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코스피시장-
12/9 KOSPI 2,389.04(+0.76%) 美 증시 반등(+), 반발 매수세 유입(+), 외국인/기관 순매수(+)
밤사이 뉴욕증시가 FOMC·인플레이션 지표 관망세 속 반발 매수세 유입 등에 상승했고, 유럽 주요국 증시는 경기 침체 우려 속 대부분 하락. 이날 코스피지수는 2,382.73(+11.65P, +0.49%)으로 상승 출발. 장초반 상승폭을 키우기도 했지만, 점차 상승폭을 축소했고 오전 중 약보합세로 돌아서며 2,367.25(-3.83P, -0.16%)에서 저점을 형성. 이내 반등에 성공한 지수는 빠르게 상승폭을 확대했고 오후 장중 2,390.08(+19.00P, +0.80%)에서고점을 형성. 이후 2,380선 아래로 상승폭이 둔화되기도 했지만, 재차 상승폭을 확대한 끝에 2,389.04(+17.96P, +0.76%)로 장을 마감.
밤사이 뉴욕증시가 반등에 성공한 가운데, 최근 지수 하락에 따른 반발 매수세가 유입되며 코스피지수는 6거래일만에 상승. 원/달러 환율이17원 가까이 급락한 점도 긍정적으로 작용. 외국인과 기관은 동반 순매수하며 지수 반등을 이끌었음. 외국인은 6거래일만에 순매수, 기관은이틀째 순매수.
美 FOMC 회의와 생산자물가지수(PPI), 소비자물가지수(CPI) 등 인플레이션 지표 발표를 앞두고 관망세가 지속되고 있는 가운데, 최근 낙폭 과대에 따른 반발 매수세가 유입되며 전일(현지시간) 뉴욕 3대 지수는 일제히 상승. 특히,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지수가 1% 넘게 상승했고, 필라델피아 반도체지수는 2% 넘게 급등. 이에 기술/성장주에 대한 투자 심리가 개선되며 삼성전자, SK하이닉스, NAVER,카카오 등 반도체, 인터넷, IT 대표주들이 강세를 기록.
반면, LG에너지솔루션, LG화학, 삼성SDI, 포스코케미칼 등 2차전지 관련주들은약세.
한편, Fed는 현지시간으로 13일부터 14일까지 이틀간 일정으로 올해 마지막 FOMC 회의를 개최할 예정이며, 시장에서는 이번 FOMC에서 Fed가 빅스텝을 단행할 것이라는 전망이 우세한 모습. FOMC 회의를 앞두고 美 생산자물가지수(PPI), 소비자물가지수(CPI) 등 인플레이션 지표에 대한 경계감도 이어지고 있음. 현지시간으로 오는 9일 미시건대 기대 인플레이션과 생산자물가지수(PPI)가 발표될 예정이며, 13일에는 소비자물가지수(CPI)가 발표될 예정.
이날 원/달러 환율은 전거래일 대비 16.7원 급락한 1,301.3원을 기록.
이날 0시 기준 국내 신규 코로나19 확진자는 6만2,734명을 기록. 위중증 환자는 442명, 사망자는 67명을 기록.
수급별로는 외국인과 기관이 각각 991억, 4,077억 순매수, 개인은 5,086억 순매도. 선물시장에서는 기관이 5,021계약 순매수, 외국인과 개인은 각각 2,849계약, 1,370계약 순매도.
국고채 3년물 금리는 전거래일 대비 1.9bp 하락한 3.657%, 10년물은 전거래일 대비 3.9bp 하락한 3.491%를 기록.
3년 국채선물은 전거래일 대비 11틱 오른 103.80으로 마감. 금융투자, 투신이 2,524계약, 1,293계약 순매수, 외국인은 6,357계약 순매도. 10년 국채선물은 전거래일 대비 55틱 오른 112.90으로 마감.외국인이 2,821계약 순매수, 금융투자, 은행은 2,070계약, 1,238계약 순매도.
코스피 시총상위종목들은 상승 종목이 우세. NAVER(+5.12%), 카카오(+4.68%), KB금융(+4.37%), SK하이닉스(+3.43%), SK이노베이션(+3.06%), 셀트리온(+2.27%), 삼성전자(+2.03%), 신한지주(+1.60%), 현대모비스(+1.21%), 삼성물산(+0.85%), 기아(+0.77%), 현대차(+0.31%) 등이 상승. 반면, 삼성SDI(-6.93%), LG화학(-6.42%), 포스코케미칼(-5.39%), LG에너지솔루션(-3.01%) 등 2차전지 관련주들이 하락했고 POSCO홀딩스(-0.87%), SK(-0.25%) 등이 하락. 삼성바이오로직스는 보합.
업종별로는 대부분 업종이 상승. 전기가스업(+5.75%), 운수창고(+2.88%), 서비스업(+2.53%), 음식료업(+1.88%), 금융업(+1.87%), 보험(+1.58%), 증권(+1.41%), 종이목재(+1.26%), 건설업(+1.23%), 유통업(+1.05%) 등이 큰 폭 상승. 반면, 비금속광물(-3.18%), 화학(-1.14%), 섬유의복(-0.91%), 기계(-0.18%) 업종만 하락.
