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코스피시장-
8/22 KOSPI 2,515.74(+0.28%) 美 기술주 강세 속 개인 순매수(+), 러시아 지정학적 리스크 속 외국인/기관 순매도(-),잭슨홀 관망세
밤사이 뉴욕증시가 잭슨홀 미팅?엔비디아 실적 발표를 앞두고 혼조세를 나타냈고, 유럽 주요국 증시도 혼조 마감. 이날 코스피지수는 2,528.39(+19.59P, +0.78%)로 상승 출발. 장초반 2,533.43(+24.63P, +0.98%)에서 장중 고점을 형성한 지수는 일부 상승폭을 축소해 오전 중 2,520선 부근에서 움직이는 모습. 오후 들어 상승폭을 다소 키우기도 했지만, 재차 상승폭을 반납했고 장후반 2,509.53(+0.73P, +0.03%) 까지 밀려나며 장중 저점을 형성. 장 막판 상승폭을 다소 확대한 지수는 결국 2,515.74(+6.94P, +0.28%)로 장을 마감.
이번주 금융통화위원회, 美 연방준비제도(Fed) 잭슨홀 미팅, 엔비디아 실적 발표 등 국내외 대형 이벤트를 앞두고 관망 심리가 이어진 가운데 코스피지수는 소폭 상승. 밤사이 엔비디아가 실적 발표를 앞두고 호실적 기대감에 급등하는 등 美 대형 기술주들이 강세를 보인 점이 호재로 작용했지만, 장중 러시아가 모스크바 내 공항 3곳을 모두 폐쇄했다는 소식이 전해지며 상승폭을 축소해 거래를 마감. 개인이 500억원 넘게순매수하며 지수 상승을 이끌었음.
日, 후쿠시마 오염수 24일부터 방류 개시 소식 속 신송홀딩스(+23.45%), 샘표식품(+13.13%), 샘표(+12.62%), 사조씨푸드(+11.11%) 등 일부 음식료업종/ 육계/ 수산 관련주들의 강세가 두드러짐. 반면, 경동인베스트(-29.98%), 태경산업(-24.41%) 등 최근 급등세를 나타냈던 맥신 관련주들은 급락.
밤사이 뉴욕증시에서 엔비디아가 호실적 기대감 속 8% 넘게 급등한 점이 투자심리를 개선시키는 모습. 엔비디아는 현지시간으로 오는 23일 장 마감 후 실적을 발표할 예정. HSBC는 엔비디아에 대한 목표주가를 780달러로 제시. 이는 지난주 종가 대비 80% 가량 높은 수준임. 팩트셋에 따르면, 월가 애널리스트 대부분이 엔비디아에 대한 투자의견을 '매수'로 제시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짐. 엔비디아 급등 속 테슬라, 애플, 마이크로소프트, 아마존, 알파벳, 메타 등 대형 기술주들이 동반 상승.
러시아 지정학적 리스크가 재부각된 점은 부담으로 작용. 러시아 관영 타스통신은 이날 오전부터 러시아 수도 모스크바 내 공항 세 곳을 모두 폐쇄했다고 익명의 관계자를 인용해 보도했음. 외신들은 전일 밤부터 모스크바 일부 지역에서 우크라이나 드론 공격이 감행됐기 때문이라고분석. 러시아 국방부는 "오늘 새벽 우크라이나가 러시아 본토의 목표물을 공격하기 위해 4대의 드론을 보냈다"며, "2대의 드론이 러시아 서부 브랸스크 지역에서 방공자산에 탐지돼 전자전 시스템에 요격됐고 다른 2대의 드론은 모스크바주 상공에서 발견돼 방공시스템에 파괴됐다"고발표했음.
한편, 현지시간으로 오는 24일부터 26일까지 잭슨홀 미팅이 개최될 예정. 올해 잭슨홀 회의 주제는 'Structural Shifts in the Global Economy(세계 경제의 구조적 변화)'로 팬데믹 이후 고물가/고금리 기조가 장기적으로 유지되는 상황에 대해 논의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음. 시장에서는 금융위기 이후 미국 장기 국채금리가 최고치를 경신하고 중국 경기에 대한 우려가 확대되고 있는 가운데, 제롬 파월 연방준비제도(Fed) 의장의 심포지엄 연설에 주목하고 있음. 파월 의장은 현지시간으로 25일 연설할 예정.
이날 원/달러 환율은 전거래일 대비 7.1원 하락한 1,335.5원을 기록.
수급별로는개인이 506억 순매수, 외국인과 기관은 각각 404억, 57억 순매도. 선물시장에서는 반대로 외국인과 기관이 각각 1,369계약, 361계약 순매수, 개인은 945계약 순매도.
국고채 3년물 금리는 전거래일 대비 0.7bp 상승한 3.802%, 10년물은 전거래일 대비 1.3bp 상승한 3.986% 를 기록.
3년 국채선물은 전거래일 대비 3틱 내린 103.29로 마감. 금융투자, 은행이 1,384계약, 1,441계약 순매도, 외국인은 3,454계약 순매수. 10년 국채선물은 전거래일 대비 16틱 내린 108.14로 마감. 금융투자, 은행이 1,452계약, 988계약 순매도, 외국인은 1,749계약 순매수.
