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일시황

1229 마감시황

ares0098 2022. 12. 29. 18:56
728x90

0123
01

- 코스피시장-

12/29 KOSPI 2,236.40(-1.93%) 외국인·기관 동반 순매도(-), 中 코로나 확산 속 경제재개 기대 후퇴 및 경기 침체 우려 지속(-)

지난밤 뉴욕증시가 中 확진자 급증 속 경제재개 기대 후퇴 및 경기 침체 우려 지속 등에 하락, 유럽 주요국 증시는 혼조 마감. 이날 코스피지수는 2,265.73(-14.72P, -0.65%)으로 하락 출발. 장 초반 2,272.67(-7.78P, -0.34%)에서 장중 고점을 형성한 후 시간이갈수록 낙폭을 확대. 오후 들어 2,238선까지 낙폭을 키우다 오후 한때 2,250선까지 낙폭을 줄이기도 했으나 장 후반 재차 낙폭을 키웠고, 2,236.38(-44.07P, -1.93%)에서 장중 저점을 기록한 끝에 2,236.40(-44.05P, -1.93%)에서 거래를 마감.

2022년 폐장일을 맞은 코스피지수는 외국인과 기관의 동반 순매도 등에 이틀째 하락. 외국인과 기관은 이틀 연속 순매도하면서 지수 하락을 이끌었음. 중국의 확진자 급증속 경제 재개에 대한 기대감 후퇴, 내년 경기 침체 우려 지속 등이 증시 전반에 부담으로 작용. 지난밤 뉴욕증시 대형 기술주들도 전반적으로 약세를 보이면서 투자자들의 심리도 크게 위축.

최근 중국의 위드 코로나 전환 이후 리오프닝에 대한 기대감이 부각됐으나 중국 내코로나19 신규 확진자와 사망자가 급증하고 있는 가운데, 중국이 방역을 위한 입국 제한조치를 해제하면서 중국발 여행객 급증 조짐 속 글로벌 주요국들의 중국인 입국 규정 강화 소식 등으로 경제 재개 기대감이 크게 후퇴하는 모습. 인도와 일본, 이탈리아, 대만 등이 중국발 입국자들의 코로나19 검사를 의무화하기로 했으며 미국 등도 새로운 방역 입국 정책을 검토중이라는 소식이 전해짐.

정부는 금일 국가감염병 위기대응 자문위원회를 열고, 중국 대상 추가 방역 조치를 논의한 뒤 30일(금) 최종 방안을 발표할 예정. 중국에서 입국하는 사람 모두에게 코로나19 신속항원검사를 받게 할 방침인 것으로 전해지고 있음.

美 주요 기술주 하락 및 필라델피아 반도체지수 하락, 반도체업황 우려 지속 등에 삼성전자(-2.30%), SK하이닉스(-1.32%) 등 반도체 대표주가 하락. 지난밤 테슬라(+3.31%)가 8거래일만에 반등했으나 LG 에너지솔루션(-0.23%), 삼성SDI(-1.99%) 등은 하락. 애플 주가 18개월 래 최저치 기록 등에 LG이노텍(-4.17%) 등 아이폰 관련주 하락. 반면, 韓 게임 7종에 외자판호 발급 소식 등에 넷마블(+17.74%), 엔씨소프트(+3.34%) 등 게임주는 상승.

한편, 2022년 코스피지수는 2,998 선에서 시작해 연중 3,000선을 상회하기도 했으나 Fed 기준금리 인상 및 경기 침체 우려 등으로 줄곧 하방압력을 받았고, 2,236선에서 거래를 마감하며, 2021년 폐장일 종가 대비 약 가까이 25% 하락.

수급별로는 외국인과 기관이 각각 1,434억, 5,768억 순매도, 개인은 6,713억 순매수. 선물시장에서도 외국인과 기관이 각각 6,327계약, 457계약 순매도, 개인은 4,943계약 순매수.

원/달러 환율은 전거래일 대비 2.5원 하락한 1,264.5원을 기록.

