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코스피시장-
10/14 KOSPI 2,212.55(+2.30%) 美 증시 급등(+), 英 감세안 철회 기대감(+), 외국인·기관 동반 순매수(+), 美 CPI 예상 상회(-)
지난밤 뉴욕증시가 CPI 충격 속 저가매수세 유입 및 英 감세안 철회 기대감 등으로 급등, 유럽 주요국 증시도 상승 마감. 이날 코스피지수는 2,200.66(+37.79P, +1.75%)으로 강세 출발. 장 초반 2,193.63(+30.76P, +1.42%)에서 장중 저점을 기록한 후 상승폭을 확대. 오전중 급등세를 보이며 2,220.54(+57.67P, +2.67%)에서 장중 고점을 형성. 오후 들어 상승폭을 다소 줄이기는 했으나 결국 2,212.55(+49.68P, +2.30%)에서 급등 마감.
美 CPI 충격에도 불구하고, 저가매수세 유입 및 英 감세안 철회 기대감 등에 뉴욕증시가 급등한 영향으로 코스피지수도 2% 넘게 급등 마감. 외국인과 기관이 동반 순매수하면서 증시 상승을 이끌었음. 외국인은 10거래일 연속 순매수, 기관은 8거래일만에 순매수 전환.
지난밤 발표된 美 9월 소비자물가지수(CPI)는 전년동월대비 8.2%, 전월대비 0.4% 상승, 각각 시장예상치 8.1%, 0.3% 상승을 웃돌았음. 지난 6월 9.1%, 7월 8.5%, 8월 8.3%, 9월 8.2%로 인플레이션이 소폭 하향세를 보이고 있지만, 모두 8%를 웃도는수준을 유지하며 인플레이션 장기화 우려를 키웠음.
근원 CPI는 1982년8월 이후 40년 만에 최고치를 경신. 변동성이 큰 음식과 에너지를 제외한 근원 CPI는 전년동월대비 6.6%, 전월대비로는 0.6% 상승. 각각 시장예상치 6.5%, 0.3%를 웃돌았음. 전월수치는 각각 6.3%, 0.6% 를 기록한 바 있음. 이에 오는 11월 회의에서 기준금리를 1.00%p 인상할 가능성도 제기됐음. 지난밤 CME 페드워치에 따르면, 연방기금(FF) 금리 선물 시장에서 연준이 11월에 금리를 0.75%p 인상할 가능성은 96.6%, 1.00%p 인상할 가능성은 3.4%를 기록.
외신에 따르면, 리즈트러스 영국 총리가 지난달 발표한 430억 파운드 규모 감세안에 대해 전면 수정을 준비중이라는 소식이 전해짐. 430억 파운드 가운데, 최대 240억 파운드 규모 계획이 폐기될 것이라고 예상. 쿼지 콰텡 재무장관이 IMF 총회를 마치고 귀국한 후 본격적으로 정책 전환에 대한 논의가 시작될 것이라는 전망이 제기됨.
금일 기획재정부가 발간한 '최근 경제동향(그린북) 10월호'에 따르면, "대외요인 등으로 높은 수준의물가가 지속되고 경제심리도 일부 영향을 받는 가운데, 수출 회복세 약화 등 경기 둔화 우려가 지속된다"고 평가. 다만, 고용과 대면서비스업 회복으로 내수는 완만한 개선세를 이어가고 있다는 판단은 유지.
원/달러 환율은 전거래일 대비 2.8원 하락한 1,428.5원을기록. 美 CPI 충격 소화 속 달러화 약세 및 위험자산 선호심리 등에 국내증시 급등 등이 하락 요인으로 작용. 中 물가지표 예상치 하회 속 위안화 강세 등도 원/달러 환율에 하방 압력으로 작용.
라이온하트스튜디오 상장 철회 소식 등에 카카오(+8.67%), 카카오페이(+4.94%), 카카오뱅크(+5.74%) 등 카카오 그룹주들이 동반 상승.
수급별로는 외국인과 기관은 각각 2,646억, 3,646억 순매수, 개인은 6,233억 순매도. 선물시장에서도 외국인과 기관이 각각 4,016계약, 3,052계약 순매수, 개인은 6,653계약 순매도.