마감 지수 : KOSPI 2,515.74P(+6.94P/+0.28%)
- 코스닥시장-
8/22 KOSDAQ 893.33(+0.52%) 외국인 순매수(+), 에코프로 등 일부 2차전지株 강세(+), 기관/개인 순매도(-)
밤사이 뉴욕증시가 잭슨홀 미팅?엔비디아 실적 발표를 앞두고 혼조세를 보인 가운데, 이날 코스닥지수는 898.40(+9.69P, +1.09%)으로 갭상승출발. 장초반 899.21(+10.50P, +1.18%)에서 장중 고점을 형성한 지수는 점차 상승폭을 축소해 오전 장 후반 889.71(+1.00P, +0.11%)에서 저점을 형성. 오후 장중 895선을 회복하기도 했지만, 일부 상승폭을 반납했고 893선 부근에서 상승세를 이어가다 893.33(+4.62P, +0.52%)으로 장을 마감.
테슬라 등 美 주요 기술주 강세 속 외국인이 이틀 연속 순매수하며 코스닥지수는 이틀째 상승. 다만, 러시아 지정학적 리스크 재부각, 잭슨홀 미팅 및 엔비디아 실적 발표를 앞둔 관망세 속 상승폭은 제한된 모습.
스마트레이더시스템(+30.88%)이 상장 첫날급등했고, 에코프로(+7.32%), 에코프로비엠(+2.90%), 대주전자재료(+4.90%) 등 2차전지 관련주들이 강세를 보임. 인산가(+29.85%), 보라티알(+26.49%) 등 일부 음식료업종도 日 후쿠시마 오염수 24일부터 방류 개시 소식 등에 상승했고, 신성델타테크(+30.00%), 원익피앤이(+10.81%), 파워로직스(+8.08%) 등 초전도체 관련주들이 재차 급등. 반면, 아모센스(-29.86%), 센코(-27.73%), 나노(-25.56%), 티플랙스(-23.01%) 등 맥신 테마는 급락.
수급별로는 외국인이 633억 순매수, 기관과 개인은 각각 480억, 6억 순매도.
마감 지수 : KOSDAQ 893.33P(+4.62P/+0.52%)
특징테마
|
이 슈 요 약
|
테마시황
|
▷日, 후쿠시마 오염수 24일부터 방류 개시 소식 등에 천일염·소금 관련 음식료업종 테마를 비롯해 육계/ 수산 테마 상승.
▷세계 최대 게임 전시회 '게임스컴' 기대감 등에 일부 게임/ 모바일게임(스마트폰) 테마 상승.
▷中 유커 복귀 기대감 재부각 등에 화장품 테마 상승, 일부 면세점, 일부카지노, 국내 상장 중국기업 테마도 상승.
▷엔비디아發 AI 열풍에 따른 FC-BGA 기판 수혜 기대감 등에 일부 PCB(FPCB 등) 테마 상승.
▷美, '중국 신장 강제노동' 수입 검사 전기차 부품으로 확대 속 반사이익 기대감 지속 및 테슬라 등 美 주요 전기차 업체 주가 상승 등에 일부 2차전지 테마 상승.
▷지난밤 필라델피아 반도체지수 2.83% 급등 및 엔비디아 급등 속 일부 반도체 테마 상승.
▷초전도저온학회 "학술대회서 LK-99 비공개 간담회 계획" 소식에 최근 부진한 흐름을 보이던 신성델타테크(+30.00%), 덕성(+12.94%), 원익피앤이(+10.81%) 등의 초전도체 테마 상승. 핵융합에너지 및 일부 양자암호 등 초전도체 관련 테마도 상승.
▷하이퍼클로바X 공개를 앞둔 NAVER(+3.03%)가 상승한 가운데, 인터넷 대표주 상승, AI 챗봇(챗GPT 등) 테마도 상승.
▷이 외에 클라우드 컴퓨팅, 사료, 전선, 탈모 치료, 폐배터리, 항공기부품, 전력설비, NFT(대체불가토큰), 타이어, 자동차 대표주, 드론, 보톡스 등의 테마가 상승률 상위를 기록.
▷반면, 휴비스, 아모센스 등 일부 맥신 테마 분류 기업의 관련성 부인 등에 맥신(MXene) 테마 하락. 맥신 관련 테마로 부각됐던 전자파 테마도 하락.
▷칼부림 등 연이은 흉악범죄에 CCTV 설치 검토 등 특별치안활동 추가 대책 마련 소식 등으로 전일 상승했던 CCTV&DVR, 보안주(물리) 테마 하락.
▷S&P, 美 은행 5곳 신용등급 강등 소식 등에 일부 은행, 손해보험/생명보험 등 금융 테마 하락.
▷HMM 매각 예비입찰 마감 속 HMM(-4.39%)이 하락한 가운데, 해운 테마 하락.
▷이 외에 LED장비, 석유화학, 니켈, OLED, 리비안(RIVIAN), 골판지 제조, 캐릭터상품, 화학섬유, mRNA, 아이폰, 종합 물류, 시멘트/레미콘, 5G, 바이오시밀러, 비료, 비철금속, 건설기계, 태양광에너지, 영상콘텐츠,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등의 테마가 하락률 상위를 기록.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