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코스피시장-
8/28 KOSPI 2,543.41(+0.96%) 파월 의장 잭슨홀 연설 소화 속 美 증시 상승(+), 기관 순매수(+), 中 인지세 인하 등 부양책(+)
지난 주말 뉴욕증시가 파월 Fed 의장 잭슨홀 연설 소화 속 상승, 유럽 주요국 증시도 상승 마감. 이날 코스피지수는 2,534.42(+15.28P, +0.61%)으로 상승 출발. 장 초반 2,525.64(+6.50P, +0.26%)에서 장중 저점을 기록한 후 상승폭을 키웠고, 오전중 2,540선 부근에서 움직였음. 오후 들어 2,534선까지 상승폭을 반납하기도 했으나 장 후반 재차 상승했고, 결국 장중 고점인 2,543.41(+24.27P, +0.96%)에서 거래를 마감.
지난 주말 파월 Fed 의장 잭슨홀 연설 소화 속 뉴욕증시가 상승한 가운데, 기관 순매수 등에 코스피지수는 상승 마감. 中 재정부 주식거래 인지세 인하 등의 부양 조치 등에 중화권 증시가 상승했고, 일본도 상승하는 등 아시아 증시도 전반적으로 상승하면서 양호한 흐름을 보였음. 기관이 3,000억 가까이 순매수하면서 지수 상승을 이끌었으나 개인과 외국인의 순매도 출회 등에 코스피지수 상단은 제한, 외국인은 이틀 연속 순매도를 기록.
지난 주말 파월 Fed 의장은 잭슨홀 연설에서 매파적 발언을 이어갔음. 다만, 파월 의장 발언이 시장 예상대로 기존 입장을 되풀이하면서 불확실성이 해소되는 모습. 파월 의장은 인플레이션이 여전히 높은 수준이라면서 필요하다면 금리를 추가로 올릴 준비가 돼 있다고 밝힘. 아울러 인플레이션이 목표치를 향해 내려오고 있다는 자신감을 얻을 때까지 제약적인 수준에서 금리를 유지할 것이라고 언급.
지난 주말 주요 연준 위원들은 매파적 발언을 내놓았음. 로레타 메스터 클리블랜드 연은 총재는 " 아마도 해야 할 일이 남아 있을 것"이라고 언급했고, 오스탄 굴스비 시카고 연은 총재는 "인플레이션이 몇 달 동안 개선됐지만 아직 갈 길이멀다"며 "2% 인플레이션까지는 인내심을 가져야 할 것"이라고 발언.
수급별로는 기관이 2,991억 순매수, 개인과 외국인은 각각 2,711억, 134억 순매도. 선물시장에서도 기관이 2,844계약 순매수, 개인과외국인은 각각 1,412계약, 1,166계약 순매도.
원/달러 환율은 전거래일 대비 1.8원 하락한 1,323.4원을 기록.
국고채 3년물 금리는 전일 대비 3.0bp 하락한 3.759%, 10년물은 전일 대비 6.3bp 하락한 3.872%를 기록.
3년 국채선물은 전일대비 13틱 오른 103.45 마감. 은행과 외국인이 각각 2,610계약, 1,325계약 순매수, 금융투자는 3,385계약 순매도. 10년 국채선물은 전일대비 65틱 오른 109.20 마감. 외국인과 보험이 각각 8,072계약, 1,656계약 순매수, 금융투자는 9,368계약 순매도.
마감 지수 : KOSPI 2,543.41P(+24.27P/+0.96%)
- 코스닥시장-
8/28 KOSDAQ 909.38(+1.11%) 파월 의장 잭슨홀 연설 소화 속 美 증시 상승(+), 외국인·기관 순매수(+), 中 인지세 인하 등 부양책(+)
지난 주말 뉴욕증시가 파월 Fed 의장 잭슨홀 연설 소화 속 상승한 가운데, 이날 코스닥지수는 907.53(+8.15P, +0.91%)으로 상승 출발. 장 초반 상승폭을 줄였고, 901.84(+2.46P, +0.27%)에서 장중 저점을 기록. 이후 시간이 갈수록 상승폭을 재차 키웠고, 오후 들어 상승폭을 다소 줄이기도 했으나 장 막판 재차 상승해 909.48(+10.10P, +1.12%)에서 장중 고점을 형성한 후 909.38(+10.00P, +1.11%) 에서 거래를 마감.
