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코스피시장-
8/2 KOSPI 2,616.47(-1.90%) 美 신용등급 강등(-), 외국인·기관 순매도(-)
지난밤 뉴욕증시가 美 경제 연착륙 기대감 지속, 차익매물 출회 등에 혼조, 유럽 주요국 증시는 하락. 이날 코스피지수는 2,651.53(-15.54P, -0.58%)으로 하락 출발. 장 초반 2,660.90(-6.17P, -0.23%)에서 장중 고점을 형성한 후 시간이 갈수록 낙폭을 확대. 오후 들어 2,611.77(-55.30P, -2.07%)에서 장중 저점을기록한 후 장 후반 낙폭을 다소 줄였으나 결국 2,616.47(-50.60P, -1.90%)에서 거래를 마감.
美 신용등급 강등 여파에 투자심리가 위축됐고, 최근 상승에 따른 차익매물 출회 등으로 코스피지수는 2% 가까이 하락, 5거래일만에 하락 마감. 기관과 외국인 동반 순매도 등이 지수 하락을 이끌었음. 전일 동반 순매수를 보였던 기관과 외국인은 하루만에 동반 순매도 전환. 외국인은 선물시장에서 2만6,000계약 넘는 대규모 순매도를 기록. 반면, 개인은 코스피시장에서 7,000억을 상회하는 순매수를 기록.
금일 국내 증시 개장 전 美 신용평가사 피치가 미국 국가신용등급을 'AAA'에서 'AA+'로 한 계단 하향. 이에 대해 피치는 재정적자 한도 증액 문제와 거듭된 재정 절벽으로 인해 美 연방정부 부채 부담 증가세와 美 정치권 기능 마비가 확인됐다고 설명. 피치가 美 신용등급을 하향한 것은 1994년 이후 29년만이며, 미국 국가신용등급 하향은 지난 2011년 8월 S&P가 'AA+'로 한 단계 하향한 이후 12년 만임.
피치의 신용등급 강등 발표 직후 재닛 옐런 美 재무장관은 "피치의 신용등급 변경은 자의적이며 오래된 데이터를 토대로 한 것”이라며, "미국 국채는 여전히 세계에서 가장 안전한 유동자산이며 미국 경제의 기초는 튼튼하다"고 강조. 카린 장-피에르 백악관 대변인은 피치의 강등 조치 이후 성명을 통해 "이번 결정에 강력하게 반대한다"고 밝힘.
시장전문가들은 금일 국내 증시 하락과 관련해 최근 아시아 증시가 미국과 유럽 대비 상대적으로 상승률이 양호한 상황이었다며, 美 신용등급 강등 이슈 는 단기 차익 실현의 빌미를 제공한 것이라는 분석을 내놓았음. 아울러, 2차전지 종목 포지션 청산 욕구및 단기 과열 우려 제기 등 심리적인 요인도 복합 작용한 것으로 분석하고 있음.
수급별로는 외국인과 기관은 각각 877억, 6,860억 순매도, 개인은 7,722억 순매수. 선물시장에서는 외국인이 26,347계약 순매도, 개인과 기관은 각각 14,894계약, 6,468계약 순매수.
美 신용등급 강등 소식이 전해진 가운데, 원/달러 환율은 전거래일 대비 14.7원 상승한 1,298.5원을 기록.
국고채 3년물 금리는 전일 대비 3.0bp 상승한 3.677%, 10년물은 전일 대비 6.6bp 상승한 3.793%를 기록.
3년 국채선물은 전일대비 8틱 내린 103.67 마감. 기타금융, 외국인, 보험이 각각 515계약, 452계약, 417계약순매도, 금융투자는 1,964계약 순매수. 10년 국채선물은 전일대비 50틱 내린 109.85 마감. 외국인이 12,620계약 순매도, 금융투자는 8,139계약 순매수.
마감 지수 : KOSPI 2,616.47P(-50.60P/-1.90%)
- 코스닥시장-
8/2 KOSDAQ 909.76(-3.18%) 美 신용등급 강등(-), 외국인·기관 순매도(-)
지난밤 뉴욕증시가 美 경제 연착륙 기대감 지속, 차익매물 출회 등에 혼조 마감한 가운데, 이날 코스닥지수는 931.17(-8.50P, -0.90%)로 하락 출발. 장 초반 940.06(+0.39P, +0.04%)에서 장중 고점을 형성하는 등 보합권을 중심으로 등락을 보였음. 이후 오전중 낙폭을 급격히 키웠고, 오후 들어 급락세를 보이며 907.87(-31.80P, -3.38%)에서 장중 저점을 기록. 장 후반 낙폭을 다소 줄였으나 결국 909.76(-29.91P, -3.18%)에서 거래를 마감.
