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코스피시장-
10/12 KOSPI 2,479.82(+1.21%) 美 장기 국채금리 하락 지속 및 뉴욕증시 상승(+), 국제유가 하락(+), 기관 순매수(+)
지난밤 뉴욕증시가 美 장기 국채금리 하락세 지속 등에 상승, 유럽 주요국 증시는 혼조 마감. 이날 코스피지수는 2,465.19(+15.11P, +0.62%)로 상승 출발. 장 초반 2,464.84(+14.76P, +0.60%)에서 장중 저점을 기록한 후 상승폭을 키웠고, 오전중 2,477선을 상회. 오후 들어2,468선까지 상승폭을 줄였으나 장 막판 재차 상승했고, 장중 고점인 2,479.82(+29.74P, +1.21%)에서 거래를 마감.
美 CPI 발표를 하루 앞둔 가운데, 美 장기 국채금리 하락세 지속 등에 지난밤 뉴욕증시가 상승하면서 투자심리가 개선. 기관이 순매수하면서 코스피지수 상승을 이끌었고, 코스피지수는 이틀 연속 상승. 기관이 4거래일 연속 순매수한 반면, 외국인은 14거래일 연속 순매도, 개인도 3거래일 연속 순매도.
지난밤 美 10년물 국채금리는 장중 한때 전일대비 10bp 이상 하락한 4.56%, 30년물 국채금리는 13bp가량 내린 4.70% 근방에서 거래되면서 9월 말 수준까지 하락. 이에 애플(+0.79%), 마이크로소프트(+1.23%), 아마존(+1.81%), 알파벳A(+1.80%), 메타(+1.86%), 엔비디아(+2.20%) 등 대형 기술주들이 상승했고, 금일 삼성전자(+1.03%), SK하이닉스(+4.19%), LG에너지솔루션(+0.30%), 삼성SDI(+4.70%), SK이노베이션(+2.80%) 등 반도체, 2차전지 대표주들도 동반 상승마감.
현지시간으로 12일 美 9월 소비자물가지수가 발표될 예정. 시장에서는 美 9 월 CPI가 전월대비 0.3%, 전년동월대비 3.6% 상승했을 것으로 예상. 지난밤 발표된 美 9월 생산자물가지수(PPI)는 계절 조정 기준 전월대비 0.5% 상승. 이는 WSJ 집계 시장 예상치인 0.3% 상승을 상회하는 수준이지만, 전월의 0.7% 상승보다 둔화한 수준. 식품과 에너지, 무역을 제외한 9월 근원 PPI는 전월대비 0.2% 상승해 8월과 같은 수준을 기록.
지난밤 공개된 9월 FOMC 의사록에 따르면, 다수의 참석자가 향후회의에서 한 번 더 금리를 인상하는 것이 적절할 것으로 판단했으나, 일부는 추가 인상이 필요하지 않을 것으로 판단하는 등 의견이 엇갈린모습을 나타냄. 한편, 최근 로리 로건 댈러스 연은 총재와 크리스토퍼 월러 Fed 이사 등 연준 주요 인사들의 비둘기파적 발언이 잇따르면서 Fed 금리 인상 전망이 후퇴하는 모습.
수급별로는 기관이 2,625억 순매수, 개인과 외국인은 각각 1,925억, 579억 순매도. 선물시장에서는 외국인이 8,532계약 순매수, 개인과 기관은 각각 1,812계약, 5,542계약 순매도.
원/달러 환율은 전거래일 대비 0.2원 하락한 1,338.5원을 기록.
국고채 3년물 금리는 전일 대비 2.1bp 하락한 3.932%, 10년물은 전일 대비 4.1bp 하락한 4.101%를 기록.
3년 국채선물은 전일대비 7틱 오른 102.90 마감. 외국인이 1,853계약 순매수, 은행은 1,232계약 순매도. 10년 국채선물은 전일대비 34틱 오른 107.32 마감. 금융투자와 은행이 각각 1,389계약, 1,353계약 순매수, 외국인은 1,741계약 순매도.
마감 지수 : KOSPI 2,479.82P(+29.74P/+1.21%)
- 코스닥시장-
10/12 KOSDAQ 835.49(+2.25%) 美 장기 국채금리 하락 지속 및 뉴욕증시 상승(+), 국제유가 하락(+), 기관·개인 순매수(+)
지난밤 뉴욕증시가 美 장기 국채금리 하락세 지속 등에 상승한 가운데, 이날 코스닥지수는 822.27(+5.15P, +0.63%)로 상승 출발. 시가를 저점으로 상승폭을 키웠고, 오전중 835.79(+18.67P, +2.28%)에서 장중 고점을 형성. 오후 들어 830선까지 상승폭을 반납했으나 장 후반으로 갈수록 다시 상승폭을 키웠고, 결국 835.49(+18.37P, +2.25%)에서 거래를 마감.