국고채 3 년물 금리는 전일 대비 5.1bp 상승한 3.719%, 10년물은 전일 대비 5.3bp 상승한 3.726%를 기록.

3년 국채선물은 전일대비 20틱 내린 103.45 마감. 보험, 은행이 각각 3,762계약, 1,024계약 순매도, 금융투자와 외국인은 각각 3,509계약, 1,449계약 순매수. 10년 국채선물은 전일대비 66틱 내린 109.95 마감. 외국인이 4,746계약 순매도, 금융투자와 은행은 각각 2,843계약, 1,297계약 순매수.

코스피 시총상위종목들은 일제히 하락. POSCO홀딩스(-4.98%), SK(-3.82%), 삼성물산(-3.81%), LG전자(-3.24%), 현대모비스(-3.14%), 셀트리온(-3.02%), 기아(-2.63%), 삼성전자(-2.30%), 삼성SDI(-1.99%), 현대차(-1.95%), 신한지주(-1.95%), KB금융(-1.92%), SK이노베이션(-1.60%), NAVER(-1.39%),삼성생명(-1.39%), SK하이닉스(-1.32%), 삼성바이오로직스(-1.08%) 등이 하락.

업종별로도 일제히 하락. 철강/금속(-3.73%), 운수창고(-3.39%), 유통(-3.35%), 전기가스(-3.28%), 건설(-2.67%), 증권(-2.48%), 운수장비(-2.31%), 화학(-2.19%), 섬유/의복(-2.13%), 금융(-1.98%), 기계(-1.96%), 제조(-1.96%), 전기/전자(-1.88%), 의약품(-1.60%) 등이 하락.

마감 지수 : KOSPI 2,236.40P(-44.05P/-1.93%)

- 코스닥시장-

12/29 KOSDAQ 679.29(-1.89%) 외국인·기관 동반 순매도(-), 中 코로나 확산 속 경제재개 기대 후퇴 및 경기 침체 우려지속(-)

지난밤 뉴욕증시가 中 확진자 급증 속 경제재개 기대 후퇴 및 경기 침체 우려 지속 등에 하락한 가운데, 이날 코스닥지수는 691.35(-1.02P, -0.15%)으로 약보합 출발. 장 초반 상승 전환해 693.12(+0.75P, +0.11%)에서 장중 고점을 형성했으나 이내 하락 전환했고, 시간이 갈수록 낙폭을 확대. 오후 들어 675.80(-16.57P, -2.39%)에서 장중 저점을 기록한 후 681선까지 낙폭을 줄이기도 했으나 결국 679.29(-13.08P, -1.89%)에서 거래를 마감.

외국인과 기관의 동반 순매도 등으로 코스닥지수는 이틀째 하락. 외국인과 기관이 이틀 연속 동반 순매도하면서 지수 하락을 이끌었음. 중국의 코로나19 확진자 급증 속 경제 재개 기대감이 후퇴했고, 경기 침체 우려도 지속되면서 증시전반에 악재로 작용. 지난밤 美 나스닥지수도 1% 넘게 하락하면서 투자심리가 위축.

셀트리온헬스케어(-4.76%), HLB(-3.73%), 셀트리온제약(-1.04%) 등 제약/바이오 관련주가 하락. 반면, 韓 게임 7종에 외자판호 발급 소식 등에 조이시티(+11.14%), 카카오게임즈(+5.81%), 액션스퀘어(+3.75%) 등 게임주가 상승. 지난밤 美 증시에서 테슬라(+3.31%)가 8거래일만에 반등한 가운데, 에코프로비엠(-0.11%), 에코프로(-2.46%), 엘앤에프(+1.23%), 천보(+1.53%) 등 2차전지/전기차 관련주들은 등락이 엇갈림.

한편, 2022년 1,038선에서 거래를 시작한 코스닥지수는 679선에서 거래를 마감하면서 2021년 폐장일 종가 대비 34% 넘게 하락.

수급별로는 외국인과 기관이 각각 1,386억, 498 억 순매도, 개인은 1,872억 순매수.

