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일시황

0829 마감시황

ares0098 2023. 8. 29. 19:11
728x90

 

0123
01

- 코스피시장-

8/29 KOSPI 2,552.16(+0.34%) 기관·개인 순매수(+), 파월 의장 발언 소화 속 美 증시 상승(+), 美中 갈등 완화 기대감(+)

지난밤 뉴욕증시가 파월 Fed 의장 잭슨홀 연설 소화 속 기술주 강세 등에 상승. 영국이 휴장한 가운데, 유럽 주요국 증시는 상승. 이날 코스피지수는 2,550.76(+7.35P, +0.29%)으로 상승 출발. 장 초반 2,545.27(+1.86P, +0.07%)에서 장중 저점을 기록한 후 상승폭을 키워 2,556.98(+13.57P, +0.53%)에서 장중 고점을 형성. 이후 상승폭을 다소 줄였고, 장중 내내 2,552선 부근에서 등락을 보인 끝에 결국 2,552.16(+8.75P, +0.34%)에서 거래를 마감.

기관과 개인의 순매수 속 코스피지수는 이틀 연속 상승. 기관은 이틀 연속 순매수했고, 개인은 500억 가까이 순매수. 반면, 외국인이 3거래일 연속 순매도하면서 코스피지수의 상승은 제한됐음. 이번주 美 물가·고용지표 등 주요 경제지표 발표를 앞둔 경계감도 지수의 상단을 제한.

파월 의장 잭슨홀 연설이 예상보다 매파적이지 않으면서 잭슨홀 불확실성 해소 이슈가 금일도 지속되는 모습. 지난밤 美 증시가 주요 기술주 강세 등에 상승하면서 투자심리도 다소 개선.

中 당국의 주식거래 인지세인하 발표 이후 중국 증권거래소가 '창구 규제'를 통해 대형 뮤추얼 펀드사에 자산 매각 제한 지침을 내렸다는 소식이 전해짐. 이에 더해 美中 상무장관 회담에 따른 美中 갈등 완화 기대감 등으로 중화권 증시가 상승한 점도 호재로 작용.

수급별로는 개인과 기관이 각각 474억, 655억 순매수, 외국인은 1,609억 순매도. 선물시장에서는 외국인이 3,512계약 순매수, 개인과 기관은 각각 745계약, 2,538계약 순매도.

원/달러 환율은 전거래일 대비 1.5원 하락한 1,321.9원을 기록.

국고채 3년물 금리는 전일 대비 1.9bp 하락한 3.740%, 10년물은 전일 대비 2.8bp 하락한 3.844%를 기록.

3년 국채선물은 전일대비 5틱 오른 103.50 마감. 금융투자와 외국인이 각각 4,091계약, 3,047계약 순매수, 은행은 7,052 계약 순매도. 10년 국채선물은 전일대비 23틱 오른 109.43 마감. 은행이 1,777계약 순매수, 금융투자, 투신, 외국인은 각각 489계약, 430계약, 312계약 순매도.

마감 지수 : KOSPI 2,552.16P(+8.75P/+0.34%)

- 코스닥시장-

8/29 KOSDAQ 916.24(+0.75%) 외국인·기관 순매수(+), 파월 의장 발언 소화 속 美 증시 상승(+), 美中 갈등 완화 기대감(+)

지난밤 뉴욕증시가 파월 Fed 의장 잭슨홀 연설 소화 속 기술주 강세 등에 상승한 가운데, 이날 코스닥지수는 911.94(+2.56P, +0.28%)로 상승 출발. 장 초반 907.82(-1.56P, -0.17%)에서 장중 저점을 기록했으나 시간이 갈수록 상승폭을 확대. 오후 들어 918.39(+9.01P, +0.99%)에서 장중 고점을 형성한 후 장 후반 상승폭을 다소 줄인 끝에 916.24(+6.86P, +0.75%)에서 거래를 마감.

