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일시황

0823 마감시황

ares0098 2023. 8. 23. 18:48
728x90

 

0123
01

 

- 코스피시장-

 

8/23 KOSPI 2,505.50(-0.41%) 잭슨홀 미팅 경계감·엔비디아 실적 관망세 속 외국인/기관 순매도(-)

 

밤사이뉴욕증시가 잭슨홀 미팅 관망세, 美 은행 신용등급 강등 여파 속 혼조세를 나타냈고, 유럽 주요국 증시는 엔비디아 실적 기대감 등에 상승.이날 코스피지수는 2,510.00(-5.74P, -0.23%)으로 하락 출발. 장초반 낙폭을 키워 2,505선 부근까지 밀려났던 지수는 이내 강보합세로 돌아서며 2,517.51(+1.77P, +0.07%)에서 장중 고점을 형성. 오전 중 등락을 보이던 지수는 재차 낙폭을 확대했고, 오후 들어 2,500선이 붕괴되며 2,499.89(-15.85P, -0.63%)에서 저점을 형성. 이후 일부 낙폭을 만회해 결국 2,505.50(-10.24P, -0.41%)으로 장을 마감.

 

잭슨홀 미팅 경계감 속 외국인과 기관이 동반 순매도하며 코스피지수는 3거래일만에 하락. 외국인은 4거래일 연속, 기관은 2거래일 연속 순매도. 외국인은선물시장에서도 2,500계약 넘게 순매도. 中 경제 둔화 우려 지속 속 중국 증시 하락, 美 은행 신용등급 강등 리스크 재부각 등도 부담으로 작용. 특히, LG에너지솔루션(-2.60%), 삼성SDI(-2.01%), LG화학(-1.92%), 포스코퓨처엠(-3.65%), 현대모비스(-1.30%), 현대차(-0.21%) 등 시총상위 2차전지, 자동차 관련주들의 약세가 두드러짐.

 

현지시간으로 오는 24일부터 26일까지 개최되는 잭슨홀 미팅을 앞두고 경계 심리가 이어지고 있음. 올해 잭슨홀 회의 주제는 'Structural Shifts in the Global Economy(세계 경제의 구조적 변화)'로 팬데믹 이후 고물가/고금리 기조가 장기적으로 유지되는 상황에 대해 논의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으며, 제롬 파월 연방준비제도(Fed) 의장이 금리 인상과 관련해 어떤 입장을 나타낼지 주목하고 있음. 파월 의장은 오는 25일 기조연설에 나설 예정.

한편, 시카고상품거래소(CME) 페드워치에 따르면, 연방기금(FF) 금리 선물 시장에서 뉴욕증시 마감 시점 Fed가 9월 회의에서 금리를 동결할 가능성은 84.5%, 0.25%포인트 인상할 가능성은 15.5% 를 기록. 11월 회의까지 금리를 0.25%포인트 이상 인상할 가능성은 43%를 나타냄.

 

엔비디아의 실적 발표를 앞두고 있는 점도 관망 심리를 키우는 모습. 엔비디아는 현지시간으로 오는 23일 장 마감 후(한국시간 24일 오전) 실적을 발표할 예정. 실적 발표를 앞두고 최근 HSBC 를 비롯한 주요 투자은행과 증권사들은 긍정적인 실적 전망과 함께 엔비디아에 대한 목표주가를 상향 조정하고 있음.

 

美 은행 신용등급 강등 리스크가 재부각된 점도 부담으로 작용. 무디스에 이어 글로벌신용평가사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도 美 은행 신용등급을 하향 조정했음. S&P는 소시에이티드 뱅코프, 밸리 내셔널뱅코프, UMB파이낸셜 코프, 코메리카뱅크, 키코프 등 미국 은행 5곳의 신용등급을 하향 조정하고 일부 은행의 등급 전망도 하향했음. 예금 잔고 감소, 상대적으로 높은 상업 및 무보험 예금 비중, 금리 상승으로 자본조달 비용이 커진 점 등이 해당 은행들의 건전성을 악화했다고 평가.

 

이날 원/달러 환율은 전거래일 대비 4.2원 상승한 1,339.7원을 기록.

 

수급별로는 외국인과 기관이 각각 76억, 892억 순매도, 개인은 946억 순매수. 선물시장에서는 외국인이 2,524계약 순매도, 기관과 개인은 각각 1,427계약, 450계약 순매수.

 

국고채 3년물 금리는 전거래일 대비 3.1bp 하락한 3.771%, 10년물은 전거래일 대비 6.6bp 하락한 3.920%를 기록.

 

3년 국채선물은전거래일 대비 10틱 오른 103.39로 마감. 외국인이 1,610계약 순매수, 금융투자는 2,091계약 순매도. 10년 국채선물은 전거래일 대비 60틱 오른 108.74로 마감. 외국인이 1,609계약 순매수, 금융투자는 2,464계약 순매도.

