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일시황

0306 마감시황

ares0098 2023. 3. 6. 19:11
728x90

0123
01

- 코스피시장-

3/6 KOSPI 2,462.62(+1.26%) 美 증시 강세(+), 외국인/기관 순매수(+), 2차전지株 강세(+)

지난 주말 뉴욕증시가 국채금리 하락 속 기술주 강세 등에 큰 폭으로 상승했고, 유럽 주요국 증시도 일제히 상승. 이날 코스피지수는 2,452.46(+20.39P, +0.84%)으로 상승 출발. 오전 중 상승폭을 축소해 2,441.07(+9.00P, +0.37%)에서 장중 저점을 형성하기도 하는 등 2,445선 부근에서 움직이는 모습. 오전 장 후반 재차 상승폭을 확대했고, 오후 들어서도 상승폭을 키운 지수는 2,460선을 회복하기도 함. 오후 장중 일부 상승폭을 반납하기도 했지만, 장후반 재차 상승폭을 확대해 2,464.45(+32.38P, +1.33%)에서 장중 고점을 형성한 뒤 2,462.62(+30.55P, +1.26%)로 장을 마감.

美 국채금리 하락 및 달러화 약세 등에 위험자산 선호 심리가 커지면서 코스피지수는 1% 넘게 상승, 4거래일 연속 상승. 외국인과 기관은 동반 순매수하며 지수 상승을 이끌었음. 외국인은 선물시장에서도 순매수.

지난 주말 美 국채금리가 Fed 빅스텝 우려 완화 속 하락세로 돌아서며 주요 기술주들이 강세를 보임. 최근 라파엘 보스틱 애틀란타 연방준비은행 총재가 "지금 당장은 0.25%포인트 인상에 매우 확고하다"고 언급하는 등 Fed 빅스텝 우려가 완화되는 모습을 보인 가운데, 지난 주말 뉴욕채권시장에서는 Fed 통화정책에 민감한 2년물 국채금리가 장중 4.836%까지 떨어졌음. 아울러 글로벌 장기시장금리 벤치마크인 10년물 국채금리는 10bp 이상 하락하며 3.962%까지 떨어졌음. 이에 애플, 마이크로소프트, 아마존, 알파벳A, 메타, 엔비디아, 테슬라 등 美 주요 기술주들이 일제히 상승했으며, 국내 증시에서도 반도체, IT 대표주, 인터넷 대표주, 2차전지 관련주들이 상승. 특히, 삼성SDI가 GM과 합작공장 설립을 준비한다는 소식이 전해지며 2차전지 관련주들의 강세가 두드러짐.

아울러 美 국채금리 하락 속 달러화가 약세를 보이면서 원/달러 환율이 1,300원선 아래로 내려간 점도 투자심리를 개선시켰음. 이날 원/달러 환 율은 전거래일 대비 4.7원 하락한 1,296.9원을 기록.

한편, 중국은 올해 경제 성장 목표치를 1994년이래 가장 낮은 수준인 5% 안팎으로 제시했음. 지난 5일 제14기 전국인민대표대회(전인대) 1차 회의가 개막한 가운데, 리커창 총리는 업무보고에서 올해 국내총생산(GDP) 성장 5% 내외 등 2023년 중국 경제의 예상 목표치를 제시했음. 이번 전인대에서 제시된 경제 성장률 목표치 5% 내외는 1994년 중국 정부가 그해 경제 성장률 목표를 공개하기 시작한 이래 2020년을 제외하고 가장 낮은 목표치임. 중국은 지난해에도 5.5% 안팎의 경제 성장 목표를 내세웠지만, 실제 성장은 3.0%에 그친 바 있음.

수급별로는 외국인과 기관이 각각 3,253억, 4,600억 순매수, 개인은 7,875억 순매도. 선물시장에서는 외국인과 개인이 각각 1,507계약, 260계약 순매수, 기관은 801계약 순매도.

국고채 3년물 금리는 전거래일 대비 1.7bp 하락한 3.774%, 10년물은 전거래일 대비 4.5bp 하락한 3.731%를 기록.

3년 국채선물은 전거래일 대비 9틱 오른 103.34로 마감. 은행, 금융투자가 5,917계약, 3,010계약 순매수, 외국인은 10,066계약 순매도. 10년 국채선물은 전거래일 대비 56틱 오른 110.26으로 마감. 외국인이8,390계약 순매수, 금융투자는 6,609계약 순 매도.

코스피 시총상위종목들은 대부분 종목이 상승. 삼성SDI(+6.84%), SK이노베이션(+4.48%), NAVER(+4.38%), 카카오(+4.26%), LG전자(+3.34%), LG화학(+3.27%), SK하이닉스(+2.75%), 포스코케미칼(+2.40%), LG에너지솔루션(+1.67%), 삼성바이오로직스(+1.65%), 삼성전자(+1.65%), 삼성물산(+1.45%), 현대모비스(+1.15%) 등이 상승. 반면, POSCO홀딩스(-0.75%) 등이 하락했고, 신한지주는 보합.

업종별로도 대부분 업종이 상승. 전기전자(+2.20%), 서비스업(+2.19%), 제조업(+1.44%), 비금속광물(+1.39%),화학(+1.22%), 의약품(+1.03%), 기계(+0.82%), 통신업(+0.81%), 섬유의복(+0.68%), 증권(+0.53%), 보험(+0.48%), 금융업(+0.43%) 등이 상승. 반면, 의료정밀(-1.73%), 철강금속(-1.35%), 운수창고(-0.43%), 음식료업(-0.38%) 등은 하락.

