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코스피시장-
1/4 KOSPI 2,255.98(+1.68%) 외국인 순매수(+), 삼성전자·SK하이닉스 등 반도체株 상승(+)
지난밤 뉴욕증시가 애플·테슬라 등 대형 기술주 약세 및 경기 침체 우려 지속 등에 하락, 유럽 주요국 증시는 상승. 이날 코스피지수는 2,205.98(-12.70P, -0.57%)로 하락 출발. 장 초반 2,198.82(-19.86P, -0.90%)에서 장중 저점을 기록한 후 오전중 상승 전환. 시간이 갈수록 상승폭을 키웠고, 장후반 2,260.06(+41.38P, +1.87%)에서 장중 고점을 형성한 후 결국 2,255.98(+37.30P, +1.68%)에서 거래를 마감.
美 증시 하락 영향속 장 초반 부진한 흐름을 보이기도 했으나 외국인 순매수 등에 힘입어 코스피지수는 5거래일만에 반등. 외국인은 사흘째 순매수를 기록. 투신과 연기금 등도 순매수를 기록한 반면, 금융투자는 5거래일 연속 순매도.
삼성전자(+4.33%), SK하이닉스(+7.14%) 등 시총 상위 반도체 대표주가 큰 폭으로 상승하면서 지수 상승을 이끌었음. 씨티증권이 보고서를 통해 삼성전자에 대해 공급정책 수정 가능성과 업황 개선가능성 등을 언급했고, 중국이 대규모 반도체 투자 지원을 잠정 연기할 수 있다는 소식 등으로 투자심리가 살아나는 모습. 아울러, 반도체 투자 세액공제 확대 추진 모멘텀 지속 등도 반도체 관련주에 긍정적으로 작용.
다만, 지난밤 애플·테슬라 등 대형 기술주 약세 등에뉴욕증시가 하락했고, FOMC 의사록 공개를 앞둔 경계감 등으로 코스피지수는 제한된 상승흐름을 보였음. 시장 전문가들은 고용과 물가, 실업률 감내 수준에 대한 Fed의 구체적인 입장이 중요할 것이라며, 의사록 공개에 증시 방향성이 영향을 받을 것이라고 전망. 12월 FOMC 의사록은 한국시간으로 5일 새벽 공개될 예정.
수급별로는 외국인과 기관이 각각 2,610억, 7억 순매수, 개인은 2,969억 순매도. 선물시장에서도 외국인과 기관이 각각 1,676계약, 842계약 순매수, 개인은 1,844계약 순매도.
원/달러 환율은 전거래일 대비 0.7원 상승한 1,271.7원을 기록.
국고채 3년물 금리는 전일 대비 2.9bp 하락한 3.632%, 10년물은 전일 대비 6.4bp 하락한 3.597%를 기록.
3년 국채선물은 전일대비 17틱 오른 103.87 마감. 외국인과 은행이 각각 4,445계약, 3,020계약 순매수, 금융투자는 7,235계약 순매도. 10년 국채선물은 전일대비 88틱 오른 111.56 마감. 외국인과 은행이 각각 1,285계약, 948계약 순매수, 연기금 등은 1,412계약 순매도.
코스피 시총상위종목들은 대부분 상승. SK하이닉스(+7.14%), LG전자(+4.67%), 카카오(+4.50%), 삼성전자(+4.33%), 삼성물산(+4.05%), 신한지주(+4.00%), KB금융(+2.96%), SK(+2.45%), NAVER(+2.24%), 삼성생명(+2.16%), 현대차(+0.94%) 등이 상승. 반면, 삼성바이오로직스(-1.12%), 기아(-0.64%), 삼성SDI(-0.33%) 등은 하락. LG화학, 포스코케미칼은 보합.
업종별로도 대부분 상승. 전기/전자(+3.42%), 건설(+3.35%), 의료정밀(+2.93%), 증권(+2.92%), 금융(+2.71%), 보험(+2.03%), 제조(+1.66%), 유통(+1.33%), 종이/목재(+1.24%), 서비스(+1.09%), 통신(+0.84%) 등이 상승. 반면, 음식료(-2.55%), 섬유/의복(-0.48%), 화학(-0.40%), 의약품(-0.31%), 운수장비(-0.14%) 등은 하락.
마감 지수 : KOSPI 2,255.98P(+37.30P/+1.68%)
- 코스닥시장-
1/4 KOSDAQ 683.67(+1.29%) 개인 순매수(+)
지난밤 뉴욕증시가 애플·테슬라 등 대형 기술주 약세 및 경기침체 우려 지속 등에 하락한 가운데, 이날 코스닥지수는 670.18(-4.77P, -0.71%)로 하락 출발. 장 초반 667.30(-7.65P, -1.13%)에서 장중 저점을 기록한 후 낙폭을 줄였고, 보합권에서 등락을 보이다 시간이 갈수록 상승폭을 키웠음. 장 후반 상승폭을 더욱 확대했고, 결국 장중 고점인 683.67(+8.72P, +1.29%)에서 거래를 마감.
대형 기술주 하락 등에 뉴욕증시가 하락하면서 장 초반 하락하기도 했으나 개인 순매수 속 코스닥지수는 이틀 연속 상승. 다만, 외국인이 5거래일 연속 순매도, 기관도 순매도에 나섰고, FOMC 의사록 공개를 앞둔 경계감 등으로지수 상승은 다소 제한됨.
