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일시황

0927 마감시황

ares0098 2023. 9. 27. 18:36
728x90

 

0123
01

 

- 코스피시장-

 

9/27 KOSPI 2,465.07(+0.09%) 최근 하락에 따른 반발매수세·개인 순매수(+), 외국인·기관 순매도(-), 美 국채금리 상승·美 셧다운 우려 지속(-)

 

지난밤 뉴욕증시가 美 국채금리 상승 및 셧다운 우려 지속 등에 하락, 유럽 주요국 증시는 혼조 마감. 이날 코스피지수는 2,447.99(-14.98P, -0.61%)로 하락 출발. 장 초반 2,445.51(-17.46P, -0.71%)에서 장중 저점을 기록한 후 낙폭을 축소하고 확대하기를 반복하다 오전 한때 2,462선까지 낙폭을 줄이기도 했음. 오후 들어 2,449선까지 낙폭을 키웠으나 시간이 갈수록 낙폭을 줄였고, 장 후반 상 승 전환해 2,469.72(+6.75P, +0.27%)에서 장중 고점을 형성. 장 막판 낙폭을 다소 줄인 끝에 결국 2,465.07(+2.10P, +0.09%)에서 거래를 마감.

 

추석 연휴를 앞두고 한산한 거래 속에 최근 하락에 따른 저가매수세 유입 등으로 코스피지수는 5거래일만에 상승.개인이 8거래일 연속 순매수한 반면, 외국인은 8거래일 연속 순매도, 기관도 이틀 연속 순매도. 美 국채금리 상승, Fed 긴축 장기화 우려 지속, 美 연방정부 셧다운 우려 지속, 글로벌 달러화 강세 등 대외적 요인에 영향을 받아왔으나 최근 4거래일 연속 하락에 따른 되돌림이 나타났음.

 

외신에 따르면, 美 상원은 오는 11월17일까지 美 연방정부에 임시 예산안을 지급하는 단기 지출 법안에 대해 합의하고 가결까지 마쳤음. 이에 상원은 주 후반 임시 예산안을 통과시킨 뒤 하원으로 보낼 계획. 이번 임시예산안은 현재 예산 수준으로 정부에 자금을 지원하고, 우크라이나 지원과 미국 재난 구호에 각각 약 60억 달러를 추가하는 내용 등을 담고 있음. 다만, 임시예산안의 하원 통과는 여전히 불투명한 것으로 전해짐. 하원 공화당 강경파들은 예산안 삭감을 강력하게 지지하고 있는 상황이며, 케빈 매카시 하원의장은 우크라이나 지원내용 때문에 상원의 임시 예산안에 부정적인 입장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전해짐.

 

Fed가 장기간 고금리를 유지할 것이라는 전망이 지배적인 가운데, 지난밤 美 국채금리 상승세가 지속. 美 10년물 국채금리는 장중 한때 4.56%까지 상승해 2007년 이후 최고치를 재차 경신. 30 년물도 4.70%로 2011년 이후 최고치를 기록.

 

현지시간으로 26일 닐 카시카리 미니애폴리스 연은총재는 인플레이션을 극복하려면 기준금리를 유의미하게 인상해야 할 가능성이 40% 라고 밝힘. 아울러, Fed가 1회 더 금리를 0.25%포인트 인상한 후 인플레이션이 적당한 기간 내목표치로 되돌릴 수 있을 만큼 금리를 충분히 오래 지속할 가능성은 60% 가량에 달한다고 밝힘.

 

삼성SDI가 글로벌 완성차 업체 스텔란티스와 합작 2공장 건설을 위해 2조 6,556억원을 투자할 것이라는 소식이 전해진 가운데, 삼성SDI(-1.92%)는 하락 마감. LG에너지솔루션(+0.21%), SK이노베이션(-0.53%), 포스코퓨처엠(-2.31%) 등은 등락이 엇갈림. 삼성전자(-0.29%), SK하이닉스(-0.26%) 등 반도체 대표주는 소폭하락. 반면, 셀트리온(+1.90%), 삼성바이오로직스(+0.15%) 등 제약/바이오 관련주는 상승. NAVER(+0.25%), 카카오(+0.46%) 등 인터넷 대표주, 현대차(+0.21%), 기아(+0.62%) 등 자동차 대표주도 소폭 상승.

 

수급별로는 개인이 903억 순매수, 외국인과 기관은 각각 273억, 791억 순매도. 선물시장에서는 기관이 5,627계약 순매수, 개인과 외국인은 각각 2,274계약, 2,934계약 순매도.

 

원/달러 환율은 전거래일 대비 0.8원 상승한 1,349.3원을 기록.

 

국고채 3년물 금리는 전일 대비 0.7bp 하락한 3.884%, 10년물은 전일 대비 2.4bp 하락한 4.030%를 기록.

 

3년 국채선물은 전일대비 5틱 오른 103.05 마감. 금융투자가 3,182계약 순매수, 외국인과 은행은 각각 1,961계약, 2,361계약 순매도. 10년 국채선물은 전일대비 33틱 오른 107.90 마감. 금융투자가 5,695계약 순매수, 외국인은 4,721계약 순매도.

