매수(+), 2차전지株 강세(+)
지난 주말 뉴욕증시가 실업률 상승 및 임금상승률 둔화 등 고용지표 둔화 속 Fed 위원 매파적 발언 등에 혼조세를 나타냈고, 유럽 주요국 증시도 혼조 마감. 이날 코스피지수는 2,566.93(+3.22P, +0.13%)으로 강보합 출발. 장초반 상승폭을 키워 2,575선 위로 올라서기도 했지만, 이내 상승폭을 반납했고 오전 중 하락 전환. 2,560.32(-3.39P, -0.13%)에서 장중 저점을 형성한 지수는 반등에 성공한 뒤 정오 무렵 2,570선 부근에서 움직이는 모습. 오후 들어 재차 상승폭을 키운 지수는 결국 장 마감까지 상승폭을 확대해 장중 고점인 2,584.55(+20.84P, +0.81%)로 장을 마감.
美 고용동향보고서 소화 속 외국인 순매수 등에 코스피지수는 이틀 연속 상승. 외국인은 4,100억원 넘게 순매수했으며, 선물시장에서도 2,500계약 넘게 순매수. 외국인 매수세는 제조업, 전기전자 업종에 집중되는 모습. 특히, POSCO홀딩스(+5.36%), LG에너지솔루션(+1.53%), 삼성SDI(+2.35%), LG화학(+2.81%), 포스코퓨처엠(+2.32%) 등 2차전지 관련 종목들이 지수 상승을 이끌었음. 삼성전자(+0.28%), SK하이닉스(-0.67%) 등 반도체 관련주들은엇갈린 모습.
중국의 대형 부동산 개발업체 비구이위안의 채권 지급 유예가 승인된 영향으로 중국 증시를 비롯해 아시아 주요 증시가동반 상승한 점도 긍정적으로 작용. 언론에 따르면, 채권단이 지난 1일 표결을 거쳐 39억위안(약 7,094억원) 규모의 비구이위안 위안화 회사채 상환 기한을 2026년으로 연장하는 결정을 내린 것으로 전해짐.
지난 주말 발표된 美 고용동향보고서에 따르면, 비농업부문 고용이예상보다 증가했지만, 실업률이 눈에 띄게 상승하고 임금상승률도 둔화된 것으로 전해짐. 이에 美 고용시장 둔화 기대감이 커지면서 연방준비제도(Fed) 긴축 우려가 다소 완화됐음. 다만, 고용동향보고서 발표 후 일부 Fed 위원의 매파적 발언이 이어지면서 뉴욕증시는 혼조세를 보임.
美 8월 비농업부문 고용은 18만7,000명 증가해 월스트리트저널(WSJ)이 집계한 시장 예상치 17만명 증가를 상회. 다만, 실업률은 3.8%로 시장 예상치 3.5%를 상회했으며 지난해 2월 이후 가장 높은 수치를 기록. 실제 경제활동참가율은 62.8%로 지난 3월 이후 첫 증가세를 나타냈으며, 팬데믹 전인 2020년 2월 이후 최고치를 기록. 시간당 평균 임금은 전월대비 0.08달러(+0.2%) 오른 33.82달러를 기록해 시장 예상치하회. 시장에서는 美 노동시장이 점차 진화되고 있는 것으로 해석됐으며, 지난 주말 시카고상품거래소(CME) 페드워치에 따르면 연방기금(FF) 금리 선물 시장에서 Fed가 9월 회의에서 금리를 동결할 가능성은 93.0%로 증가.
한편, 로레타 메스터 클리블랜드 연방준비은행 총재는 "노동시장에서 수요와 공급의 균형을 맞추는 일부 진전이 이뤄지고 있지만 고용시장은 여전히 강하다"며, "고용 증가세가 둔화되고 채용공고도 줄었지만 실업률 3.8%는 낮다"고 언급했음.
이날 원/달러환율은 전거래일 대비 1.0원 상승한 1,319.8원을 기록.
수급별로는 외국인이 4,129억 순매수, 개인과 기관은 각각 3,886억, 427억 순매도. 선물시장에서도 외국인이 2,592계약 순매수, 개인과 기관은 각각 431계약, 2,524계약 순매도.
국고채 3년물 금리는전거래일 대비 4.9bp 상승한 3.738%, 10년물 은 전거래일 대비 7.8bp 상승한 3.856%를 기록.
3년 국채선물은 전거래일 대비 16틱 내린 103.48로 마감. 외국인, 금융투자가 5,643계약, 2,416계약 순매도, 은행, 투신은 5,263계약, 1,845계약 순매수. 10년 국채선물은 전거래일대비 66틱 내린 109.30으로 마감. 외국인이 1,580계약 순매도, 금융투자는 1,293계약 순매수.