지난밤 美 장기 국채금리 하락세 지속 등으로 美 주요 기술주들이 상승하면서 투자심리가 개선된 가운데, 기관과 개인 순매수 속 코스닥지수는 이틀 연속 상승. 이스라엘-팔레스타인 하마스 전쟁 영향 제한 속 국제유가 하락 및 Fed 주요 인사들의 비둘기파적 발언 영향 지속 등도 상승 요인으로 작용.
기관이 5거래일 연속 순매수, 개인은 5거래일만에 순매수. 반면, 외국인은 5거래일만에 순매도를 기록.
에코프로비엠(+4.31%), 에코프로(+3.56%), 엘앤에프(+5.20%) 등 2차전지, 에스엠(+3.70%), JYP Ent.(+6.23%) 등 엔터 등 최근 낙폭 과대 업종을 중심으로 매수세가 유입되며 반등, 코스닥지수의 상승을 견인. 코스피 이전 상장 본격화 등에 포스코DX(+12.75%)는 이틀 연속 상승.
수급별로는 개인과 기관이 각각 744억, 242억 순매수, 외국인은 922억 순매도.
마감 지수 : KOSDAQ 835.49P(+18.37P/+2.25%)
특징테마
|
이 슈 요 약
|
테마시황
|
▷삼성SDI-스텔란티스 전기차 배터리 합작 2공장 부지 결정 소식 및 LG에너지솔루션 호실적 모멘텀 지속 등에 2차전지/전기차 테마 상승. 리튬, 폐배터리, 니켈 테마 등도 상승.
▷삼성전자 3분기 잠정실적 호조 영향 지속 속 메모리 반도체 턴어라운드 전망 등에 반도체 대표주(생산), 반도체 장비, 반도체 재료/부품, 시스템반도체 등 반도체 테마 상승.
▷노보 노디스크 당뇨병 치료제 오젬픽 신부전 치료 관련 임상 성공적 소식 등에비만치료제/ 제약업체/ 바이오시밀러 등 제약/바이오 테마 상승. 치매 테마는 한국뇌연구원, 알츠하이머 발병 초기 치매환자 시냅스 손상 원인 규명 소식도 전해지며 상승.
▷美 조지아주, 의료용 대마 일반 약국에서 판매 허용 소식 부각 등에 마리화나(대마) 테마 상승.
▷2023 로보월드 개최 속 주요 국내 기업, 로봇 사업 공개 소식 등에 로봇(산업용/협동로봇 등)/ 지능형로봇/인공지능(AI) 테마 상승.
▷주요 항공사, 3분기 수송실적 호조 등에 항공/저가 항공사(LCC) 테마 상승.
▷밸류에이션 저점 구간 진입 분석 등에 건설 대표주/ 건설 중소형 테마 상승.
▷우려 대비 양호한 업황 및 주가 저평가 분석 등에 건설기계 테마 상승.
▷수소산업, 2026년 그리드패리티 달성 기대감 등에 수소차(연료전지/부품/충전소 등) 테마 상승.
▷틱톡, AR 필터 크리에이터 대상 수익화 모델 국내 출시소식에 증강현실(AR) 테마 상승.
▷신작 출시 기대감 속 실적 가시화 전망 등에 게임/ 모바일게임(스마트폰) 테마 상승.
▷웹툰 '나 혼자만 레벨업' 드라마 제작 기대감 등에 디앤씨미디어가 급등한 가운데, 웹툰 테마 상승.
▷주요 아티스트 컴백 기대감 지속등에 엔터테인먼트, 음원/음반 테마 상승.
▷이 외 증시 강세 지속 속 증권 테마가 상승했고, 리비안, 전선, 영상콘텐츠, 밥솥, 비철금속, 렌터카, 비료, 의료기기, 모바일콘텐츠, 전자파, 희귀금속(희토류 등), 스마트팩토리, 日 수출 규제(국산화 등), 4차산업 수혜주, 스마트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NI(네트워크통합), 아이폰, 재택근무/스마트워크, 맥신(MXene), LED장비, 마이크로 LED, MLCC, NFT(대체불가토큰) 등의 테마가 상승률 상위를 기록하는 등 대부분 테마가 상승.
▷반면, 이스라엘-팔레스타인 무장 정파 하마스 무력 충돌 소식 등에최근 부각됐던 도시가스, LPG, 셰일가스, 방위산업/전쟁 및 테러 테마 하락.
▷생명보험, 손해보험, 통신 등 경기 방어주 관련 테마연일 하락.
▷이 외 자전거, 아스콘, 초전도체, 항공기부품, 조선, 해운 등 일부 테마만 하락.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