코스닥 시총상위종목들은 대부분 하락. 셀트리온헬스케어(-4.76%), HLB(-3.73%), 파라다이스(-2.76%), 휴젤(-2.60%), 리노공업(-2.57%), 에코프로(-2.46%), 펄어비스(-2.44%), 솔브레인(-1.45%), 셀트리온제약(-1.04%), 에스티팜(-0.79%), 스튜디오드래곤(-0.35%) 등이 하락. 반면, 카카오게임즈(+5.81%), CJ ENM(+2.65%), 천보(+1.53%), 오스템임플란트(+1.47%), JYP Ent.(+1.35%), 엘앤에프(+1.23%) 등은 상승.

업종별로도 대부분 하락. 유통(-3.94%), 통신서비스(-3.26%), 음식료/담배(-3.13%), 비금속(-2.78%), 통신장비(-2.77%), 인터넷(-2.72%), 컴퓨터서비스(-2.71%), 섬유/의류(-2.66%), 기타제조(-2.62%), 출판/매체복제(-2.62%), 운송장비/부품(-2.60%), 반도체(-2.56%), 소프트웨어(-2.29%) 등이 하락. 반면, 방송서비스(+1.38%), 디지털컨텐츠(+0.77%) 등은 상승.

마감지수 : KOSDAQ 679.29P(-13.08P/-1.89%)

특징테마
이 슈 요 약
테마시황
▷韓 게임 7종에 외자판호 발급 소식에 일부 게임/ 모바일게임(스마트폰) 테마 상승.
▷중국 내 부유층 화이자 팍스로비드 사재기 소식 속 일부 코로나19(화이자) 테마 상승.
▷정부, 중국발 입국자 전원 PCR 검사 가능성 등에 일부 코로나19(진단키트) 테마 상승.
▷中 감기약 대란 속 주변국 감기약 사재기 현상 지속 등에 일부 제약업체 테마 상승.
▷이 외에 CCTV & DVR, 기업인수목적회사(SPAC) 등 일부 테마만이 상승.
▷반면, 필라델피아 반도체지수 하락 및 11월 반도체 생산 감소 소식 등에 반도체 관련주 하락.
▷국내 철강사 4분기 영업이익 급감 우려 등에 철강 주요종목/ 철강 중소형 테마 하락.
▷내년 공공·민간투자 위축으로 건설경기 부진 지속 전망 등에 하락
▷정부, 중국 대상 코로나19 방역 조치 발표 예정 등에 항공/저가항공사, 화장품, 면세점, 카지노, 여행 등 중국 소비 관련주 하락.
▷애플 주가 18개월 만에 최저치 기록 등에 아이폰 테마 하락.
▷내년도 VR/AR 산업 악화 우려 등에 가상현실(VR)/ 증강현실(AR) 테마 하락.
▷유럽 천연가스 가격 하락세 지속 등에 도시가스/ LNG(액화천연가스)/ 겨울 테마 하락.
▷국제유가 하락 영향 등에 정유/ LPG(액화석유가스) 테마 하락.
▷공급 과잉 우려에 따른 폴리실리콘 가격 약세 등에 태양광에너지 테마 하락.
▷테슬라發수요 위축 우려 지속 등에 전기차/2차전지 테마 하락.
▷이 외에 종합상사, 자원개발, 편의점, 드론, UAM, 타이어, 우크라이나 재건관련주, 건설기계, 사료, 전선, 피팅(관이음쇠)/밸브, 남북경협, 온실가스, 폐배터리 관련주, 창투사, 희귀금속, 패션/의류, 풍력에너지, 철도, 줄기세포, 보톡스, 통신장비 등의 테마가 하락률 상위를 기록.
728x90

'금일시황' 카테고리의 다른 글

0103 이슈요약  (1) 2023.01.03
0102 이슈요약  (0) 2023.01.02
1229 이슈요약  (0) 2022.12.29
1228 마감시황  (0) 2022.12.28
1228 이슈요약  (0) 2022.12.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