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코스피시장-
8/4 KOSPI 2,602.80(-0.10%) 외국인·기관 동반 순매도(-), 美 신용등급 강등 여파 지속(-), 반발매수세 유입(+), 美 7 월 비농업 고용 및 실업률 관망세
지난밤 뉴욕증시가 美 신용등급 강등 여파 지속, 美 국채금리 급등 등에 하락, 유럽 주요국 증시도 하락. 이날 코스피지수는 2,606.17(+0.78P, +0.03%)로 강보합 출발. 장 초반 혼조세를 보이다 2,612.30(+6.91P, +0.27%)에서 장중 고점을 형성. 이후 오전중 보합권을 중심으로 등락을 보였고, 오전 한때 2,598.38(-7.01P, -0.27%)에서 장중 저점을 기록. 오후 들어서도 특별한방향성 없이 혼 조세를 보인 끝에 결국 2,602.80(-2.59P, -0.10%)에서 약보합 마감.
외국인과 기관의 동반 순매도 등에 코스피지수는 약보합, 3거래일 연속 하락. 외국인과 기관은 3거래일 연속 순매도. 기관은 사흘 동안 약 1조6천억원 순매도, 외국인은 약 5천억원 가까이순매도를 기록. 선물시장에서 외국인은 약 5,100계약 순매도하면서 순매도 규모는 다소 잦아들었음.
美 신용등급 강등 여파가 지속되면서 증시에 하방 압력으로 작용했으나 지난 2일 코스피지수가 큰 폭으로 하락하면서 선반영 인식 속에 반발매수세 유입 등으로 증시 낙폭은제한됨. 현지시간으로 4일 발표될 美 7월 비농업 부문 신규 고용 및 실업률 발표를 앞둔 관망세도 짙은 모습.
수급별로는 외국인과 기관은 각각 2,451억, 2,355억 순매도, 개인은 4,729억 순매수. 선물시장에서는 외국인이 5,160계약 순매도, 개인과 기관은 각각618계약, 4,970계약 순매수.
원/달러 환율은 전거래일 대비 10.7원 상승한 1,309.8원을 기록.
국고채 3년물 금리는전일 대비 2.4bp 상승한 3.738%, 10년물은 전일 대비 1.5bp 상승한 3.876%를 기록.
3년 국채선물은 전일대비 7틱 내린 103.45 마감.외국인과 금융투자가 각각 1,151계약, 830계약 순매도. 투신은 1,004계약 순매수. 10년 국채선물은 전일대비 15틱 내린 109.00 마감. 외국인이 2,658계약 순매도, 금융투자는 2,574계약 순매수.
마감 지수 : KOSPI 2,602.80P(-2.59P/-0.10%)
- 코스닥시장-
8/4 KOSDAQ 918.43(-0.21%) 외국인·기관 동반 순매도(-), 개인 순매수(+)
지난밤 뉴욕증시가 美 신용등급강등 여파 지속, 美 국채금리 급등 등에 하락한 가운데, 이날 코스닥지수는 921.16(+0.84P, +0.09%)으로 강보합 출발. 장 초반 922.89(+2.57P, +0.28%)에서 장중 고점을 형성한 후 오전 내내 보합권을 중심으로 등락을 거듭했음. 오후 들어 낙폭을 다소 키워 914.30(-6.02P, -0.65%)에서 장중 저점을 기록한 후 낙폭을 줄였고, 결국 918.43(-1.89P, -0.21%)에서 거래를 마감.
외국인과 기관의 동반 순매도 등에 코스닥지수는 하락. 외국인은 5거래일 연속 순매도, 기관은 1,000억 넘는 순매도를 기록. 반면, 개인은 2천억 넘게 순매수. 美 신용등급 강등 여파가 지속된 가운데, 美 7월 비농업 부문 신규 고용 및 실업률 발표를 앞둔 관망세가 짙은 모습.
수급별로는 외국인과 기관이 각각 928억, 1,053억순매도, 개인은 2,050억 순매수.
마감 지수 : KOSDAQ 918.43P(-1.89P/-0.21%)
특징테마
|
이 슈 요 약
|
테마시황
|
▷NAVER, 2분기 호실적 속 하이퍼클로바X 기대감 지속 등에 AI 챗봇(챗GPT 등)/ 지능형로봇/인공지능(AI) 테마 상승.
▷네이버웹툰 내년 美 상장 목표 소식 등에웹툰 테마 상승.
▷中 방한 관광객 증가 및 韓中 카페리 여객운송 3년반 만에 재개 소식에 면세점/ 카지노/ 항공 등 중국 소비 관련테마 상승. 국 내 상장 중국기업 테마도 상승.
▷한국 화장품, 日 시장서 수입액 첫 1위 소식 등에 화장품 테마 상승.
▷주요엔터사 호실적 기대감 지속 등에 엔터테인먼트/ 음원/음반 테마 상승.
▷조선업 슈퍼사이클 기대감 지속 등에 조선/ 조선기자재 테마상승.
▷아마존클라우드(AWS) 사업 호조 등에 클라우드 컴퓨팅 테마 상승.
▷삼성전자 휴머노이드 개발 기대감 및 두산로보틱스 IPO 기대감 지속 속 로봇(산업용/협동로봇 등) 테마 상승.
▷더불어민주당, 출산지원법 추진 기대감 속 출산장려정책/ 엔젤산업/캐릭터상품 등 테마 상승.
▷이 외 NI(네트워크통합), 미용기기, 비료, 백화점, 재택근무/스마트워크, 영상콘텐츠, CCTV & DVR, 모바일솔루션, 3D 프린터, 제4이동통신, 음성인식, 보안주(물리), 농업, 광고, 종합 물류, 패션/의류, 리모델링/인테리어, 육계, 터치패널, 창투사, 손해보험, 제습기 등의 테마가 상승률 상위를 기록.
▷반면, LK-99 검증위, 초전도체 입증 부족 발표 등에 초전도체 테마 하락.핵융합에너지, 그래핀, 비철금속, 희귀금속(희토류 등), 양자암호 등의 테마도 하락.
▷아이폰 3분기 매출 역성장 기조 지속 전망 등에 아이폰 테마 하락. 스마트폰 테마 등도 하락.
▷中 스마트폰 이용 규제 우려 속 일부 게임/ 모바일게임(스마트폰) 테마 하락.
▷일부 증권사 에코프로·에코 프로비엠 '현재가보다 낮은 목표가' 제시 속 2차전지, 폐배터리 등 테마 하락.
▷코로나19 재확산세 심화 속 최근 부각됐던 코로나19(진단키트), 코로나19(치료제/백신 개발 등) 등 코로나19 관련 테마 하락.
▷면역항암제, 줄기세포, 제대혈 등 제약/바이오 관련 테마 하락.
▷이 외 전선, 철강 주요종목, 전기자전거, 전력설비, 전자파, MLCC, 전력저장장치(ESS), 3D 낸드, 탄소나노튜브(CNT), 갤럭시 부품주, 인터넷 대표주, 무선충전기술, LED장비, 카메라모듈/부품, 우주항공산업, 마이크로바이옴, 폴더블폰, 네옴시티 등의 테마가 하락률 상위를 기록.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