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코스피시장-
2/10 KOSPI 2,469.73(-0.48%) 美 긴축 장기화 우려 및 CPI 경계감(-), 기관 순매도(-), 외국인/개인 순매수(+)
밤사이 뉴욕증시가 Fed 긴축 장기화 우려, 알파벳 등 기술주 부진 등에 하락했고, 유럽 주요국 증시는 독일 물가 지표 호조 등에 일제히상승. 이날 코스피지수는 2,470.65(-10.87P, -0.44%)로 하락 출발. 장초반 낙폭을 키우는 모습을 보이기도 했지만, 이내 낙폭을 만회하며 2,473.80(-7.72P, -0.31%)에서 고점을 형성. 재차 낙폭을 키워 오전 장중 2,454.74(-26.78P, -1.08%)에서 저점을 형성한 지수는 일부 낙폭을 축소해 2,470선 부근에서 등락을 보임. 오후 들어 2,460선 부근까지 낙폭을 키우기도 했지만, 낙폭을 축소했고 결국 2,469.73(-11.79P, -0.48%)으로 장을 마감.
Fed 긴축 장기화 우려가 이어지고 있는 가운데, 다음주 예정된 美 소비자물가지수(CPI) 경계감 등에 코스피지수는이틀째 하락. 美/中 갈등 고조 우려 등도 부담으로 작용. 기관이 6,200억원 넘게 순매도하는 등 이틀 연속 매도세를 이어가며 지수 하락을 이끌었음. 기관 매도세가 제조업, 전기전자, 서비스업에 집중된 가운데, 시총 상위 반도체, 2차전지, 인터넷 관련주들의 약세가 두드러짐.
다만, 외국인과 개인이 동반 순매수한 가운데, 은행주가 주주환원정책 기대감 등에 상승했고 최근 부진한 모습을 보였던 자동차 관련주가 반등하며 낙폭은 제한된 모습.
최근 파월 Fed 의장이 디스인플레이션을 재차 언급하면서도 추가 금리 인상 가능성을 시사한 가운데, Fed 고위 인사들의 매파적 발언이 이어지며 긴축 장기화 우려가 이어지고 있음. 밤사이 토마스 바킨 리치먼드 연방준비은행 총재는 "인플레이션이 억제되고 있다는 확신이 들 때까지 아직 갈 길이 멀다"라고 언급했으며, 지난 8일(현지시간) 크리스토퍼 월러 Fed 이사는 인플레이션과의싸움이 아직 끝나지 않았고 예상보다 더 높은 금리로 이어질 수 있다고 경고한 바 있음. CME 페드워치에 따르면, Fed가 오는 7월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에서 기준금리를 5.75~6.00%까지 올릴 가능성을 반영하기 시작한 것으로 전해짐.
美 긴축 장기화 우려 속 다음주 발표되는 CPI 경계감이 커지는 모습. 시장에서는 美 1월 CPI가 전월대비 0.5% 전년동월대비 6.2% 상승하고, 근원 CPI는 전월대비 0.4% 전년동월대비 5.5% 상승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음.
이날 원/달러 환율은 전거래일 대비 4.8원 상승한 1,265.2원을 기록.
이날 0시기준 국내 신규 코로나19 확진자는 1만3,504명을 기록. 위중증 환자는 287명, 사망자는 17명을 기록. 한편, 정부는 이날 오는 11일부터 중국발 입국자에 대한 단기비자 발급을 재개하기로 했음. 중국발 단기비자 발급이 재개된 것은 지난달 2일 중단 후 40일만임.
수급별로는 기관이 6,269억 순매도, 외국인과 개인은 각각 489억, 5,551억 순매수. 선물시장에서는 개인이 2,609계약 순매도, 외국인과 기관은 각각 777계약, 2,046계약 순매수.
국고채 3년물 금리는 전거래일 대비 0.3bp 하락한 3.398%, 10년물은 전거래일 대비 0.3bp 상승한 3.365%를 기록.
3년 국채선물은 전거래일 대비 6틱 오른 104.50으로 마감. 금융투자가 6,490계약 순매수, 은행, 투신은 5,210계약, 1,108계약 순매도. 10년 국채선물은 전거래일 대비 6틱 오른 113.51로 마감. 금융투자가 1,765계약 순매수, 외 국인은 2,145계약 순매도.
코스피 시총상위종목들은 하락이 우세. 포스코케미칼(-5.57%), 카카오(-4.65%), POSCO홀딩스(-1.96%), 셀트리온(-1.93%), LG에너지솔루션(-1.45%), LG화학(-1.03%), SK하이닉스(-0.95%), SK이노베이션(-0.89%), 삼성바이오로직스(-0.74%), 삼성SDI(-0.41%), 삼성전자(-0.32%) 등이 하락. 반면, KB금융(+2.77%), 신한지주(+2.75%), LG전자(+2.41%), 기아(+0.98%), 현대모비스(+0.73%), 현대차(+0.46%) 등은 상승. NAVER, 삼성물산은 보합.
업종별로도 하락이 우세. 비금속광물(-4.10%), 서비스업(-1.73%), 의약품(-1.52%), 기계(-1.32%), 의료정밀(-1.22%), 철강금속(-0.71%), 전기전자(-0.61%), 화학(-0.61%), 제조업(-0.60%), 통신업(-0.31%), 종이목재(-0.22%) 업종 등이 하락. 반면, 섬유의복(+1.67%), 보험(+1.13%), 운수장비(+0.96%), 음식료업(+0.91%), 건설업(+0.85%), 금융업(+0.73%) 등은 상승.