외국인과 기관의동반 순매수 등에 코스닥지수는 이틀 연속 상승. 외국인은 4거래일 연속 순매수, 기관도 이틀째 순매수를 기록. 반면, 개인은 이틀 연속 순매도. 파월 의장 연설 소화 속 美 기술주 강세 등으로 지난밤 뉴욕증시가 상승했고, 美中 갈등 우려 완화 등으로 중화권 증시가 상승하면서투자심리가 다소 개선.

수급별로는 외국인과 기관이 각각 1,312억, 293억 순매수, 개인은 1,529억 순매도.

마감 지수 : KOSDAQ 916.24P(+6.86P/+0.75%)

특징테마
이 슈 요 약
테마시황
▷정부, 12대 국가전략기술에 내년 5조원 투자 소식 등에 반도체, OLED, 자율주행차, 우주항공산업, 수소차, 보안주(정보), 제약·바이오, 통신장비 등 테마 상승.
▷오픈 AI, 기업용 챗봇 ‘챗GPT 엔터프라이즈’ 출시 및 삼성·현대, 마음AI 방문 소식, 정부 AI 산업 투자 기대감 등에 AI 챗봇(챗GPT 등)/ 지능형로봇/인공지능(AI) 테마 상승.
▷교육부, '인공지능(AI) 디지털교과서 개발 지침' 발표에 교육/온라인 교육 테마 상승.
▷尹 대통령, 저출산 정책 발표 등에 출산장려정책/ 엔젤산업 테마 상승.
▷내년 국방예산 4.5% 증액 소식 등에 방위산업/전쟁 및테러 테마 상승.
▷국내 연구진, 삼각격자 구조 자성 물질서 세계 최초로 양자상태 발견 소식에 양자암호 테마 상승.
▷中 정부, 초전도체·그래핀 등 첨단 재료 산업화 추진 소식에 초전도체/ 그래핀 테마 상승.
▷행안부, 전국 시도에 CCTV·정신응급합동대응센터 확대설치 요청 소식 등에 CCTV&DVR/ 보안주(물리) 테마 상승.
▷국제유가 상승, 신조선가 상승세 지속 등에 조선, 조선기자재테마 상승.
▷日 후쿠시마 오염수 방류 개시 속 반사이익 기대감 지속 속 수산 테마 상승.
▷美 대형 기술주 상승 등에 인터넷 대표주 상승.
▷두산로보틱스 상장 일정 본격화 및 국내 대기업, 로봇산업 기대감 지속 등에 로봇(산업용/협동로봇 등) 테마 상승.
▷이 외 증시 상승 속 증권 테마가 상승했고, 핀테크, LED장비, 바이오인식(생체인식), 음성인식, 3D 프린터, 인터넷은행, 일자리(취업), STO(증권형 토큰 발행), 모바일솔루션, U-Healthcare(원격진료), 의료기기, 백신여권, 토스(toss), 카메라모듈/부품, 5G, SNS, 탄소나노튜브(CNT), 웹툰, 삼성페이, 치아 치료(임플란트 등), 엔터테인먼트 등의 테마가 상승률 상위를 기록하는 등 대부분 테마가 상승.
▷반면, 中 유커 복귀 기대감 등에 최근 부각됐던 카지노, 여행, 면세점 등 일부 중국 소비 관련 테마 하락.
▷국제유가 상승세 지속에도정유, LPG 테마 하락.
▷이 외 육계, 화폐/금융자동화기기(디지털화폐), 원자력발전, 음식료업종, 요소수, 백화점, 비철금속, 2차전지(생산), 종합상사, 주류업 등 일부 테마만 하락.

 

728x90

'금일시황' 카테고리의 다른 글

0830 이슈요약  (0) 2023.08.30
0829 장 마감 후 공시  (0) 2023.08.29
0829 이슈요약  (0) 2023.08.29
0828 마감시황  (0) 2023.08.28
0828 이슈요약  (1) 2023.08.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