국고채 3년물 금리는 전일 대비 0.4bp 상승한 4.207%, 10년물은 전일 대비 5.8bp 하락한 4.181%를 기록.
3년 국채선물은 전일대비 5틱 오른 102.00 마감. 외국인이 2,531계약 순매수, 투신과 금융투자는 각각 1,283계약, 1,035계약 순매도. 10년 국채선물은 전일대비 48틱 오른 106.46 마감. 외국인이 3,798계약 순매수, 금융투자는 3,721계약 순매도.
코스피 시총상위종목들은 대부분 상승. 카카오(+8.67%), 셀트리온(+5.45%), KB금융(+4.59%), NAVER(+4.42%), SK이노베이션(+3.63%), POSCO홀딩스(+3.58%), LG전자(+3.33%), 삼성물산(+3.27%), SK(+3.26%), 신한지주(+2.29%) 등이 상승. 반면, LG화학(-0.35%), 현대모비스(-0.26%), 삼성바이오로직스(-0.12%) 등은 하락.
업종별로는 모든 업종이 상승. 의료정밀(+6.95%), 건설(+4.79%), 서비스(+4.12%), 기계(+3.93%), 섬유/의복(+2.93%), 금융(+2.88%), 철강/금속(+2.87%), 운수창고(+2.70%), 유통(+2.67%), 증권(+2.42%), 음식료(+2.40%), 통신(+2.40%) 등이 상승률 상위를 기록.
마감 지수 : KOSPI 2,212.55P(+49.68P/+2.30%)
특징테마
|
이 슈 요 약
|
테마시황
|
▷네옴시티 수주 기대감 등에 네옴시티 관련주 상승.
▷김규철 게임물관리위원장, P2E 게임 허용 방안 모색 언급 소식 등에 게임/모바일게임(스마트폰) 및 NFT(대체불가토큰) 테마 상승.
▷美 주요 기술주 상승 등에 반도체 관련주, 인터넷/IT 대표주 등 주요 기술주 관련 테마 상승.
▷가상화폐 가격 반등 등에 가상화폐(비트코인 등) 테마 상승.
▷4분기 음반판매량 및 공연모객수 증가 전망 등에 음원/음반/엔터테인먼트 테마 상승.
▷넷플릭스, 광고 요금제 내달 도입 소식 등에 광고 테마 상승.
▷G7 정상, 우크라에 지속적인 재정 지원 약속 소식에 우크라이나 재건 관련주 상승.
▷北, 동해상으로 탄도미사일 발사 소식 등에 방위산업/전쟁 및 테러 테마 상승.
▷美, 中 화웨이·ZTE 통신장비 미국 내 판매 전면 금지 계획 소식 등에 5G/통신장비 테마 상승.
▷해상풍력 외형 확대 수혜 기대감 등에 풍력에너지 테마 상승.
▷국제유가 반등 속 정유/LPG(액화석유가스)/석유화학 테마 상승.
▷非중국 시장 지역서 한국 화장품 산업성장 분석 등에 화장품 테마 상승.
▷2차전지 투자 사이클 본격화에 따른 장비 업체 수혜 전망에 2차전지(장비) 테마 상승.
▷현대차 그룹 19일 약 5조원 규모 협력사 지원 방안 발표 예정 소식에 자동차부품 테마 상승.
▷이 외 대부분의 테마가 상승한 가운데, 면역항암제, 원숭이두창, 야놀자 관련주, 코로나19 관련주, 증강현실(AR), 줄기세포, 모바일솔루션(스마트폰), 유전자 치료제/분석, 가상현실(VR), 전선, 크래프톤 관련주, 메타버스, 웹툰, 바이오시밀러, 탈모 치료 관련주, 키오스크, 조림사업, 모바일콘텐츠(스마트폰/태블릿PC), 두나무 관련주, 건설 중소형 테마 등이 상승률 상위를 기록.
▷반면, 일부 기업인수목적회사(SPAC) 테마가 하락했고, 배당매력 감소등에 일부 리츠(REITs) 테마도 부진한 모습을 보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