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일시황

0803 마감시황

ares0098 2023. 8. 3. 18:35
728x90

 

0123
01

 

- 코스피시장-

 

8/3 KOSPI 2,605.39(-0.42%) 외국인·기관 동반 순매도(-), 외국인 선물 대규모 순매도(-), 개인 순매수(+), 제약·바이오株 상승(+)

 

지난밤 뉴욕증시가 美 신용등급 강등 및 美 고용지표 호조 속 추가 금리인상 우려 등에 하락, 유럽 주요국 증시도하락. 이날 코스피지수는 2,624.76(+8.29P, +0.32%)으로 상승 출발. 장 초반 하락하기도 했으나 2,625.45(+8.98P, +0.34%)에서 장중 고점을형성. 이후 보합권을 중심으로재차 등락을 보였고, 오전중 낙폭을 확대해 2,591.30(-25.17P, -0.96%)에서 장중 저점을 기록. 오후 들어 시간이 갈수록 낙폭 을 점차 줄였고, 결국 2,605.39(-11.08P, -0.42%)에서 거래를 마감.

 

외국인과 기관 순매도 등에 코스피지수는 이틀연속 하락. 외국인과 기관은 이틀 연속 동반 순매도. 외국인은 선물시장에서도 16,000계약 넘는 순매도를 기록. 美 신용등급 강등 여파에 지난밤 美 증시가 하락했고, 위험자산 회피 심리 등으로 코스피지수는 하락. 다만, 전일 국내증시에 충격이 선반영 되면서 금일 코스피지수의낙폭은 제한되는 모습.

 

장중 원/달러 환율은 3주만에 1,300원선을 넘어서 1,302원선까지 상승하기도 했으나 1,300원선 아래서 거래를 마감. 원/달러 환율은 전거래일 대비 0.6원 상승한 1,299.1원을 기록. 외환당국은 전일 원/달러 환율이 크게 상승한 것에 비해 오늘은 진정국면을 보이고 있다며, 여타 통화 대비 안정적이라고 평가.

 

 

수급별로는 외국인과 기관이 각각 1,556억, 6,687억 순매도, 개인은 8,101억 순매수. 선물시장에서는 외국인이 16,509계약 순매도, 개인과 기관은 각각 3,524계약, 12,329계약 순매수.

 

국고채 3년물 금리는 전일 대비 3.7bp 상승한 3.714%, 10년물은 전일 대비 6.8bp 상승한 3.861%를 기록.

 

3년 국채선물은 전일대비 15틱 내린 103.52 마감. 외국인과 금융투자가 각각 4,827계약, 1,405계약 순매도, 은행은 4,514계약 순매수. 10년 국채선물은 전일대비 70틱 내린 109.15 마감. 외국인과 은행이 각각 3,945계약, 1,533계약 순매도, 금융투자는 3,969계약 순매수.

 

 

 

마감지수 : KOSPI 2,605.39P(-11.08P/-0.42%)

 

 

 

 

- 코스닥시장-

 

8/3 KOSDAQ 920.32(+1.16%) 기관 순매수(+), 개인·외국인 순매도(-)

 

지난밤 뉴욕증시가 美 신용등급 강등및 美 고용지표 호조 속 추가 금리인상 우려 등에 하락한 가운데, 이날 코스닥지수는 911.28(+1.52P, +0.17%)로 강보합 출발. 장 초반 하락전환했고, 897.89(-11.87P, -1.30%)에서 장중 저점을 기록. 낙폭을 줄여 보합권을 중심으로 등락을 보이다 재차 하락해 오전 한때 898선까지낙폭을 키움. 오후 들어 낙폭을 줄였고, 재차 혼조세를 보이다 장 후반 상승폭을 키워 920.41(+10.65P, +1.17%)에서 장중 고점을 형성한 끝에 결국 920.32(+10.56P, +1.16%)에서 거래를 마감.

 

외국인과 개인 순매도 속 기관 순매수 등에 코스닥지수는 하루만에 반등. 기관은사흘만에 순매수. 외국인은 4거래일 연속 순매도, 개인은 4거래일만에 순매도 전환. 에코프로(+7.96%), 에코프로비엠(+2.50%) 등 시총 상위 2차전지 관련주 및 제약/바이오 관련주가 상승하면서 지수 상승을 이끌었음.

 

서남(+29.94%), 모비스(+19.40%) 등 일부 초전도체 테마는 연일 상승. 반면, JYP Ent.(-4.27%), 에스엠(-2.57%) 등 엔터, 펄어비스(-2.54%), 카카오게임즈(-1.43%), 컴투스(-3.13%) 등 게임주들은 하락.

 

수급별로는 기관이 596억 순매수, 개인과 외국인은 각각 274억, 675억 순매도.

 

 

 

마감 지수 : KOSDAQ 920.32P(+10.56P/+1.16%)

 

 

 

특징테마
이 슈 요 약
테마시황
▷코로나19 재확산세 지속 등에 코로나19 관련주 상승.
▷2차전지 수급 쏠림 완화 속 매수세 유입 및 K-바이오, 미국 시장 개척 소식 등에 제약업체, 바이오시밀러(복제 바이오의약품), mRNA(메신저 리보핵산), 치매, 줄기세포, 면역항암제 등 제약/바이오 관련주 상승.
▷상온 초전도체 기대감 지속 등에 일부 초전도체/ 비철금속 테마 상승.
▷하반기 유가상승 전망 및 국민연금의 지분 확대 소식 등에 S-Oil 상승 속 정유 테마상승.
▷이 외 엠폭스(원숭이두창), 마이크로바이옴, 폐기물처리, 백신여권, 건강기능식품, 그래핀, 의료기기, 화학섬유, 카지노, 미용기기, 종합상사, 렌터카, U-Healthcare(원격진료), 건설기계 테마 등이 상승률 상위를 기록.
▷반면, 美 반도체주 급락 영향 등에반도체 대표주(생산)/ 장비/ 재료/부품, 시스템반도체 등 반도체 관련주 하락.
▷게임주 2분기 실적 부진 전망 및 신작 효과 제한적분석 등에 게임/ 모바일게임(스마트폰) 테마 하락.
▷국내 배터리 3사, 올해 상반기 글로벌 전기차 배터리 점유율 하락 및 美 주요 전기차업체 주가 하락 등에 일부 2차전지 테마 하락.
▷美 법원, 상반된 가상자산 증권성 판결 속 불확실성 확대 등에 일부 가상화폐(비트코인 등) 테마 하락.
▷최근 초전도체와 함께 부각됐던 희귀금속(희토류 등), 핵융합에너지, 양자암호 등 테마가 차익실현 매물 출회 등에 하락.
▷지난밤 美 빅테크 관련주 주가 약세 속 IT 대표주/ 인터넷 대표주 테마 하락.
▷이 외 AI 챗봇(챗GPT 등), MLCC, 모바일솔루션(스마트폰), 페라이트, 전선, 전력설비, 조선, 원자력발전, 마이크로 LED, 지능형로봇/인공지능(AI), 음성인식, 제4이동통신, 스마트그리드(지능형전력망), 전자파, 모바일콘텐츠(스마트폰/태블릿PC), 로봇(산업용/협동로봇 등), 철도, 탄소나노튜브(CNT) 테마 등이하락률 상위를 기록.
728x90

'금일시황' 카테고리의 다른 글

0804 마감시황  (0) 2023.08.04
0804 이슈요약  (0) 2023.08.04
0803 이슈요약  (0) 2023.08.03
0802 마감시황  (0) 2023.08.02
0802 이슈요약  (0) 2023.08.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