피치의 美 국가신용 등급 강등 소식이 전해졌고, 외국인과 기관이 동반 순매도하면서 코스닥지수는 3% 넘게 급락, 4거래일만에 하락 마감. 외국인은 3거래일 연속 순매도, 기관은 이틀 연속 순매도, 개인은 3거래일 연속 순매수를 기록.
에코프로비엠(-6.85%), 에코프로(-7.45%), 엘앤에프(-1.21%), 더블유씨피(-5.28%), 나노신소재(-5.05%), 천보(-4.01%), 윤성에프엔씨(-4.21%), 피엔티(-6.49%) 등 2차전지, HPSP(-9.62%), 리노공업(-2.76%), 동진쎄미켐(-4.41%), 이오테크닉스(-3.02%), 원익IPS(-3.43%) 등 반도체 관련주 등이 큰 폭으로 하락. 반면, 서남(+30.00%), 신성델타테크(+29.75%), 파워로직스(+29.97%), 모비스(+29.98%), 원익피앤이(+29.59%) 등 초전도체 테마가 급등.
한편, 오스템임플란트는 8월3일~11일까지 정리매매를 거친 후 8월14일 상장폐지될 예정. 최대주주인 MBK파트너스·UCK파트너스 컨소시엄 '덴티스트리인베스트먼트 주식회사'는 정리 매매 기간 및 상장폐지일 이후 6개월간 소액주주 주식을 주당 190만원에 매수할 예정이라고 밝힘.
수급별로는 외국인과 기관이 각각 3,268억, 1,996억 순매도, 개인은 5,542억 순매수.
마감 지수 : KOSDAQ 909.76P(-29.91P/-3.18%)
특징테마
|
이 슈 요 약
|
테마시황
|
▷상온 초전도체 기대감 등에 초전도체 테마 상승. 아울러 핵융합에너지, 양자암호, 비철금속, 희귀금속(희토류 등), 그래핀 테마 등도 상승.
▷해외 시장 기대감및 수주/실적 바닥 통과 분석 등에 일부 5G(5세대 이동통신)/ 통신장비 테마 상승.
▷MLCC 업황 개선 기대감 등에 일부 MLCC(적층세라믹콘덴서) 테마 상승.
▷폭염에 내주 전력수요 최고기록 전망 속 전력설비/ 전선 테마 상승.
▷미국서 7년 만에 신규 원자로가동 소식에 원자력발전 테마 상승.
▷이 외 전기자전거, 탄소나노튜브(CNT), 스마트그리드(지능형전력망), 전력저장장치(ESS), 철도, 철강 주요종목, 손해보험, 우주항공산업, 해저터널(지하화/지하도로 등) 테마 등이 상승률 상위를 기록.
▷반면, 美 반도체 굴기에따른 국내 반도체 업체 피해 우려 등에 반도체 대표주(생산)/장비/재료/부품, 시스템반도체 등 반도체 관련주 하락. PCB(FPCB 등) 테마도 하락.
▷현대차그룹, 7월 중국 포함 글로벌 도매 판매 기대치 하회 등에 자동차 대표주/ 자동차부품 테마 하락.
▷美 신용등급강등 소식 속 국내증시 하락 영향 등에 증권 테마 하락.
▷2차전지 과열 장세 일단락 전망 및 에코프로비엠·금양 임원 자사주 처분여파 지속 등에 2차전지/ 리튬 등 테마 하락.
▷금융당국, 562억원 규모 경남은행 횡령 발생에 따른 은행권 PF 실태 전수조사 소식에은행 테마 하락.
▷리비안, 월가의 밸류에이션 우려에 따른 주가 약세 속 리비안(RIVIAN) 테마 하락.
▷이 외 LED장비, 해운, 치아 치료(임플란트 등), 줄기세포, IT 대표주, 가상현실(VR), 토스(toss), 인터넷 대표주, 밥솥,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웹툰, 탈모 치료, 유전자 치료제/분석, 제습기, 증 강현실(AR), 캐릭터상품, 모바일솔루션(스마트폰), 메타버스(Metaverse), 면역항암제, 클라우드 컴퓨팅, 치매, AI 챗봇(챗GPT 등) 테마 등이 하락률 상위를 기록.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