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코스피시장-
8/24 KOSPI 2,537.68(+1.28%) 엔비디아 실적 호조·美 국채금리 하락(+), 외국인/기관 순매수(+), 반도체 등 기술주 강세(+)
밤사이 뉴욕증시가 엔비디아 실적 기대감 및 美 국채금리 하락 속 대형 기술주 강세 등에 상승했고, 유럽 주요국 증시는 ECB 금리 동결 전망 강화 속 상승. 이날 코스피지수는 2,531.78(+26.28P, +1.05%)로 갭상승 출발. 오전 중 일부 상승폭을 반납한 지수는 2,520.73(+15.23P, +0.61%)에서 장중 저점을 형성. 이후 점차 상승폭을 확대해 장중 2,530선 부근에서 강세 흐름을 이어가다 장 후반 상승폭을 더욱 확대하는 모 습. 결국 지수는 장 막판 2,539.44(+33.94P, +1.35%)에서 장중 고점을 형성한 뒤 2,537.68(+32.18P, +1.28%)로 장을 마감.
엔비디아 실적 호조 및 美 국채금리 하락, 원/달러 환율 급락 등이 호재로 작용하며 코스피지수는 1% 넘게 상승. 외국인과 기관은 현/선물시장에서 동반 순매수하며 지수 상승을 이끌었음. 특히, 엔비디아 실적 호조 속 SK하이닉스, 삼성전자 등 반도체 관련주들의 강세가 두드러졌으며, 2차전지, 인터넷 등 여타 기술주들도 상승. 아울러 NAVER 생성형 AI 모델 '하이퍼클로바X' 공개 소식 등에 AI 관련주들도 강세.
엔비디아는 전일(현지시간) 뉴욕증시 장 마감 후 시장 예상치를 크게 상회하는 실적을 발표. 엔비디아의 2분기 매출은 135억1,000만달러, 주당순이익은 2.7달러를 기록. 이는 시장 예상치 110억2,200만달러, 2.09달러를 크게 상회하는 수치임. 아울러 3분기 시장 기대치를 크게 상회하는 매출 전망을 제시했으며, 연간 매출은 전년대비 약 170% 급증할 것으로 전망. 이어 250억달러 규모의 자사주 매입도 발표. 엔비디아 주가는 시간외 거래에서 급등세를 기록했고, 이에 국내 증시에서도 반도체 관련주들을 중심으로 매수세가 유입되는 모습.
美 주요 경제지표 부진 속 국채금리가 하락한 점도 긍정적으로 작용. 밤사이 S&P글로벌이 발표한 미국의 8월 제조업 구매관리자지수(PMI) 예비치는 47.0을 기록해 두 달 만에 가장 낮은 수준을 나타냈으며, 시장 예상치도 밑돌았음. 같은 기간 서비스 PMI 예비치도 51.0으로 6개월 만에 최저 수준을 기록했고 시장 예상치도 하회했음. 아울러 잭슨홀 미팅을 앞두고 관망 심리가 이어지고 있는 가운데, 파월 Fed 의장이 지난해 같은 충격을 주지는 않을 것이라는 기대감도 형성되며 美 국채금리는 하락세를 기록.
한편,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는 이날 기준금리를 연 3.50%로 5회 연속 동결했음. 올해 연간 경제성장률도 지난 5월 제시한 1.4%를 유지했음. 이창용 한국은행 총리는 만장일치로 이번 기준금리 동결이 결정됐으며, 금통위원 전원이 당분간 최종 금리를 3.75%까지 열어두고 추가 인상 가능성을 판단하기로 했다고 밝힘.
이날 원/달러 환율은 전거래일 대비 17.1원 급락한 1,322.6원을 기록.
수급별로는 외국인과 기관이 각각 1,111억, 2,940억 순매수, 개인은 3,962억 순매도. 선물시장에서도 외국인과 기관이 각각 3,879계약, 1,036계약 순매수, 개인은 3,299계약 순매도.
국고채 3년물 금리는 전거래일 대비 1.2bp 하락한 3.759%, 10년물은 전거래일 대비 4.2bp 하락한 3.878%를 기록.
3년 국채선물은 전거래일 대비 5틱 오른 103.44로 마감. 외국인, 은행이 6,305계약, 5,705계약 순매수, 금융투자, 투신은 9,063계약, 1,939계약 순매도. 10년 국채선물은 전거래일 대비 35틱 오른 109.09로 마감. 외국인, 보험이 1,311계약, 1,251계약 순매수, 금융투자는 3,193계약 순매도.