마감 지수 : KOSPI 2,469.73P(-11.79P/-0.48%)
- 코스닥시장-
2/10 KOSDAQ 772.44(-1.55%) 美 긴축 장기화 우려 및 CPI 경계감(-), 외국인/기관 순매도(-)
밤사이 뉴욕증시가 Fed 긴축 장기화 우려, 알파벳 등 기술주 부진 지속 등에 하락한 가운데, 이날 코스닥지수는 783.07(-1.51P, -0.19%)로 하락 출발. 장초반 784.52(-0.06P, -0.01%)에서 장중 고점을 형성한 지수는 점차 낙폭을 확대해 오전 중 772선으로 밀려나기도 함. 이후 일부 낙폭을 축소해775선 위로 올라서기도 했지만, 오후 장 재차 낙폭을 확대했고 장 후반 771.62(-12.96P, -1.65%)에서 장중 저점을 형성한 뒤 772.44(-12.14P, -1.55%)로 장을 마감.
美 긴축 장기화 우려, 美 CPI 경계감 등이 부담으로 작용한 가운데, 외국인과 기관이 동반 순매도하며 지수 하락을 이끌었음. 외국인은 4거래일만에 순매도, 기관은 이틀째 순매도. 美 기술주 부진 속 반도체, 2차전지, 게임, 메타버스 등 기술/성장 관련주들이 약세를 보였으며, 특히 최근 강세를 이어오던 AI 챗봇(챗GPT 등), 지능형로봇/인공지능(AI), 애플페이, 전자결제 테마가 차익 실현매물 등에 큰 폭의 하락세를 기록. 반면, 하이브, 에스엠엔터테인먼트 지분 인수 소식 등에 에스엠, SM C&C, SM Life Design 등 에스엠엔터테인먼트 그룹주들이 급등.
수급별로는 외국인과 기관이 각각 1,070억, 2,226억 순매도, 개인은 3,470억 순매수.
코스닥시총상위종목들은 하락 종목이 우세. 케어젠(-4.57%), 알테오젠(-3.80%), CJ ENM(-3.65%), HLB(-3.10%), 펄어비스(-3.01%), 솔브레인(-2.86%), 카카오게임즈(-2.67%), 셀트리온제약(-2.66%), 천보(-2.53%), 셀트리온헬스케어(-2.50%), 스튜디오드래곤(-2.40%), 에코프로(-1.62%), 동진쎄미켐(-0.95%) 등이 하락. 반면, 에스엠(+16.45%)이 하이브의 지분 인수 소식에 급등했고, 에코프로비엠(+1.53%), JYP Ent.(+0.96%), 엘앤에프(+0.44%), 오스템임플란트(+0.27%) 등이 상승.
업종별로는 오락/문화(+2.01%), 운송(+0.33%) 업종만 상승했을 뿐, 여타 업종은 일제히 하락. 컴퓨터서비스(-3.43%), 디지털컨텐츠(-3.26%), 통신서비스(-3.17%), IT S/W & SVC(-2.93%), 소프트웨어(-2.70%), 출판/매체복제(-2.46%), 제약(-2.16%), 음식료/담배(-2.05%), 유통(-2.00%), 통신장비(-1.99%), 비금속(-1.99%), 기타서비스(-1.93%), 반도체(-1.76%) 업종의약세가 두드러짐.
마감 지수 : KOSDAQ 772.44P(-12.14P/-1.55%)
특징테마
|
이 슈 요 약
|
테마시황
|
▷중국발 단기비자 발급 재개 소식 등에 화장품/ 면세점/ 카지노/ 여행 테마 상승.
▷주주환원정책 기대감 지속 등에 은행 테마 상승.
▷국내 조선 업계 수익성 개선 기대감 속 조선 테마 상승.
▷메디톡스 보툴리눔 균주 도용 관련 민사소송 1심 판결, 대웅제약에 일부 승소 등에 메디톡스가 상한가를 기록하는 등 일부 보톡스(보툴리눔톡신) 테마가 상승.
▷美 FCC 아마존 위성 인터넷 서비스 카이퍼 프로젝트 승인 소식등에 우주항공산업 테마 상승.
▷이 외에 건설 대표주, 생명보험, 손해보험, 수산, 정유, 공작기계, LNG, 자원개발, 셰일가스 등의 테마가 상승률 상위를 기록.
▷반면, 美 SEC, 가상자산 거래소 크라켄 제재 소식 등에 가상화폐(비트코인 등) 테마 하락.
▷애플페이 국내 서비스 기대감 등에 최근 시장에서 부각됐던 애플페이, 전자결제(전자화폐) 테마 하락.
▷인공지능(AI) 챗봇 바드 정확성 우려 속 전일 7%대 하락세를 기록한 알파벳(-4.39%)이 지난밤에도 4% 대 하락 마감한 가운데, AI 챗봇(챗GPT 등), 지능형로봇/인공지능(AI) 테마 하락.
▷Fed 긴축 장기화 우려 및 알파벳 등 기술주 부진 등에 지난밤 뉴욕증시가 하락했고, 투자심리 위축 등으로 대표적 성장 관련주로 부각되는 게임/모바일 게임, 반도체, 메타버스, 인터넷 대표주 등의 테마가 동반 하락.
▷이 외에 NI(네트워크통합), 일자리(취업), 크래프톤 관련주, U-Healthcare(원격진료), 쿠팡 관련주, 탈모 치료 관련주, 창투사, 재택근무/스마트워크, 마이데이터, LED장비, 면역항암제, 교육/온라인 교육, 희귀금속(희토류 등), 갤럭시부품주 등이 하락률 상위를 기록하는 등 증시 하락 속 대부분의 테마가 하락.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