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감 후 주요공시

1215 마감시황

ares0098 2022. 12. 15. 18:45
728x90

0123
01

- 코스피시장-

12/15 KOSPI 2,360.97(-1.60%) Fed 빅스텝 단행 속 파월 의장 매파적 발언(-), 中 소매판매 등 실물지표 부진(-), 외국인·기관 동반 순매도(-)

지난밤 뉴욕증시가 파월 의장 매파적 발언, Fed 최종 금리 상단 상향 등으로 하락, 유럽 주요국 증시도하락. 이날 코스피지수는 2,383.83(-15.42P, -0.64%)으로 하락 출발. 오전중 2,392.11(-7.14P, -0.30%)에서 장중 고점을 형성한 후 시간이 갈수록 낙폭을 키웠음. 오후 들어서도 낙폭을 꾸준히 키웠고, 장 막판 2,360.95(-38.30P, -1.60%)에서 장중 저점을 기록한 후 2,360.97(-38.28P, -1.60%)에서 거래를 마감.

Fed 빅스텝 속 파월 의장 매파적 발언 등에 코스피지수는 하락. 외국인과 기관이 동반 순매도하면서 코스피지수 하락을 이끌었음. 외국인과 기관은 선물시장에서도 동반 순매도. 중국의 11월 소매판매 및 산업생산 등 실물지표 부진에 따른 경기둔화 우려가 커진 점도 증시에 부담으로 작용.

지난밤 Fed가 올해 마지막 FOMC에서 시장의 예상대로 기준금리를 기존 3.75~4.00%에서 4.25~4.50%로 50bp 인상하는 '빅스텝'을 단행. 지난밤 공개된 점도표에서는 내년 말 금리전망이 5.1%로 상향되며, Fed의 '피벗' 기대감이 약화되는 모습.

원/달러 환율은 Fed 점도표 최종금리 상향 등에 전거래일 대비 6.8원 상승한 1,303.1원을 기록.

파월 Fed 의장은 기자회견을 통해 '조기 금리인하는 없다'는 기존의 입장을 재확인했음. 파월 의장은 "물가상승률이 2% 목표치를 향해 지속해서 내려간다고 확신할 때까지는 금리인하를 고려하지 않을 것"이라며, "물가상승률이 지속적인 내리막길에 접어들었다고 확신하려면 상당히 더 많은 증거가 필요하다"고 강조.

Fed가 미국의 내년 GDP 성장률을 1.2%에서 0.5%로 하향하면서 경기 둔화에 대한 우려도 커지는 모습.내년 美 PCE 인플레이션 상승률 예상치는 2.8%에서 3.1%로 올려잡았음.

Fed가 또 한차례 빅스텝을 단행하면서 한국과 미국의 금리차가 22년 만에 최대 수준인 1.25%P 확대됐음. 한미 간 기준 금리 차이가 다시 한번 벌어지면서 원화 가치 약세 및 외국인 자금 이탈 가속화 우려 등이 커지는 모습.

파월 의장 매파적 발언 속 美 주요 기술주 부진, 필라델피아 반도체지수 하락 등에 삼성전자(-1.98%), SK하이닉스(-1.96%) 등 반도체, NAVER(-5.68%), 카카오(-5.79%) 등이 하락. 카카오는 공정위의 케이큐브홀딩스 검찰 고발 소식도 악재로 작용, 카카오뱅크(-9.23%), 카카오페이(-9.35%) 등도 동반 하락.

수급별로는 기관과 외국인이 각각 4,363억, 588억 순매도, 개인은 4,584억 순매수. 선물시장에서도 기관과 외국인이 각각 1,716계약, 397계약 순매도, 개인은 1,675계약 순매수.

국고채 3년물 금리는 전일 대비 0.6bp 상승한 3.536%, 10년물은 전일 대비 2.6bp 하락한 3.380% 를 기록.

3년 국채선물은 전일대비 2틱 오른 104.05 마감. 금융투자가 6,360계약 순매수, 외국인은 5,436계약 순매도. 10년 국채선물은 전일대비 16틱 오른 113.18 마감. 금융투자가 1,825계약 순매수, 보험 및 외국인은 각각 1,121계약, 109계약 순매도.

코스피 시총상위종목들은 대부분 하락. 카카오(-5.79%), NAVER(-5.68%), LG에너지솔루션(-2.51%), KB금융(-2.46%), 삼성전자(-1.98%), SK하이닉스(-1.96%), 삼성바이오로직스(-1.67%), SK이노베이션(-1.47%), 셀트리온(-1.37%), LG전자(-1.33%), SK(-1.22%) 등이 1% 넘게 하락. 반면, 한국전력(+0.24%) 등은 상승. 기아는 보합.

업종별로도 대부분 하락. 서비스(-3.22%), 비금속광물(-2.17%), 섬유/의복(-2.07%), 금융(-1.94%),전기/전자(-1.87%), 제조(-1.43%), 의료정밀(-1.38%), 화학(-1.31%), 건설(-1.29%), 운수창고(-1.12%), 철강/금속(-1.11%), 의약품(-1.09%), 증권(-1.04%) 등이 하락. 반면, 음식료(+0.20%), 기계(+0.10%) 등은 상승.