마감 지수 : KOSPI 2,537.68P(+32.18P/+1.28%)
- 코스닥시장-
8/24 KOSDAQ 901.74(+2.14%) 엔비디아 실적 호조 및 美 국채금리 하락(+), 외국인/기관 순매수(+), 반도체·2차전지·AI 등 기술주 강세(+)
밤사이 뉴욕증시가 엔비디아 실적 기대감 및 美 국채금리 하락 속 대형 기술주 강세 등에 상승한 가운데, 이날 코스닥지수는 893.46(+10.59P, +1.20%)으로 갭상승 출발. 장초반 892.12(+9.25P, +1.05%)에서 장중 저점을 형성한 지수는 점차 상승폭을확대하는 모습. 오후 장중 900선을 회복한 지수는 장 막판 상승폭을 더욱 키워 902.64(+19.77P, +2.24%)에서 장중 고점을 형성한 뒤 901.74(+18.87P, +2.14%)로 장을 마감.
美 국채금리 하락, 엔비디아 실적 호조, NAVER 생성형 AI 모델 '하이퍼클로바X' 공개 소식 속 반도체, 2차전지, AI 등 주요 기술주들이 강세를 보이면서 지수는 2% 넘게 상승. 외국인과 기관은 동반 순매수하며 지수 상승을 이끌었음.
수급별로는 외국인과 기관이 각각 3,087억, 1,185억 순매수, 개인은 4,073억 순매도.
마감 지수 : KOSDAQ 901.74P(+18.87P/+2.14%)
특징테마
|
이 슈 요 약
|
테마시황
|
▷네이버 '하이퍼클로바X' 공개 소식 등에 AI 챗봇(챗GPT 등)/ 지능형로봇/인공지능(AI) 테마 상승. NAVER(+6.26%) 강세 속 인터넷 대표주도 상승.
▷두산로보틱스 연내 상장 기대감 지속 및 대구시, '국가 로봇 테스트 필드' 예비타당성 조사 통과 소식 등에 로봇(산업용/협동로봇 등) 테마 상승.
▷후쿠시마 오염수 방류 시작 및 中 일본산 수산물 수입 전면 중단 소식 등에 수산 테마 상승.
▷엔비디아, 2분기 어닝 서프라이즈등에 반도체 테마 상승.
▷中 단체관광 허용에 따른 수혜 기대감 부각 등에 카지노 테마 상승.
▷LG디스플레이, 프리미엄 자동차 디스플레이 시장 3년 내 점유율 50% 이상 목표 등에 OLED(유기 발광 다이오드) 테마 상승.
▷북미 시장 견조한 수요에 따른 탑라인 성장 지속 전망 등에 건설기계 테마 상승.
▷iPhone 15 시리즈 출시 지연 및 판매 둔화 우려 과도 분석 등에 아이폰 테마 상승.
▷한국원자력연구원, 양자 컴퓨터 소자 후보 물질 확인 모멘텀 지속 등에 일부 양자암호 테마 상승.
▷모비스(+15.90%), 신성델타테크(+9.99%), 덕성(+2.66%), 고려제강(+2.13%) 등 일부 초전도체 테마 상승.
▷미용 의료기기 수출 호조 및 수출성장세 지속 전망등에 의료기기, 미용기기 테마 상승.
▷폴란드 정부, 차세대 한국형 원전 도입을 위한 내부 절차 돌입 소식 등에 일부 원자력발전 테마 상승.
▷이 외에 모바일솔루션, 보안주(정보), LED장비, NFT(대체불가토큰), 클라우드 컴퓨팅, 캐릭터상품, 줄기세포, 토스(toss), 애플페이, 국내 상장 중국기업, 창투사, 철강 주요종목, 리튬, 2차전지, 메타버스, 사물인터넷, 모바일게임 등의 테마가 상승률 상위를 기록.
▷반면, 후쿠시마 오염수 방류 시작 소식에도 불구하고, 육계 테마 하락. 샘표식품(-4.58%), 인산가(-14.69%), 신송홀딩스(-7.00%) 등 하락 속 소금/천일염 관련 음식료업종 테마 하락.
▷휴비스(-6.70%), 아이크래프트(-6.57%), 코닉오토메이션(-6.46%) 등이 하락하는 등 맥신(MXene) 테마 하락.
▷이 외에 화학섬유, 정유, UAM(도심항공모빌리티), 자전거, 日제품 불매운동(수혜), 편의점, 종합상사, 손해보험, 조림사업, LPG 등의 테마가 하락률 상위를 기록.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