 

 

 

마감 지수 : KOSPI 2,505.50P(-10.24P/-0.41%)

 

 

- 코스닥시장-

 

8/23 KOSDAQ 882.87(-1.17%) 잭슨홀 미팅 경계감 및 엔비디아 실적 관망세 속 외국인/기관 순매도(-), 2차전지/게임株약세(-)

 

밤사이 뉴욕증시가 잭슨홀 미팅 관망세, 美 은행 신용등급 강등 여파 속 혼조세를 보인 가운데, 이날 코스닥지수는 892.65(-0.68P, -0.08%)로 약보합 출발. 장중 고점으로 출발한 지수는 점차 낙폭을 확대했고, 오후 장중 881.40(-11.93P, -1.34%)까지 밀려나며 저점을 형성. 장 후반 일부 낙폭을 줄이는 모습을 보이기도 했지만, 재차 낙폭을 키워 결국 882.87(-10.46P, -1.17%)로 장을 마감.

 

美잭슨홀 미팅 경계감 및 엔비디아 실적 관망세 속 외국인과 기관이 동반 순매도하며 코스닥지수는 1% 넘게 하락. 외국인은 3거래일만에 순매도, 기관은 2거래일 연속 순매도. 특히, 에코프로(-3.17%), 에코프로비엠(-4.89%), 엘앤에프(-5.19%) 등 2차전지 관련주들이 약세를 나타냈고, 펄어비스(-14.26%) 등 게임 관련주도 약세. 파워로직스(-12.26%), 신성델타테크(-11.08%), 인지디스플레(-10.35%) 등 초전도체 관련주도 재차 급락세를 기록.

 

반면, 한국원자력연구원, 양자 컴퓨터 소자 후보 물질 확인 소식에 우리로(+29.96%), 텔레필드(+29.91%), 코위버(+29.90%), 케이씨에스(+29.89%), 아이윈플러스(+29.82%) 등 양자암호 관련주는 급등.

 

수급별로는 외국인과 기관이 각각 1,719억, 782억 순매도, 개인은 2,534억 순매수.

 

 

 

마감 지수 : KOSDAQ 882.87P(-10.46P/-1.17%)

 

 

특징테마
이 슈 요 약
테마시황
▷한국원자력연구원, 양자 컴퓨터 소자 후보 물질 확인 소식에 양자암호 테마 상승.
▷태풍·폭우 등에도 양호한 7월 누적 손해율 달성 소식 등에 손해보험 테마상승.
▷日, 후쿠시마 오염수 방류 앞두고 정부 수산물 소비촉진 예산 투입 고려 소식 등에 수산 등 테마 상승.
▷원격의료학회, 비대면진료 가이드라인 발표 속 U-Healthcare(원격진료) 테마 상승.
▷美 4번째 해상풍력단지 건설 최종 승인 소식 등에 풍력에너지 테마 상승.
▷오만, 2029년까지 태양광 기반 발전용량 총 3500MW 확보 추진 소식 등에 태양광에너지 테마 상승.
▷울산 수소트램 타당성재조사 통과 소식에 일부 수소차(연료전지/부품/충전소 등) 테마 상승.
▷전일 부진한 흐름을 보였던 맥신(MXene) 테마상승. 휴비스(+18.76%), 아이크래프트(+8.25%), 나인테크(+4.91%) 등이 상승. 상신전자(+12.47%)가 급등한 가운데, 전자파 테마 상승.
▷이 외에 통신장비, 화폐/금융자동화기기(디지털화폐 등), 5G, 마리화나, 화학섬유, SI(시스템통합), NI(네트워크통합), 바이오인식, 보안주(정보), 모듈러주택, 렌터카, 스마트홈, 사물인터넷, 철도, 블록체인, 우주항공산업 등의 테마가 상승률 상위를 기록.
▷반면, 해외 양극재 업체 증설 본격화에 따른 경쟁 심화 우려 및 지난밤 뉴욕증시에서 리비안(-5.19%), 루시드 그룹(-3.04%) 등 하락 영향 등에 2차전지/전기차, 리비안(RIVIAN) 등 테마 하락.
▷전일 반등했던 파워로직스(-12.26%), 신성델타테크(-11.08%), 인지디스플레(-10.35%), 서남(-5.59%) 등 초전도체 테마 하락.
▷중국 내 소비 둔화 등으로 중국 내 임플란트 시장 성장세가 다소 부진한 영향 등으로 치아 치료(임플란트 등) 테마 하락.
▷펄어비스(-14.26%)가 게임스컴에서 붉은사막 영상 공개 후 급락한 가운데, 게임/모바일게임 테마 하락.
▷엔저에 따른 日 철강업계 물량 공세 및 중국에서 값싼 철강재 유입, 국내 건설경기 침체 등에 따른 수익성 우려 등에 철강 주요종목/철강 중소형 테마 하락.
▷이달 31일부터 코로나19 감염병 등급, 4급으로 하향 조정 소식 등에 코로나19 관련 테마 하락.
▷이 외에 건설기계, 제대혈, 핵융합에너지, 니켈, 자원개발, 조선, 지능형로봇/인공지능, 석유화학, 타이어, 종합상사, 전선, NFT(대체불가토큰), LNG, 인터넷 대표주, 사료, 유전자 치료제/분석 등의 테마가 하락률 상위를 기록.

 

728x90

'금일시황' 카테고리의 다른 글

0824 마감시황  (0) 2023.08.24
0824 이슈요약  (0) 2023.08.24
0823 이슈요약  (0) 2023.08.23
0822 마감시황  (0) 2023.08.22
0822 이슈요약  (0) 2023.08.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