마감 지수 : KOSPI 2,360.97P(-38.28P/-1.60%)

- 코스닥시장-

12/15 KOSDAQ 722.68(-0.87%) Fed 빅스텝 단행 속 파월 의장 매파적 발언(-), 中 소매판매 등 실물지표 부진(-), 외국인·기관 동반 순매도(-)

지난밤 뉴욕증시가 파월 의장 매파적 발언, Fed 최종 금리 상단 상향 등으로 하락한 가운데, 이날 코스닥지수는 725.32(-3.68P, -0.50%)로 하락 출발. 오전중 상승 전환해 730.51(+1.51P, +0.21%)에서 장중 고점을 형성했으나 재차 하락했고, 시간이 갈수록 낙폭을 확대. 오후 들어 721.46(-7.54P, -1.03%)에서 장중 저점을 기록한 후 낙폭을 다소 줄인 끝에 722.68(-6.32P, -0.87%)에서거래를 마감.

Fed 빅스텝 단행 속 파월 의장 매파적 발언 등에 코스닥지수는 하락. 외국인과 기관이 동반 순매도하면서 지수 하락을이끌었음. 기관은 5거래일만에 순매도 전환. 中 11월 소매판매·산업생산 등 경제지표 부진에 경기 침체 우려가 커진 점도 투자심리를 위축시켰음.

골드만삭스의 테슬라 목표주가 하향, 美 전기차 업체 주가 약세 등에 에코프로비엠(-2.39%), 엘앤에프(-1.96%), 에코프로(-0.34%), 천보(-1.56%) 등 2차전지/전기차 테마 하락. 펄어비스(-3.12%) 등 게임 테마도 하락. 카카오게임즈(-4.80%)는 공정위의 케이큐브홀딩스檢 고발 소식 등에 카카오 그룹주 하락 속 동반 하락.

수급별로는 기관과 외국인은 각각 387억, 108억 순매도, 개인은 498억 순매수.

코스닥 시총상위종목들은 대부분 하락. 카카오게임즈(-4.80%), CJ ENM(-3.14%), 펄어비스(-3.12%), 휴젤(-2.44%), 에코프로비엠(-2.39%), 동진쎄미켐(-2.26%), 스튜디오드래곤(-2.00%), 엘앤에프(-1.96%), 셀트리온헬스케어(-1.80%), 솔브레인(-1.75%) 등은 하락. 반면, 에스티팜(+1.01%), 오스템임플란트(+0.08%) 등은 상승.

업종별로도 대부분 하락. 방송서비스(-2.48%), 기타제조(-2.43%), 통신방송서비스(-2.02%), 인터넷(-1.97%), 디지털컨텐츠(-1.90%), IT S/W & SVC(-1.45%), 음식료/담배(-1.41%), 오락문화(-1.36%), 일반전기전자(-1.27%), 반도체(-1.25%), 섬유/ 의류(-1.19%), 통신서비스(-0.99%), 유통(-0.99%), 소프트웨어(-0.96%) 등이 하락. 반면, 운송(+1.18%), 통신장비(+0.47%), 출판/매체복제(+0.45%) 등은 상승.

마감 지수 : KOSDAQ 722.68P(-6.32P/-0.87%)

특징테마
이 슈 요 약
테마시황
▷中 위드 코로나 속 코로나19 확진자 급증 소식 등에 마스크 테마 상승. 아울러 중국 발열 환자 증가 소식 속 의약품 사재기 모멘텀 지속 등에 일부 코로나19 관련주, 제약업체 테마 상승.
▷한국전력공사, 튀르키예와 40조원 규모 원전사업 협력 논의 소식 등에 원자력발전 테마 상승.
▷美 의회, 중국 5G 기 업 제재 법안 발의 소식 속 반사수혜 기대감 등에 5G(5세대 이동통신)/ 통신장비 테마 상승.
▷5년후 국방비 연 70조 증강 등 국정과제 발표 등에 방위산업/전쟁 및 테러 테마 상승.
▷모잠비크 LNG선 프로젝트 재개 속 국내 조선사 수주 기대감 등에 조선기자재 테마 상승.
▷웹툰 IP 일본 흥행 기대감 및 글로벌 OTT 한국 드라마 투자 확대 기대감 지속 등에 웹툰 및 일부 영상콘텐츠 테마 상승.
▷이 외 일자리(취업), 마이크로바이옴, 캐릭터상품, 줄기세포, 희귀금속(희토류 등), 피팅(관이음쇠)/밸브, mRNA, 교육/온라인 교육, 항공기부품, 출산장려정책, 제4이동통신, 터치패널(스마트폰/태블릿PC), 재난/안전(지진 등), 제습기, 유전자 치료제/분석 테마등이 상승률 상위를 기록.
▷반면, 파월 의장 매파적 발언 속 美 주요 기술주 부진 등에 반도체/인터넷/IT 대표주 테마 하락.
▷테슬라 등 美 전기차 업체 주가 약세 등에 2차전지/ 전기차 테마 하락.
▷리튬가격 하락세 등에 리튬 관련주 하락.
▷이 외영화, 은행, SNS, 모듈러주택, 카카오뱅크 관련주, 전자결제(전자화폐), 음원/음반, 게임/모바일게임, NFT(대체불가토큰), 증강현실(AR), 건설 대표주, 강관업체, 면세점, 석유화학, 니켈 관련주, 가상화폐(비트코인 등), 보톡스, 미용기기, LED장비, 네옴시티 관련주, 조선, 핀테크, 인터넷은행, 마리화나(대마), 철강 중소형, 음성인식, 온실가스(탄소배출권), 사료, 여행, 홈쇼핑, 렌터카, CCTV & DVR, 화장품 테마 등이하락률 상위를 기록.
728x90

'마감 후 주요공시' 카테고리의 다른 글

1216 장 마감 후 공시  (0) 2022.12.16
1215 장 마감 후 공시  (0) 2022.12.15
1214 장 마감 후 공시  (0) 2022.12.14
1213 장 마감 후 공시  (2) 2022.12.13
1212 장 마감 후 공시  (0) 2022.12.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