코스피시장에서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가 급등한 가운데, 리노공업(+2.30%), 솔브레인(+6.09%), 동진쎄미켐(+5.98%), 원익IPS(+9.66%), 에스에프에이(+2.12%) 등 반도체 관련주들이 상승. 반면, 스튜디오드래곤(-6.21%), 삼화네트웍스(-4.70%), JYP Ent.(-4.26%), CJ ENM(-2.22%) 등 영상콘텐츠 및 엔터주들은 부진한 모습을 보였음.
수급별로는 개인이 299억 순매수, 외국인과 기관은 각각 173억, 141억 순매도.
코스닥 시총상위종목들은 하락이 다소 우세. 스튜디오드래곤(-6.21%), JYP Ent.(-4.26%), 오스템임플란트(-3.21%), 에스엠(-2.59%), CJ ENM(-2.22%), 알테오젠(-1.93%), HLB(-1.05%), 천보(-0.64%), 셀트리온제약(-0.46%) 등이 하락.반면, 솔브레인(+6.09%), 동진쎄미켐(+5.98%), 펄어비스(+4.02%), 에스티팜(+3.44%), 리노공업(+2.30%), 에코프로비엠(+1.18%) 등은 상승. 카카오게임즈, 에코프로, 파라다이스는 보합.
업종별로는 대부분 상승. 반도체(+4.37%), 비금속(+4.36%), IT H/W(+2.72%), 출판/매체복제(+2.31%), 소프트웨어(+2.17%), 기계/장비(+2.14%), 컴퓨터서비스(+1.94%), IT S/W & SVC(+1.84%), 정보기기(+1.82%), 운송장비/부품(+1.76%), 인터넷(+1.70%), 디지털컨텐츠(+1.59%) 등은 상승. 반면, 오락문화(-2.14%), 방송서비스(-0.13%) 등은 하락.
마감 지수 : KOSDAQ 683.67P(+8.72P/+1.29%)
특징테마
|
이 슈 요 약
|
테마시황
|
▷반도체 투자 세액공제 확대 추진 모멘텀 지속, 삼성전자 공급정책 수정 가능성 부각, 中 반도체 투자 지원 잠정 연기 가능성 등에 반도체 대표주(생산), 반도체 장비,반도체 재료/부품, 시스템반도체 등 반도체 테마 상승. OLED 투자 활성화 기대감 부각 속 OLED 테마도 상승.
▷尹 대통령, 합동 드론부대 창설 및 연내 소형드론 대량 생산 지시 소식 등에 드론(Drone)/ UAM(도심항공모빌리티) 테마 상승.
▷국토부 2023년 업무계획발표, 부동산 규제 해제 기대감 등에 건설 대표주, 건설 중소형, 시멘트/레미콘, 리모델링/인테리어 테마 상승.
▷컬리어스, 국내 데이터센터 시장 성장 전망 등에 SI(시스템통합), NI(네트워크통합), 클라우드 컴퓨팅 등 데이터센터/클라우드 관련 테마 상승.
▷중국발 입국자 양성률 26% 소식 및 진단키트 수요 증가 기대감 등에 코로나19(진단키트) 테마 상승. 코로나19(치료제/백신 개발 등), 코로나19(음압병실/음압구급차) 등 여타 코로나19 테마도 상승.
▷현대차 넥쏘, 지난해 수소차 시장서 점유율 1위 소식에 수소차(연료전지/부품/ 충전소 등) 테마 상승.
▷한수원, 지난해 말 폴란드 원전 관련 기본계획 제출 소식 속 원자력발전 테마 상승.
▷태양광 시설이격거리 규정 완화 소식에 태양광에너지 테마 상승.
▷LG전자, 마그나와 자율주행 협업 확대 소식 속 자율주행차 테마 상승.
▷정부, 메타버스 포함 신기술 분야 규제 개혁 소식 등에 메타버스(Metaverse) 테마 상승. 가상현실(VR), 증강현실(AR) 테마 등도 상승.
▷국내 의료용 대마 규제 완화 기대감에 마리화나(대마) 테마 상승.
▷NIM(순이자마진) 상승세 지속 전망 및 얼라인파트너스, 금융지주 7곳에 주주환원 정책 도입 촉구 모멘텀 지속 등에 은행 테마 상승.
▷이 외 증시 강세 속 증권 테마가 상승했고, LED장비, MLCC, 아스콘, 재택근무/스마트워크, 생명보험, 제4이동통신, 카카오뱅크 관련주, 인터넷 대표주, 핀테크, 일자리(취업), 야놀자 관련주, IT 대표주, 인터넷은행, 음성인식, 블록체인 등의 테마가 상승률 상위를 기록하는 등 대부분 테마가 상승.
▷반면, 최근 웹툰 시장 성장 기대감 등에 강세를 나타냈던 웹툰 테마 하락.
▷S-Oil이 국제유가 하락 속 지난해 4분기 실적 부진 우려 지속 등에 연일 하락세를 보인가운데, 일부 정유 테마 하락.
▷덴티움이 코로나19 영향 속 中 매출 둔화 전망 등에 큰 폭으로 하락한 가운데, 일부 치아 치료(임플란트 등) 테마 하락.
▷이 외 미용기기, 항공/저가 항공사(LCC), 도시가스, 자동차 대표주, 조선, 홈쇼핑 등 일부 테마가 하락.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