 

 

 

마감 지수 : KOSPI 2,465.07P(+2.10P/+0.09%)

 

 

- 코스닥시장-

 

9/27 KOSDAQ 841.02(+1.59%) 기관 순매수(+), 외국인 9거래일 연속 순매도(-), 美 국채금리 상승 및 셧다운 우려 지속(-)

 

지난밤 뉴욕증시가 美 국채금리 상승 및 셧다운 우려 지속 등에 하락한 가운데, 이날 코스닥지수는 823.20(-4.62P, -0.56%)으로 하락 출발. 장 초반 821.71(-6.11P, -0.74%)에서 장중 저점을 기록한 후 오전중 상승 전환, 보합권을 중심으로 등락을 보였음. 오후 들어 상승 전환했고, 장 후반으로 갈수록 상승폭을 확대해 장 막판 841.97(+14.15P, +1.71%)에서 장중 고점을 형성한 후 결국 841.02(+13.20P, +1.59%)에서 거래 를 마감.

 

추석 연휴를 앞둔 가운데, 기관 순매수 등에 코스닥지수는 9거래일만에 반등. 기관은 4거래일 연속 순매수하면서 지수 반등을 이끌었음. 반면, 외국인은 9거래일 연속 순매도를 기록. 개인은 3거래일만에 순매도 전환. 美 국채금리 상승, Fed 긴축 장기화 우려 지속, 美 연방정부 셧다운 우려 지속, 글로벌 달러화 강세 등 대외적 요인과 2차전지주 부진 등으로 최근 코스닥지수 하락세가 지속됐으나 금일 최근 하락에 따른 반발매수세가 유입되는 모습.

 

수급별로는 기관이 1,070억 순매수, 개인과 외국인은 각각 949억, 147억 순매도.

 

 

마감 지수 : KOSDAQ 841.02P(+13.20P/+1.59%)

 

 

특징테마
이 슈 요 약
테마시황
▷이재명 대표 구속영장 기각 소식에 정치/인맥(이재명) 테마 상승.
▷두산로보틱스 상장 앞두고 로봇 업종 수혜 기대감 등에 로봇(산업용/협동로봇 등) 테마 상승. 지능형로봇/인공지능(AI) 테마도 상승.
▷사드 보복 후 중국에서 첫 한국 관광 광고 소식 등에 中 소비 관련주 테마 상승.
▷독일 연방교통국, BMW 레벨3 자율주행 허가 소식 등에 자율주행차 테마 상승.
▷美 코로나19 재확산 우려 지속 등에 코로나19(진단/치료제/백신 개발 등) 테마 상승.
▷사우디 정부 대표단, 내달 방한 속 대규모 방산협력 논의 기대감 등에 방위산업/전쟁 및 테러 테마 상승.
▷경기 둔화 우려에도 공급 부족 전망에 따른 국제유가 상승 영향 등에 LPG(액화석유가스) 테마 상승.
▷美 코로나19 재확산 우려 지속 및 파트너사, 긍정적 임상 결과 발표 등에 따른 한올바이오파마 상한가 속 제약/바이오 투심 개선 등에 면역항암제, 비만치료제, 바이오시밀러, mRNA(메신저 리보핵산), 유전자 치료제/분석, 치매, 제약업체 등 제약/바이오 관련주 상승.
▷코스닥 시장에신규 상장한 밀리의서재가 상장 첫날 급등한 가운데, 모바일콘텐츠(스마트폰/태블릿PC) 테마 상승.
▷이 외 제습기, 조림사업, 공기청정기, 애플페이, 그래핀, 캐릭터상품, 사료, 3D 프린터, 황사/미세먼지, 엠폭스(원숭이두창), DMZ 평화공원, 스마트팩토리(스마트공장), 농업, 자전거, 사물인터넷, 윤활유, 2차전지(장비), RFID(NFC 등), 전기자전거 등 테마가 상승률 상위를 기록.
▷반면, EU 탄소국경조정제도 시행을 앞두고 철강업계 부담 가중 우려 지속 등에 일부 철강 주요종목 테마 하락.
▷美 국채금리 상승 부담 지속 속 美 기술주 약세 등에 IT 대표주 하락.
▷車 보험료 인하 가능성 부각 등에 손해보험 테마 하락.
▷국제유가 상승 영향 등에 일부 항공/저가 항공사(LCC) 테마 하락.
▷이 외 밥솥, 선박평형수 처리장치, 핵융합에너지, 음원/음반, 2차전지(생산), 종합상사, 리비안(RIVIAN), 해운, 남-북-러 가스관사업, 제대혈, 편의점, 골판지 제조 테마 등이 하락률 상위를 기록.
728x90

'금일시황' 카테고리의 다른 글

1004 마감시황  (1) 2023.10.04
1004 이슈요약  (1) 2023.10.04
0927 이슈요약  (0) 2023.09.27
0926 마감시황  (0) 2023.09.26
0926 이슈요약  (0) 2023.09.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