외국인 순매수 등에 코스닥지수는 상승 마감. 파월 의장 발언이 시장의 예상 수준이었다는 안도감과 중국의 인지세 인하 등 부양조치 등으로 중화권 증시가 상승하면서 투자심리가 개선. 외국인은 1,000억 넘게 순매수 했고, 사흘 연속 순매수. 기관도 소폭이나마 순매수를 기록. 반면, 개인은 1,000억 넘게 순매도.
코스나인(+8.53%), 연우(+8.27%), 클리오(+4.66%), 스킨앤스킨(+4.24%) 등 화장품, 노랑풍선(+5.69%) 등 여행, JYP Ent.(+2.98%), 에스엠(+5.29%), 와이지엔터테인먼트(+2.31%) 등 엔터 등의 중국 소비 관련주 중국 내 日 제품 불매 운동 확산 소식 등에 상승. 서전기전(+29.97%), 오르비텍(+28.23%), 에너토크(+10.99%), 보성파워텍(+5.80%) 등 원자력발전 테마도 현대건설, 美 홀텍사와 SMR 건설 추진 소식에 상승.
수급별로는 외국인과 기관은 각각 1,012억, 51억 순매수, 개인은 1,013억 순매도.
마감 지수 : KOSDAQ 909.38P(+10.00P/+1.11%)
특징테마
|
이 슈 요 약
|
테마시황
|
▷현대건설, 美 홀텍사와 SMR 건설 추진 소식에 원자력발전 테마 상승.
▷조선 빅3, 하반기 실적 기대감 등에 조선/ 조솨선기자재 테마 상승. 피팅(관이음쇠)/밸브 테마도 상승.
▷尹 대통령, 이동관 방통위원장 임명 소식 속 민영화 재부각 등에 미디어(방송/신문) 테마 상승.
▷정제마진상승세 지속 속 하반기 실적 반등 기대감 등에 정유 테마 상승.
▷중국 내 日 제품 불매 운동 확산에 따른 반사 수혜 기대감 등에 화장품, 면세점, 카지노, 항공, 여행, 패션/의류 등 中 소비 관련 테마 상승. 일부 日제품 불매운동(수혜) 테마도 상승.
▷풍력에너지시장 성장세 지속 전망 등에 풍력에너지 테마 상승.
▷두산로보틱스 상장 일정 본격화 및 국내 4대 그룹, 로봇산업 기대감 지속 등에로봇(산업용/협동로봇 등)/ 지능형로봇/인공지능(AI) 테마 상승.
▷해외 현지 아이돌 진출에 따른 밸류 리레이팅 전망 등에 엔터테인먼트 테마 상승. 음원/음반 테마도 상승.
▷테슬라 등 美 전기차 업체 주가 상승 속 2차전지, 전기차 테마 상승. 리튬, 니켈, 폐배터리 테마 등도 상승.
▷향후 에너지 기반 미용 의료기기 산업 호조 기대감 등에 일부 미용기기/ 의료기기 테마 상승.
▷이 외증시 상승 속 증권 테마가 상승했고, 종합상사, 선박평형수 처리장치, 양자암호, 항공기부품, 건설기계, CCTV & DVR, 스마트그리드(지능형전력망), 건설 대표주, 페인트, 전력설비, 재난/안전(지진 등), 생명보험, 비철금속, 방위산업/전쟁 및 테러, 스마트팩토리(스마트공장), 셰일가스 등의 테마가 상승률 상위를 기록하는 등 대부분 테마가 상승.
▷반면, 日 후쿠시마 오염수 방류 개시 속 반사이익 기대감 등에최근 부각됐던 육계, 수산 테마 등 하락.
▷오는 31일 코로나19 감염병 등급 하향을 앞두고, 코로나19(치료제/백신 개발 등), 코로나19(진단키트) 등 코로나19 관련 테마 하락.
▷면역항암제, 유전자 치료제/분석, 치매, 탈모 치료, 바이오시밀러, mRNA, 줄기세포, 제약업체 등 제약/바이오 테마 하락.
▷이 외 구제역/광우병 수혜, 3D 낸드 등 일부 테마만 하락.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