마감 지수 : KOSPI 2,462.62P(+30.55P/+1.26%)

- 코스닥시장-

3/6 KOSDAQ 816.51(+1.76%) 美 증시 강세(+), 개인 순매수(+), 2차전지株 강세(+)

지난 주말 뉴욕증시가 국채금리 하락 속 기술주 강세 등에 큰 폭으로 상승한 가운데, 이날 코스닥지수는 810.61(+8.19P, +1.02%)로 갭상승 출발. 장초반 804.47(+2.05P, +0.26%)에서 장중 저점을 형성한 지수는 상승폭을 키워 오전 중 810선 부근에서 강세 흐름을 이어가는 모습. 오후 들어서도 상승폭을 키운 지수는 장 막판 816.62(+14.20P, +1.77%)에서 장중 고점을 형성한 뒤 816.51(+14.09P, +1.76%)로 장을 마감.

美 국채금리 하락 속 美 증시가 큰 폭으로 상승한 점이 호재로 작용. 개인은 3,600억원 넘게 순매수하며 지수 상승을 이끌었음. 삼성SDI가 GM과 합작공장 설립을 준비한다는 소식이 전해진 가운데, 2차전지 관련주들의 강세가 두드러짐. 특히, 시총 1위 에코프로비엠(+19.17%)은 이틀 연속 급등하며 시가총액 20조원을 돌파했음.

수급별로는 개인이 3,628억 순매수, 외국인과 기관은 각각 1,294억, 2,060억 순매도. 기관은 9거래일 연속순매도.

코스닥 시총상위종목들은 하락 종목이 다소 우세. 리노공업(-8.29%), HLB(-1.71%), 카카오게임즈(-1.26%), JYP Ent.(-1.03%), 성일하이텍(-0.98%), CJ ENM(-0.66%), 스튜디오드래곤(-0.50%), 엘앤에프(-0.19%) 등이 하락. 반면, 에코프로비엠(+19.17%), 동진쎄미켐(+4.47%), 에코프로(+3.34%), 펄어비스(+1.16%), 셀트리온헬스케어(+1.04%), 에스엠(+0.70%) 등은 상승. 오스템임플란트, 천보는 보합.

업종별로는 대부분 업종이 상승. 일반전기전자(+12.84%) 업종이 급등했고, 제조(+2.91%), 금속(+2.70%), 음식료/담배(+2.28%), 운송장비/부품(+2.13%), 화학(+2.05%), 금융(+1.80%), 반도체(+1.68%), 소프트웨어(+1.49%), 기계/장비(+1.47%), IT H/W(+1.41%), 통신장비(+1.25%), IT 부품(+1.19%) 업종 등이 큰 폭 상승. 반면, 종이/목재(-2.55%), 방송서비스(-1.44%), 통신방송서비스(-0.65%), 기타 제조(-0.47%), 인터넷(-0.34%) 등 일부 업종은 하락.

마감 지수 : KOSDAQ 816.51P(+14.09P/+1.76%)

특징테마
이 슈 요 약
테마시황
▷삼성SDI, GM과 합작공장 설립 예정 소식, 테슬라 中 판매 호조, 볼보 CEO 방한 예정 소식 등에 2차전지/ 전기차 테마 상승.
▷삼성SDI 전고체 배터리 사업 기대감 지속 및 포드의 전고체 배터리 기술 확보 추진 소식 등에 2차전지(전고체) 테마 상승.
▷삼성SDI-GM 합작공장 설립 예정 및 엘앤에프-中 시노리튬머티리얼즈 수산화리튬 합작사 설립 소식 등으로 리튬 테마 상승.
▷대영채비, 아시아 첫 미국 전기차 충전 운영사업자 공식 선정 소식 등에 전기차(충전소/충전기) 테마 상승.
▷美 국채금리 하락 속 주요 기술주 강세 등에 반도체/인터넷/IT 대표주 테마 상승.
▷中 휴대폰 생산 확대 등 전방산업 긍정적 전환 등에 휴대폰부품/ MLCC/ 카메라모듈/부품 등 테마 상승.
▷삼성전자, 첫 웨어러블 로봇 '봇핏' 연내 출시 예정 소식 등에 지능형로봇/인공지능(AI) 테마 상승.
▷애플페이 국내 출시 임박 소식에 애플페이 테마 상승.
▷국제여객수요 증대에 따른 올해 호실적 기대감 등에 항공/저가 항공사(LCC) 테마 상승.
▷우주 관련 산업 성장 기대감 등에 우주항공산업 테마 상승.
▷이 외에 온실가스(탄소배출권), 화폐/금융자동화기기(디지털화폐 등), 전기자전거, 무선충전기술, 석유화학, 희귀금속(희토류 등), 스마트홈(홈네트워크), 마켓컬리(kurly), 정유, 비철금속 등이 상승률 상위를 기록하는 등 대부분의 테마가 상승.
▷반면, 中 양회가 개최되고 있는 가운데, 부동산 부양책 부재 속 철강 주요종목/ 철강 중소형, 건설기계 테마 하락.
▷선박 공급과잉 및 경기침체에 따른 수요 감소 여파 지속 등에 해운 테마 하락.
▷이 외에 탈모 치료, 여행, 광고, 영화, CCTV & DVR, 콜드체인(저온 유통), 캐릭터 상품, 화장품, 생명보험, STO(증권형 토큰 발행), 출산장려정책, 엔터테인먼트 등의 테마가 하락률 상위를 기록.
728x90

'금일시황' 카테고리의 다른 글

0308 이슈요약  (0) 2023.03.08
0307 이슈요약  (0) 2023.03.07
0306 이슈요약  (1) 2023.03.06
0303 마감시황  (0) 2023.03.03
0303 이슈요약  (1) 2023.03.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