마감 지수 : KOSPI 2,389.04P(+17.96P/+0.76%)
- 코스닥시장-
12/9 KOSDAQ 719.49(+0.98%) 美 증시 반등(+), 반발 매수세 유입(+), 외국인/기관 순매수(+), 콘텐츠株 강세(+)
밤사이 뉴욕증시가 반발 매수세 유입 등에 상승한 가운데, 이날 코스닥지수는 717.24(+4.72P, +0.66%)로 상승 출발. 장초반 상승폭을 키우는 모습을 보이기도 했지만, 점차 상승폭을 축소했고 오전 중 약보합세로 돌아서며 712.40(-0.12P, -0.02%)에서 저점을 형성. 이내 반등에성공한 지수는 상승폭을 확대하다 오후 장중 721.14(+8.62P, +1.21%)에서 장중 고점을 형성한 뒤 일부 상승폭을 반납해 결국 719.49(+6.97P, +0.98%)로 장 을 마감.
밤사이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지수를 비롯한 美 3대 지수가 상승한 가운데, 최근 지수 하락에 따른 반발 매수세가 유입되며 코스닥지수는 나흘만에 반등. 외국인과 기관은 동반 순매수하며 지수 상승을 이끌었음. 외국인은 3거래일 연속 순매수, 기관은 나흘만에 순매수 전환. 특히, 아바타: 물의 길(아바타2) 흥행 기대감 지속, 국내 드라마 ‘슬기로운 의사생활 시즌1’ 中 OTT 방영 소식 등에 영화, 영상콘텐츠, 엔터, 게임, 웹툰 등의 테마가 강세를 기록.
수급별로는 외국인과 기관이 각각 197억, 120억 순매수, 개인은 347억 순매도.
코스닥 시총상위종목들은 상승 종목이 우세. CJ ENM(+16.30%), 스튜디오드래곤(+10.21%), 오스템임플란트(+8.38%), 휴젤(+4.84%), HLB(+2.83%), 솔브레인(+2.77%), 펄어비스(+2.76%), 동진쎄미켐(+2.52%), JYP Ent.(+2.52%), 카카오게임즈(+2.27%), 셀트리온제약(+1.86%), 알테오젠(+1.73%), 에스엠(+1.28%), 셀트리온헬스케어(+0.93%) 등이 상승. 반면, 엘앤에프(-6.03%), 에코프로(-5.78%), 천보(-5.72%), 에코프로비엠(-2.42%) 등 2차전지 관련주들이 하락.
업종별로는 대부분 업종이 상승. 방송서비스(+9.65%), 통신방송서비스(+6.63%), 오락/문화(+4.27%), 통신장비(+4.01%), 인터넷(+3.35%), 디지털컨텐츠(+3.34%) 업종의 강세가 두드러졌으며, 제약(+2.37%), IT S/W & SVC(+2.21%), 비금속(+1.89%), 의료/정밀 기기(+1.81%), 반도체(+1.50%), 운송장비/부품(+1.36%), 기타서비스(+1.34%), 건설(+1.29%), 섬유/의류(+1.27%) 업종 등이 큰 폭 상승. 반면, 종이/목재(-3.00%), IT 부품(-2.31%), 일반전기전자(-1.37%), 금속(-1.01%), 금융(-1.00%) 등 일부 업종은 하락.
마감 지수 : KOSDAQ 719.49P(+6.97P/+0.98%)
특징테마
|
이 슈 요 약
|
테마시황
|
▷국내 드라마 中 OTT 방영소식 등에 영상콘텐츠 테마 상승. 한편, 한한령 해제 기대감에 웹툰, 엔터테인먼트, 음원/음반, 게임/모바일게임(스마트폰) 등의 테마도 상승.
▷아바타: 물의 길(아바타2) 흥행 기대감 등에 영화 테마 상승.
▷러시아-우크라이나 종전 기대감 등에 우크라이나 재건 관련주 상승.
▷글로벌 5G 가입자 수 연내 10억명 돌파 전망 모멘텀 지속 등에 5G(5세대 이동통신)/ 통신장비 테마 상승.
▷中경제 정상화 기대감 및 한한령 해제 기대감 등에 화장품, 여행, 항공/저가항공사(LCC), 면세점 등 중국 소비 관련주 상승.
▷美 주요기술주 반등 등에 반도체/ 인터넷 대표주/ IT 대표주 등의 테마 상승.
▷자산건전성 개선세 지속 분석 등에 은행 테마 상승.
▷피부미용 수요 성장 기대감 등에 미용기기/ 보톡스(보툴리눔톡신) 테마 상승.
▷한류와 함께 국내 음식료품 수출 확대 소식에 음식료업종 테마 상승.
▷코로나19 재확산 우려 등에 코로나19 관련주 상승.
▷테슬라, 레이더 센서를 도입한 자율주행 시스템 도입 예정 소식에 자율주행차 테마 상승.
▷비트코인 가격 1만7,000달러 상회 소식에 가상화폐(비트코인 등) 테마 상승.
▷삼성넥스트, 美 AR헤드셋 스타트업 익사나 투자 소식 속 메타버스(Metaverse)/ 가상현실(VR)/ 증강현실(AR) 테마 상승.
▷이 외 미디어(방송/신문), 홈쇼핑, 해운, 출산장려정책, 엔젤산업, 캐릭터상품, 의료기기, 원숭이두창, 생명보험, mRNA, 소매유통, 정유, NFT, 유전자 치료제/분석, 면역항암제, 모듈러주택, 치아 치료(임플란트 등), 지주사, 손해보험 등 대부분의 테마가 상승.
▷반면, 中 공급과잉 우려 속리튬가격 하락세 등에 리튬 관련 주 하락.
▷4분기 전기차 수요 둔화 우려 및 美 IRA법 완화로 中 업체 수혜 가능성 등에 2차전지 테마 하락.
▷이 외 피팅(관이음쇠)/밸브, 니켈 관련주, 폐배터리 관련주, 석유화학, 항공기부품, 조선기자재 등 일부 테마만이 하락.
|