마감 지수 : KOSPI 2,584.55P(+20.84P/+0.81%)
- 코스닥시장-
9/4 KOSDAQ 919.16(-0.06%) 외국인/기관 순매도(-), 개인 순매수(+)
지난 주말 뉴욕증시가 8월 고용동향보고서 발표 속 혼조세를 보인 가운데, 이날 코스닥지수는 918.12(-1.62P, -0.18%)로 약보합 출발. 장초반 반등에 성공한 지수는 921.63(+1.89P, +0.21%)에서 장중 고점을 형성. 이내 하락세로 돌아선 지수는 낙폭을 확대했고 오후 들어 913.04(-6.70P, -0.73%)까지 밀려나며 저점을 형성. 이후 장 마감까지 낙폭을 축소한 지수는 결국 919.16(-0.58P, -0.06%)으로 장을 마감.
美 고용동향보고서 소화 속 외국인, 기관 동반 순매도 등에 코스닥지수는 이틀 연속 하락. 다만, 개인이 매수세를 이어간 가운데 장중 외국인 매도세가 약화된 영향으로 낙폭은 제한됐음. 중국 등 아시아 주요국 증시가 동반 상승한 점도 투자심리를 일부 개선시키는 모습. 에코프로(-5.77%)가 큰 폭으로 하락하며 시가총액 2위로밀려난 반면, 포스코DX(+12.36%)는 포스코 그룹주 강세 속 코스피 이전 상장 모멘텀이 이어지며 급등세를 기록.
수급별로는 외국인과 기관이 각각 32억, 355억 순매도, 개인은 453억 순매수.
마감 지수 : KOSDAQ 919.16P(-0.58P/-0.06%)
특징테마
|
이 슈 요 약
|
테마시황
|
▷국내 대기업 로봇 산업 진출에 따른 시장 확대 기대감 등에 로봇(산업용/협동로봇 등) 테마 상승.
▷국제유가 연중 최고치 기록 등에 정유/ LPG(액화석유가스)/ 석유화학 테마 상승.
▷중국 철강 업황 개선으로 철강 업종 주가 강세 기대감 등에 철강 주요종목/ 철강 중소형 테마 상승.
▷글로벌 주요 기업 생성형 AI 서비스 확대 기대감 등에 지능형로봇/인공지능(AI)/ AI 챗봇(챗GPT 등) 테마 상승.
▷'우크라이나 재건 협력 대표단' 이달 중순 우크라이나 방문 소식 등에 우크라이나 재건/ 건설기계/ 모듈러주택 테마 상승.
▷LNG 및 해양 플랜트 수주확대에 따른 피팅업체 수익성 레벨업 기대감 등에 피팅(관이음쇠)/밸브 테마 상승.
▷국내은행 2분기 건전성 지표 개선 소식에 은행테마 소폭 상승.
▷LG전자, 美 메타(META)와 손잡고 MR(혼합현실) 헤드셋 개발 착수 소식 속 증강현실(AR), 가상현실(VR), 메타버스테마 상승.
▷美 대마 합법화 가능성 제기 등에 마리화나(대마) 테마 상승.
▷추경호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 "조선업 제2전성기 기대, 인력 양성·R&D 총력 지원" 소식 등에 조선 테마 상승.
▷이 외에 농업, 타이어, 종합상사, 3D 프린터, 홈쇼핑, 페인트, 탄소나노튜브(CNT), 백화점, 게임/모바일게임, 보톡스, 리튬, 아이폰, 건강기능식품, 공작기계, 2차전지, 풍력에너지 등의 테마가 상승률상위를 기록.
▷반면, 낸드 공급 과잉 지속, 하반기 수요 회복 비관적 전망 등에 일부 반도체 테마 하락. 삼성전자(+0.28%)는 금일장 초반 2% 넘게 상승하기도 했으나 강보합 마감.
▷中 유커, 밥솥 대거 구매 소식 등에 최근 부각됐던 밥솥 테마 하락. 이 외에 카지노, 면세점, 여행, 화장품, 국내 상장 중국 기업 등 中 소비 관련 테마 하락.
▷美 금리 인상 등에 따른 배당 기대감 하락 영향 지속, 부동산 PF 우려 지속 부각 등에 리츠(REITs) 테마 하락.
▷이 외에 미용기기, 양자암호, 통신장비, 맥신, 육계, 렌터카, 애플페이, 스마트폰, 카메라모듈/부품, 핵융합에너지, U-Healthcare(원격진료), 교육/온라인 교육, 초전도체, 페라이트, 마이크로바이옴, 재택근무/스마트워크 등의 테마가 하락률 상위를 기록.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